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절
분할
분리
절제
자르기
단교
절교
뉴스
"
절단
"(으)로 총 327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연구진이 건강한 태반 발달 유도할 '스위치' 찾았다
연합뉴스
l
2020.08.06
원인이 된다. 연구팀은 유전자가위(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 DNA를
절단
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 실험을 통해 영양외배엽이 태반으로 발달해나가는 단계에서 'PHF6'라는 후성유전 인자의 기능이 중요함을 확인했다. 영양외배엽이 분화하는 데 후성유전 인자가 중요한 역할을 ... ...
'공룡도 암에 시달렸다'…공룡화석서 골육종 흔척 첫 확인
연합뉴스
l
2020.08.04
성장할 때 발병하는 악성 종양으로 주로 아동이나 청소년기에 발병하는데, 화학요법이나
절단
등을 포함한 수술적 요법으로 치료하고 있다. 덩치가 큰 공룡도 빠르게 성장하는 과정에서 골육종 발병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에번스 박사는 "공룡이 아무리 덩치가 크고 강력해 ... ...
현대의학의 선물…英 남성 팔뚝에서 성기 배양해 이식
연합뉴스
l
2020.08.04
검게 변했으며, 성기는
절단
하기에 이르렀다. 그는 다행히 고환에는 문제가 없어
절단
위기를 면했지만 "완전히 처참했다"면서 당시를 회상했다. 그는 "(팔에 성기를 붙이고 있는 것에) 아직 익숙해지지 않았다"면서 "다른 사람들은 미쳤다고 생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맥도널드는 ... ...
佛 의대 창고 연구용시신 수천구, 쥐가 파먹고 쓰레기봉투에
연합뉴스
l
2020.07.10
지극히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창고에 보관된 시신 수천구의 다수가 머리 부분이
절단
되고 부패가 상당히 진행된 채 마구잡이로 구석에 쌓여 있었고, 일부 시신은 쥐들이 여기저기 파먹은 채 쓰레기 봉지에 담겨 있었다고 렉스프레스는 전했다. 이 보도 이후 데카르트 의대 측은 자체 ... ...
염기교정 유전자가위 효율 예측할 인공지능 기술 개발
연합뉴스
l
2020.07.09
일 밝혔다. 유전자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DNA를
절단
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2016년 학계에 처음 보고된 염기교정 유전자가위는 '크리스퍼 유전자가위'(CRISPR-Cas9)를 변형해 아데닌(A)·티민(T)·시토신(C)·구아닌(G)으로 된 DNA 염기서열에서 ... ...
'빛으로 켜고 배아교정 영향도 찾았다' 진화하는 유전자가위
동아사이언스
l
2020.07.06
가위에 적용했다. 유전자 가위가 체내에서 특정 빛에 노출될 때까지 활성화되지 않아
절단
부위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연구진은 인간 배아 신장 세포와 골수암 세포에 전기 펄스를 가해 세포막에 미세한 구멍을 만들었다. 그런 뒤 감광성 RNA 분자를 붙인 유전자 가위를 세포 ... ...
'나로호' 중요 부품 시제품, 착오로 고철 판매 뒤 회수 '해프닝'
동아사이언스
l
2020.06.26
개발 중인 누리호는 시제품까지 일련번호를 부여해 철저히 관리하고 있으며 폐기 시에는
절단
등을 통해 보안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항우연은 내부 감사를 통해 책임 소재를 밝히고 관리를 강화할 방안을 찾을 계획이다. ... ...
'어느 가위가 잘 들까' IBS 유전자가위 13종 추천시스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25
교정에 적절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 중에서 가장 범용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 SpCas9-NG
절단
효소의 경우 PAM 서열로 쓰일 수 있는 156개의 서열 중 89개의 서열을 인식했다. 다른 변이체 비해 표적할 수 있는 부위가 더 많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또 정확성을 높인 6종의 변이체 중 표적이탈 현상이 가장 ... ...
中 베이징 코로나 환자 최근 5일간 106명…WHO "베이징 집단감염 중요사건"
동아사이언스
l
2020.06.16
바이러스 전파가 어디서 시작됐는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베이징시가 수입 연어를
절단
할 때 쓰는 도마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밝힌 상황이다. ... ...
[프리미엄 리포트]돌돌 말고 피부에 붙이는 자체발광 '퀀텀닷'
과학동아
l
2020.06.13
당뇨성 창상을 앓는다. 하지만 자신의 손발이 괴사하고 있다는 사실을 자각하기 어려워
절단
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25%에 이른다. 병원에 가도 정확한 검사를 위해서는 바늘을 꽂아 피를 뽑는 침습형 검진을 받아야 한다. 이에 양 교수와 삼성 공동연구팀은 2017년 퀀텀닷을 이용한 광센서를 개발했다.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