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절
분할
분리
절제
자르기
단교
절교
뉴스
"
절단
"(으)로 총 334건 검색되었습니다.
[쉽게 다시 풀었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조작설? 전문가들 "근거 부족"
동아사이언스
l
2020.09.18
단백질이 세포에 침투하려면 가수분해효소에 의해
절단
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
절단
부위가 감염에 더 유리하게 바뀌었다는 점도 근거로 들었다. 옌 연구원은 “현재 기술로 실험실에서 6개월이면 충분히 바이러스를 바꿀 수 있다”고 주장했다. ●잘라붙였다는 염기서열 자연적으로도 생겨 ... ...
[팩트체크] 우한연구소 코로나바이러스 조작설 논문...전문가들 "증거 불충분"
동아사이언스
l
2020.09.16
자를 수 있는 염기서열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해당 서열이 있는 곳은 유전자 삽입이나
절단
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서열 자체가 흔해서 서열의 존재만으로 제한효소가 작용한 부위인지는 알 수 없다는 것이다. 구조생물학자인 남궁석 SLMS 대표 역시 전화 통화에서 “제한효소가 작용하는 ... ...
[팩트체크] 홍콩연구자 "코로나19 우한연구소에서 나왔다는 증거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4
나뉘면서 본격적으로 침투한다. 연구팀은 이 단백질 RBD의 주요 변이를 비교하고, 단백질
절단
에 관여하는 염기서열 구성을 비교했다. 그 결과 천산갑 등 동물에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와 거의 같은 RBD를 지니고 있고, 세포나 동물에서 바이러스를 배양했다면 유전적으로 매우 비슷한 ‘조상’에 ... ...
염기 하나 딱 찍어 바꾼다…유전자 가위 넘어 유전자 핀셋 나오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9.10
아닌 곳에서 오작동이 일어나는 위치를 확인하고 정확성을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절단
유전체 분석 기법이란 유전자가위 교정 전과 후를 유전체 시퀀싱 방법을 통해 구별하는 방식이다. 김대식 생명연 전임연구원은 “염기교정 유전자가위의 오작동이 일어나는 위치를 확인한 연구”라며 “Cpf1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 접붙이기의 비밀 풀렸다
2020.09.08
성공하게 도와주는지는 아직 모른다. 두 가지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는데 먼저
절단
부위의 세포벽 셀룰로스를 분해해 접촉면에서 셀룰로스 섬유가 다시 형성될 수 있는 상태를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접착제를 바르고 열을 가해 녹인 뒤 붙이면 더 단단하게 붙는 것과 비슷한 ... ...
원자력안전위, '정기검사' 한빛 2호기 재가동 승인
연합뉴스
l
2020.08.26
결과 원자로 운전이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정기검사 기간 격납건물 내부철판(CLP)을
절단
한 결과 공극 3개소를 확인해 건전성 평가와 공극 보수를 마쳤다. 지난 정기검사에 이어 추가로 CLP 두께를 점검했지만, 기준치(5.4㎜) 이하 CLP는 발견되지 않았다. 증기발생기 전열관 검사에서는 관 막음 ... ...
코로나19 바이러스 새 약점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2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은 특이적인 현상이 나타난다”며 “이는 다염기성
절단
부위가 인체 세포에 침투하는 바이러스 기능에 중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를 토대로 화학 및 약리학 전문가와 협력해 코로나19의 스파이크 단백질과 결합해 ... ...
국내 연구진이 건강한 태반 발달 유도할 '스위치' 찾았다
연합뉴스
l
2020.08.06
원인이 된다. 연구팀은 유전자가위(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 DNA를
절단
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 실험을 통해 영양외배엽이 태반으로 발달해나가는 단계에서 'PHF6'라는 후성유전 인자의 기능이 중요함을 확인했다. 영양외배엽이 분화하는 데 후성유전 인자가 중요한 역할을 ... ...
'공룡도 암에 시달렸다'…공룡화석서 골육종 흔척 첫 확인
연합뉴스
l
2020.08.04
성장할 때 발병하는 악성 종양으로 주로 아동이나 청소년기에 발병하는데, 화학요법이나
절단
등을 포함한 수술적 요법으로 치료하고 있다. 덩치가 큰 공룡도 빠르게 성장하는 과정에서 골육종 발병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에번스 박사는 "공룡이 아무리 덩치가 크고 강력해 ... ...
현대의학의 선물…英 남성 팔뚝에서 성기 배양해 이식
연합뉴스
l
2020.08.04
검게 변했으며, 성기는
절단
하기에 이르렀다. 그는 다행히 고환에는 문제가 없어
절단
위기를 면했지만 "완전히 처참했다"면서 당시를 회상했다. 그는 "(팔에 성기를 붙이고 있는 것에) 아직 익숙해지지 않았다"면서 "다른 사람들은 미쳤다고 생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맥도널드는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