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홈볼트오징어, 빛으로 대화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촬영했어. 연구팀은 영상을 보며 훔볼트오징어들이 혼자 있을 때, 작은 무리일 때, 큰 무리일 때, 또 사냥할 때와 아닐 때를 구분해 행동과 몸의 무늬를 기록했어. 그 결과, 훔볼트오징어들은 집단으로 있을 때 특정한 빛과 무늬를 나타냈지. 특히, 먹이를 사냥할 때 몸의 반쪽은 빛이 나고 반쪽은 ... ...
- [핫이슈] 트롤 : 월드 투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트롤 세계를 구할 거야! 바브는 록 음악의 큰 소리로 다른 마을을 정복할 작정인가 봐. 큰 소리를 지르면 공기가 크게 진동해 다른 롤들의 고막을 흔들지. 소리가 고막을 세게 흔들면 트롤들이 고통을 느낄 수 있단다.이런 일이 정말 가능하냐고? 실제로 1969년부터 기네스북엔 ‘세계에서 가장 ... ...
- [통합과학교과서] 집에 또 불이 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함께 집 곳곳을 둘러보며 불이 난 원인을 조사했어요.“늑대가 나타난 게 맞지?”큰형은 꿀록 탐정을 재촉했어요.“늑대는 지난 사건 때 이미 반성하고 있다고 했어. 진짜 범인은…, 바로…. ‘부주의’야!”“뭐어?”“불을 사용할 땐 늘 조심해야 한다고! 무엇보다 불이 나면 가장 먼 저 119에 먼저 ... ...
- [특집] 한 장, 10년 묵은 변기에서 태어난 귀신과 화장실 휴지수학동아 l2020년 08호
- 휴지 뭉치의 강도가 어떻게 변하는지 비교했죠. 그 결과 접은 휴지는 같은 양으로 더 큰 면적을 만드는 장점이 있는 반면 주름짐의 정도가 낮으며닦다가 휴지가 찢어질 확률이 더 크고, 뭉친 휴지는 주름짐의 정도와 견고함이 높은 반면 같은 양으로 만드는 면적이 좁다고 주장했어요. 따라서 같은 ... ...
- [에디터노트] Why Explore Space?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비록 눈에 보이는 결과물은 매우 천천히 나오겠지만, 결국에는 지금 세계가 당면한 큰 문제의 해결책을 찾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썼다. 스툴링거 박사는 현미경 개발을 예로 들었다. 흑사병이 유럽을 휩쓸던 400여 년 전, 독일의 한 마을을 다스리던 백작은 작은 생물(미생물)을 볼 수 있는 렌즈를 ... ...
- SNS에서 '핫'한 MBTI의 진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하고 있음에도 이병철 기자와 김진호 기자를 제외하고 각각 다른 유형이 나왔다. 가장 큰 공통점은 대부분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판단에 대한 선호도를 나타내는 T 척도가 보인다는 점이다. 김태형 한국MBTI연구소 연구부장은 “MBTI 검사의 의도에 맞게 선천적인 개인의 선호를 잘 확인한 결과”라며 ... ...
- 가죽을 남긴 호랑이에게 숨을 불어넣는 사람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되새기는 교육 자료다. 수백 년 뒤 해당 생물이 멸종해서 더 이상 볼 수 없다면 박제가 더 큰 가치를 가질 것이라는 생각으로, 오늘도 생물을 ‘기록’하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인터뷰 윤지나 박제사가 들려주는 ‘박제사’에 관한 이모저모Q 박제사가 된 이유는?초등학생 때부터 미술을 ... ...
- 코로나19 치료에 덱사메타손 득일까? 실일까?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치명률이 감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같은 이유로 덱사메타손이 경증환자에게 큰 효과를 보이지 않는 이유도 설명할 수 있다. 경증환자의 경우 염증 반응보다 감염에 의해 세포손상이 주로 일어나기 때문이다. 바이러스 감염 치료에는 양날의 검덱사메타손을 포함한 부신피질호르몬제는 흔히 ... ...
- [조광래의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운명의 9분, 대한민국에 '성실실패'란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연구에서는 매우 민감한 영역에 속한다. 위성 발사체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의 가장 큰 차이가 우주로 보낸 물체의 대기권 재진입 여부다. 즉, 재진입시키면 미사일이고 재진입시키지 않으면 위성이다. 따라서 재진입과 관련된 실험을 수행하는 것은 국제적으로 허용되기 어려운 일인데, 위성이 ... ...
- 새로운 적에 대항할 ‘슈퍼약물’이 나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생물학과의 킴 루이스 교수팀은 내성을 만들지 않는 항생제 ‘테익소박틴’을 발견해 큰 주목을 받았어요. 테익소박틴은 2018년 동물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쳤지요.지금껏 세균에게 내성을 일으킨 항생제 대부분은 토양세균이 내뿜는 물질을 이용해 만들었어요. 그런데 토양세균의 99%가 기존 ... ...
이전1881891901911921931941951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