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전략 회의 10분 전! 폴리매스란 무엇일까?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20개의 문제가 제안됐습니다. 이 중 3개의 문제가 완벽히 해결됐습니다. 수학동아는
우리
나라 청소년도 수학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의견을 나눌 수 있도록 2017년 청소년 수학 공동 연구 프로젝트인 폴리매스를 시작했습니다. 수학동아의 폴리매스는 점차 발전해 현재 폴리매스 홈페이지(www.polymath.co ... ...
[하비맨] 우아한 하비맨의 취미는 피아노 연주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죠. 이 음이 ‘레’입니다. 다시 이 음을 기준으로 진동수의 비가 2:3인 지점을 찾으면서
우리
가 지금 알고 있는 ‘도-레-미-파-솔-라-시-도’의 최초 모습을 완성했습니다. 피아노 연주하기 총평 “손가락은 살아있었다” 굳은 줄만 알았던 손가락이 연습을 거듭할수록 점점 유연해졌어요. 역시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대칭과 주사위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정육면체 모양의 주사위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거죠. 대칭, 정다면체, 그리고 주사위
우리
가 주로 사용하는 정육면체 주사위는 각 면에 1부터 6까지의 숫자가 적혀있고 마주 보는 면의 합이 7입니다. 하지만 주사위가 꼭 정육면체 모양일 필요는 없습니다. 주사위는 공정한 확률을 배정할 수 있는 ... ...
생명을 살리는 기적의 ‘1시간'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6호
목표는 무엇인가요?A. 치료받으면 살 수 있는 환자를 최대한 살리는 거예요. 2015년,
우리
나라에서 살 수 있었으나 제때 치료받지 못해 사망한 환자의 비율은 30.5%였어요. 권역외상센터가 본격적으로 운영되기 시작한 2017년에는 19.9%로 그 비율이 낮아졌어요. 하지만 이 비율을 10% 아래로 유지하는 ... ...
[특집]딸기 독립 만세!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치르고 있어요. 따라서 국산 신품종을 개발해
우리
나라가 경쟁력을 갖추고 전 세계로
우리
과일을 수출하기 위해 지금도 딸기 신품종을 연구 중이랍니다.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섭섭박사, 중력에 도전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구조적 안정이라는 의미의 영어 단어인 ‘structural integrity’가 합쳐져 만들어진 표현이죠.
우리
가 만든 텐세그리티는 짧은 실이 위의 삼각형 구조물을 장력으로 고정하고 있어요. 그리고 삼각형의 꼭짓점마다 매달아 둔 실이 삼각형을 한쪽으로 쓰러지지 않고 균형을 이루도록 당겨주고 있답니다. ... ...
[특집] 비건 패션, 트렌드가 되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포가스 모던 미도우 최고경영자는 미국 경제지 포브스와의 인터뷰에서 “이 기술로
우리
는 기존 가죽보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80% 적은 가죽을 만들었다”며 “동물과 (가죽 가공에 사용되는) 석유 화학 제품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모피도 연구실에서 구현됐다. 미국 ... ...
[JOB터뷰] 본캐는 변호사! 부캐는 캣맘입니다! 채수지 변호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관심이 있을 어과동 친구들에게 조언을 부탁드려요. 저는 어과동에 우동수비대(
우리
동네 동물원 수비대)가 있다는 사실에 크게 놀랐어요. 대원들이 우동수비대 활동이 가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해주면 좋겠어요. 열악한 환경에 사는 동물을 마주치면 마음이 아픈데, 당장 해결을 못하니까 절망감이 ... ...
‘뉴락’ 장한나 작가 “플라스틱 시대를 작품으로 기록합니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그의 작품들을 통해 현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물론 미래에서 살아갈 후손들이
우리
가 환경 문제에 대해 얼마나 많은 관심을 가졌는지, 어떻게 받아들여 왔는지 알지도 모른다.그는 5월 말부터 인천아트플랫폼에서 환경을 주제로 활동하는 작가들과 공동 전시를 시작했다. 장 작가는 “작품을 ... ...
[과동키즈] 어린 날에 바라보던 저 달은 여전한데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그저 여러분이 알고 있는 가장 어두운 장소를 찾아가세요. 어떤 별빛은 너무 약해서
우리
눈으로도 보이지 않아요. 하지만 렌즈를 열고 오랜 시간 기다리다 보면 그 작은 별빛이 필름 위에 조금씩 쌓여서 나중에 현상해 보면 작은 점 하나로 남는 거죠. 그 점들이 모여서 이렇게 화려한 천체사진이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