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견
사색
사고
마음
느낌
아이디어
착상
d라이브러리
"
생각
"(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진로체험] 다가오는 자율주행차 시대 수학이 필수!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라는 질문을 계속해서 던지고 깊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해요. ‘이건 왜 그럴까?’라는
생각
을 반복해서 한다면 SW 분야에 진출해 습득한 것들을 원하는 분야에 적용하고, 발전시켜서 내 것으로 만들 수 있을 거예요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이론적인 연구라고 할 수 있죠.파스칼 조합론을 전공하시는데, 어디까지가 조합론이라고
생각
하시나요?쉽게 답할 수 없는 질문이네요. 수학의 각 분야는 출발이 분명히 다르지만 서로 넘나들면서 영향을 주고 있어요. 다른 분야의 지식으로 조합론의 난제를 푼 경우도 있었죠. 필즈상 후보자로 ... ...
[인터뷰] 지사탐 덕분에 대한민국 인재상 받았다! 닥터구리 유다은 대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1호
홈을 파면 여러 생물종들이 미끄러지지 않고 사다리처럼 올라갈 수 있을 거라고
생각
했어요. Q앞으로도 개구리와 관련해 연구할 예정인가요?네! 2016년 익산에서 탐사하며 찾은 개구리가 지난 6월 25일 우리나라에만 사는 신종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어요. ‘노랑배청개구리’란 이름이 붙은 이 ... ...
좋은 동물원이 되고 싶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1호
환경에 놓인 동물들을 보면, 동물원을 다 없애고 모두 야생으로 돌려보내면 좋겠다고
생각
하게 돼. 그럼에도 좋은 동물원이 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이 있어. 전시보다 종 보전에 힘써야 좋은 동물원! 동물원을 없애는 건 쉬운 결정이 아니에요. 동물원 동물을 함부로 야생에 보냈다간 살아남기 ... ...
[에디터 노트] 공존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과학동아 편집부에 돌아왔습니다. 과학과 기술이 사회와 어떻게 관련을 맺어야 할지
생각
해 볼 수 있는 성찰적인 기사, 자연과 인간의 공존 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 글을 꾸준히 게재할 것을 다짐합니다. 주목할 만한 성취를 이룬 과학 연구를 현장의 목소리와 함께 깊이 전하고, 미래 사회의 변화를 ... ...
5만 년 전 한반도에 거대 운석이 떨어졌다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cm 크기의 암편 하나를 박편 관찰용으로 만들기 위해 해머로 내리쳤다. 원래는 이등분 할
생각
이었으나 예상과 달리 암편이 3개의 큰 조각으로 쪼개졌다. 쪼개진 면에서 두 눈을 의심할만한 구조들이 보였다. 바로 충격원뿔구조였다. 가장 강력한 운석 충돌의 증거로 여겨지는 바로 그 증거가 확보된 ... ...
[논문탐독] 광자력계 그물 펼쳐 암흑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한 마디 조언을 해준다면?연구를 하는 것과 연구를 ‘잘’ 하는 것은 다르다고
생각
합니다. 독자분들께서 연구원이나 혹은 다른 활동을 하더라도 그 분야에서 ‘잘’ 하는 건 많은 어려움이 따를 것입니다. 독자분들께서 꿈을 꿀 때(꼭 연구원이 아니어도 괜찮습니다) 쉽고 어려운지에 따라 꿈을 ... ...
당근 효과는 있어도 채찍 효과는 없다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강할 것으로
생각
하고 더 거칠게 다룬다. 하지만 큰 동물이 통증에 강하다는 것은 잘못된
생각
이다. 폴 맥그리비 호주 시드니대 수의학대 교수팀은 사람과 말이 통증을 느끼는 데 차이가 없다는 연구결과를 ‘애니멀’ 지난해 11월 1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사람 10명과 말 20마리의 엉덩이 피부 ... ...
[과동프렌즈] 99%를 100%로...과학계 논쟁 해결하는 과학자가 꿈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논쟁을 통해 발전한다고
생각
해요. 논쟁을 통해 가능성을 사실로 만들고, 99%의 확률을 100%로 만들기도 합니다. 양자역학도 보어-아인슈타인 논쟁으로 두 과학자가 서로 질문을 던지고 답하는 과정에서 발전했죠.”김재승(대전동신과학고 1학년) 군에게 과학은 완성된 지식이 아니었다. 새로운 개념을 ... ...
[수콤달콤연구소] 1489명의 수콤달콤 어린이 연구원을 소개합니다!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1호
수콤달콤 연구소를 거치기만 하면 사탕보다 달콤해진답니다. 그런데 어린이들이
생각
하는 가장 쓴맛 수학은 뭘까요? 수학에서의 최강 쓴맛은? 3월부터 수콤달콤 연구소의 어린이 연구원 1489명은 설문조사를 통해 초등학교에서 배우는 대표 수학 내용 32개 중 어렵게 느낀 내용이나 더 알고 싶은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