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감자의 변색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사태로 어려움에 빠진 농민들을 위해 강원도에서 온라인으로 판매한 감자가 큰 인기를 얻으며 동났어요. 어과동 편집부도 감자 사기에 도전했지만, 오직 이윤선 기자만이 성공했지요.이윽고 도착한 10kg 감자 박스! 그런데 혼자 먹기엔 너무 많은 양인걸요?이를 본 섭섭박사님이 외쳤어요! ... ...
- [특집] 세 장, 냄새나도 괜찮아! 또~옹을 연구한 사람들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배변 시간 동안 똥을 아래쪽으로 미끄러지도록 도와준다는 걸 알아냈죠. 몸집이 큰 동물일수록 점액질층이 두꺼워 빨리 배변하고 몸집이 작은 동물일수록 점액질층이 얇아 느리게 배변해요. 양 연구원은 크기에 상관없이 일정한 배수 시간을 유지해야 하는 시스템을 설계할 때 배변 수학 모형을 ... ...
- [기획] 세거나 나열하면 보인다! 카드 마술수학동아 l2020년 08호
- 가장 크고 하트, 다이아몬드, 클로버 순으로, 만약 무늬가 같다면 숫자가 큰 카드가 더 큰 것으로 합니다.이제 ‘1=다나가, 2=다가나, 3=나다가, 4=나가다, 5=가다나, 6=가나다’라고 약속하고 카드를 배열해 거리를 알려줍니다. 예를 들어 히든 카드에 적힌 숫자가 키 카드보다 4만큼 크다면 카드를 ... ...
- USA┃INTERVIEW “셜록 홈즈처럼 화성 미스터리 풀겠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모습이 다른 나라에 귀감이 됐으리라 생각한다. 인도 역시 인도우주연구기구(ISRO)를 통해 큰 과학적 발전을 이루고 있다. 항공우주 연구를 통해 인류가 얻는 영감은 정말 귀중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인류의 존재가 지속하는 한 우주와 같은 미지의 세계를 향한 탐험은 계속될 것이다. 우리의 ... ...
- ADHD, 이제 게임으로 치료한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활성화시키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 분비에 이상이 생긴 질병이기 때문에 환자들이 더 큰 자극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어 중독에 특히 취약하다. 2019년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가 주최한 제4회 ADHD 캠페인 기자간담회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인터넷게임 중독 환자 255명을 3년 동안 추적 ... ...
- [스쿨리포트 A+] 쉽고 재미있게 과학 영상 소개하기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학급 친구들이 어렵게 느낄 수 있는 과학 주제를 영상으로 소개하면 서로의 학습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하나의 영상으로 설명하기 부족하다면 여러 개의 영상을 소개 자료에 담아도 좋습니다. 이때 사용한 동영상 자료의 출처를 밝히는 것을 잊으면 안 됩니다. 과학교사의 TIP ❷❹ 일상에 ... ...
- [SF에 묻는다] 매트릭스 vs. 사이코 패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어째서인지 그러지 않았던 겁니다. 아카네는 자신의 눈앞에서 친구가 살해당했다는 데 큰 충격을 받지만, 포기하지 않고 쇼고를 끈질기게 추적합니다. 얼마 뒤, 쇼고는 시빌라 시스템으로 범죄 계수를 측정할 수 없는 면죄체질자라는 사실이 드러납니다. 그래서 도미네이터가 반응을 하지 않았고, ... ...
- 군집 위성, 지구의 안팎을 모두 살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데 유용하죠 .군집 위성의 장점은 다양해요. 한국천문연구원의 황정아 박사님은 “큰 위성 한 대를 날리는 것보다 작은 위성 여러 대를 날리는 것이 효율적”이라며 군집 위성의 장점을 설명했어요. 위성은 로켓에 실려 우주로 날아가요. 하지만 로켓에 실을 수 있는 위성의 무게에는 제한이 있지요.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감자, 인공위성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목성 주변을 도는 천체를 가리키기 위해 처음으로 ‘satellite’라는 단어를 사용했어요. 큰 천체 주위를 도는 작은 천체의 모습이 정말 수행원을 연상케 하지 않나요? 20세기 초에 들어서는 인공위성을 가리킬 때 ‘satellite’, 또는 ‘artificial satellite’라는 표현을 쓰게 되었답니다 ... ...
- [에디터노트] Why Explore Space?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비록 눈에 보이는 결과물은 매우 천천히 나오겠지만, 결국에는 지금 세계가 당면한 큰 문제의 해결책을 찾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썼다. 스툴링거 박사는 현미경 개발을 예로 들었다. 흑사병이 유럽을 휩쓸던 400여 년 전, 독일의 한 마을을 다스리던 백작은 작은 생물(미생물)을 볼 수 있는 렌즈를 ... ...
이전1891901911921931941951961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