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2020 어과동 어워드] 지사탐 특별인터뷰 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하면서 쌓인 경험이 풍부해 가능했던 일이라고 생각해요. 시민과학을 아마추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본때를 보여준 거죠. Q 나비를 발견하면 데리고 와서 키워도 될까요?천연기념물이나 멸종위기종처럼 보호가 필요한 생물종은 ‘보호종’으로 지정돼 있어요. 우리가 강연을 통해 알게 된 ... ...
-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국내 처음으로 시도된 삵의 인공수정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동물원에서 배워온 대로 전극봉를 사용해 삵의 정자 채취를 시도한 거예요. 하지만 생각처럼 잘 되지는 않았어요. 알고 보니 전극봉과 다른 장비의 작동 방법이 미국에서 배웠던 것과 달랐기 때문이었어요. 논문이었어요. 모세관현상을 이용해 전기 자극 없이도 정액을 채취할 수 있는 ... ...
- [과학뉴스] 비행기보다 빠른 기차, 하이퍼루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2km로 제한했어요. 객차는 단 15초 만에 500m를 주파했지요. 시험에 참여한 세라 루키언은 “생각한 것보다 부드럽게 움직였다. 멀미와 같은 신체적 증상도 없었다.”고 말했어요.우리나라에서도 한국형 하이퍼루프인 ‘하이퍼튜브’를 개발 중이에요. 11월 11일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무선 이어폰 케이스를 '어몽 어스' 캐릭터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케이스를 분해한 뒤 캐릭터에 맞게 재조립을 하는데…, 정말 대단한 ‘금손’이라고 생각합니다. 카메라에 관심이 많은 친구들이라면 ‘접사 렌즈’에 대해 얘기를 들어봤을 거예요. 물체를 아주 가까이에서 찍을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렌즈인데, 가까이에서 찍는 만큼 물체가 아주 크게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4000년 전 치과 치료, 얼마나 아팠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가끔 그 반대인 경우도 있답니다. 현실 속 풍경이 너무 이색적이면 ‘와, CG 같다!’고 생각하는 거죠. 이 영상에 등장하는 풍경들이 바로 그 ‘CG 같은 현실’이랍니다. 어찌나 이색적인지 SF, 판타지 영화 배경으로 사용될 정도라니까요! 환상적인 풍경을 찾아낸 영화제작팀의 안목에도 박수를 보내고 ... ...
- 베토벤, 내가 제일 잘 나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창의성을 평가할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창의성’이라는 건 ‘연결’에서 나온다고 생각했거든요. Q창의성을 평가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단순 계산이나 바둑 등의 게임 분야에서 인공지능은 이미 실력을 인정받고 있어요. 하지만 문화 예술 분야에서는 평가받지 못하고 있지요. 평가를 ... ...
- AI만 있으면 나도 작곡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기쁨을 주기 때문에 인공지능 작곡가는 인간의 복지와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거로 생각했어요. Q이봄의 개인기가 있다고요?이봄은 스스로 곡을 만들면서 점점 성장하고 있어요! 그러다 이제 잘하는 분야가 생겼어요. 주로 단조의 서정적인 음악을 만들어요. 작곡을 전문적으로 하시는 분들이 ... ...
- [통합교과맵] 어둠 속에서 박에 연결된 폭탄을 제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그런데 밤이 깊은 탓이었을까요? 칠흑 같은 어둠 속에서 색을 구별해내는 게 생각보다 쉽지 않았어요. 꿀록 탐정은 당황한 기색이 역력했어요.“아, 이거 참. 어두워서 그런지 눈이 영 침침하네…?” #통합과학 개념 이해하기우리는 색을 어떻게 인지할까?우리가 사물을 볼 때 눈에선 어떤 일이 ... ...
- [헥!헥!핵물리학자] www는 물리학자가 개발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데이터 속에서 원하는 정보를 찾는 과정이죠. 모래사장에서 모래알 하나를 찾는다고 생각해 보세요.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서 일하던 팀 버너스리가 ‘www’를 개발한 심정을 이해할걸요? ‘데이터 보정’이라는 힘들고 고된 일모래사장에서 모래알 하나를 찾는 일, 2015년에 제가 하고 있었어요.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프로그래머에게 영화 속 해킹 장면을 보여준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가장 작은 것부터 큰 순서대로 보여줘요. ‘이정도면 가장 큰 우주선이겠지’라는 생각이 드는데, 그것보다 더 큰 우주선이 계속 등장하더군요! ●도마뱀 껍질을 벗기자! 조회수 : 681만 회채널명 : 집돌이총각 (구독자 수 : 21만 명) 도마뱀과 같은 파충류는 자라면서 몸집이 커짐에 따라서 바깥쪽 ... ...
이전1881891901911921931941951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