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는 생물학 무기가 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원하는 목표 지점에 정확히 떨어져야 한다. 만약 예상하지 못한 지점, 특히 아군에게
큰
피해를 줄 지점에 떨어진다면 무기로써는 실패작이다.생물학 무기를 통제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살포 지역에만 작동할 수 있어야 하며, 예상치 못하게 아군이 감염되더라도 아군은 영향을 받지 않도록 백신과 ... ...
T림프구...바이러스 자살 유도하는 똑똑한 전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항원을 물리친다. 또 조절 T림프구는 자가 면역 질환을 일으킬 수 있을 정도로 반응성이
큰
세포독성 T림프구의 활성을 적절히 낮춰 면역시스템의 균형을 유지한다 ... ...
1908년 혈청 치료법을 완성하고 포식 이론을 발표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메치니코프는 1908년 12월 열린 노벨상 수상 기념 연설에서 “모든 학자가 꿈꾸는 가장
큰
기쁨을 준 (노벨)위원회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며 “나의 업적이 지나치게 높이 평가받은 것 같아서 두려웠지만 노벨이 자신의 삶을 지식에 바친 학자에게 보상하고자 주는 상이란 점에서 용기를 얻었다”고 ... ...
[이달의 과학사] 금보다 비쌌다고? 알루미늄 제련법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비쌌답니다. 금속으로 제련*하기 쉽지 않거든요.알루미늄은 상대적으로 반응성이
큰
금속이라 자연 상태에서는 주로 화합물로 존재해요. 19세기 중반만 하더라도 이를 순수한 금속으로 만들기 어려워 알루미늄은 귀금속으로 취급받았지요. 프랑스의 나폴레옹 3세는 신분이 높은 손님은 알루미늄 ... ...
[별헤는수학] ‘외계행성 탐험대’, ‘행성 사냥꾼:테스’ 태양계 밖에서 행성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있지요. 특히 연구팀이 새로 발견한 외계행성을 분석해서 논문을 작성할 때는 가장
큰
기여를 한 시민천문학자의 이름을 연구자 명단에 넣기도 한답니다. 천문학을 전문적으로 공부하지 않아도 천문학자의 연구에 기여하고, 논문에 이름을 올릴 수 있다니 멋지지 않나요? 여러분도 지금 바로 ... ...
[기획] Maker. 게임 밸런스의 핵심은 수학!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최고 속도가 높아지고, 움직임을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만들어 난이도를 낮춰줘. 순위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실력이 다소 부족한 신규 유저들에게 동기부여가 되도록 난이도 밸런스를 맞춰주는 거야. 이런 밸런스 조정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게임 속에 숨어 있기 때문에 유저들은 눈치채기 ... ...
Chapter 01. 대유행┃ 최근 50년간 인간을 괴롭힌 바이러스 7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시인 기욤 아폴리네르는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다. 포탄의 파편을 맞고
큰
수술을 받았지만, 다행히 건강을 되찾고 있었다. 그러던 그가 종전을 이틀 앞두고 사망했다. 사인은 독감이었다. ‘스페인독감’으로 알려진 인플루엔자바이러스가 원인이었다. 스페인독감은 1918년 발병해 이듬해 191 ... ...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1.57Mb(메가베이스·1Mb는 100만 염기쌍)였다. 이는 유전체 크기가 작은 일부 세균들보다 더
큰
수치다. 또 단백질을 합성할 수 있는 체계도 가졌다. 숙주의 도움 없이 스스로 단백질을 합성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유전적 체계는 완벽히 갖추고 있다.2020년 2월 12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연구 ... ...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것이다. 그래야 다른 개체의 숙주세포를 인질 삼아 증식을 이어갈 수 있다. 이때 가장
큰
적은 인체의 면역시스템 이다. 그래서 바이러스는 면역세포를 공격하거나 면역반응 기작을 억제하는 등 저마다 전략을 구사하며 면역시스템을 무력화한다. 뎅기열을 일으키는 뎅기바이러스의 경우, ... ...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물질 없이 바이러스의 외피를 접종하는 바이러스유사입자(VLP·virus like particle) 백신도
큰
틀에서는 단백질 백신에 속한다. VLP 백신은 면역반응 유도율을 크게 높일 수 있고 세포 매개 면역반응까지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안전성도 다른 단백질 백신만큼 신뢰할 수 있다. 단백질 백신은 최근 ... ...
이전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