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절단"(으)로 총 327건 검색되었습니다.
-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국내 처음으로 시도된 삵의 인공수정2020.12.12
- 오른쪽 앞다리가 올무에 걸려 구조됐습니다. 안타깝게도 상처가 심해 결국 다리를 절단했습니다. 이후 동물원에서 왼발로만 생활하는 모습을 보고, 강인수 담당 사육사가 왼발의 달인이라 불리는 축구선수 라이언 긱스의 이름을 따서 지어주었습니다. 다른 암컷 삵인 오월이는 새끼 때 구조된 뒤 ... ...
- 빌딩 외벽 청소 로봇, 통증 없는 '붙이는 주사'…올해의 10대 기계 기술동아사이언스 l2020.12.09
- 연구소기업을 설립해 상용화에도 성공했다. 발목형 로봇 의족은 무릎 아래 부위가 절단된 장애인이 평지와 경사로, 계단 등을 걸을 수 있도록 돕는 기술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가보훈처가 로봇 의족의 사용성 개선 테스트를 진행 중이며, 국가유공자를 대상으로 시범 공급하는 방안도 ... ...
- 6시간→1시간→5분…코로나19 진단법 속도경쟁 얼마나 빨라질까동아사이언스 l2020.12.07
- 교수팀은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가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식별할 경우, 이 유전자를 절단하도록 하는 동시에 형광분자 신호를 생성하도록 만들어 감염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에 발표했다. 올해 노벨화학상을 받은 제니퍼 다우드나 미국 버클리 ... ...
- 학습과 기억 담당하는 새로운 원인 유전자 발견연합뉴스 l2020.11.08
- 확인하기 위해 유전자 가위(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DNA를 절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로 생쥐에서 이 유전자를 제거하자 인지 장애가 나타났다. 수동 회피 반응과 미로 찾기 검사에서 장기 기억과 공간 학습에 어려움을 보였다. 이 같은 인지 기능 저하는 뇌 ...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오작동 높은 민감도로 찾아낸다연합뉴스 l2020.11.05
- 2a 등으로 나뉘는데, 표적하지 않은 부위를 절단하는 등 오작동 문제가 있다. 비표적 절단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민감도가 낮아 1% 이하의 낮은 오작동률은 감지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편집 대상인 표적 DNA의 신호를 증폭시키는 방법으로 차세대 염기서열 ... ...
- 노벨상 영예 '유전자가위' 유전질환 치료 '더 가까이'동아사이언스 l2020.10.23
- 활용한 염기 교정 유전자가위 기술은 ‘베이스 교정’으로 불린다. DNA 이중 가닥을 절단해 교정하지 않고 단일 염기를 잘라내 교정하는 기술로 유전자가위 분야 세계적 석학인 데이비드 리우 브로드연구소 교수가 개발해 지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논문의 제1저자인 서수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바이러스의 창 막는 박테리아의 방패2020.10.13
- 업적인 제한효소는 박테리아의 선천면역계다. 제한효소는 DNA의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해 절단하는 효소로 게놈에 이 서열을 지닌 바이러스를 무찌를 수 있다. 제한효소 역시 유전자 재조합 수단으로 응용돼 바이오 시대의 문을 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물론 바이러스(파지)도 박테리아의 ...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잊혀진 과학자들동아사이언스 l2020.10.08
- 카스9(Cas9‧왼쪽)은 이중가닥 DNA를 절단하는 반면, 크리스퍼-카스13(Cas13)은 단일가닥 RNA를 절단하는 등 종류에 따라 교정하고자 하는 표적이 다르다. 크리스퍼라는 염기서열을 처음 발견한 학자도 있다. 크리스퍼는 원래 대장균의 게놈에 존재하던 특이한 상보적 염기서열이었다. 예를 들어 단어라면 ...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화학상 수상자 공적2020.10.07
- 데 특화된 기능을 가졌다. 그렇다면 캐스 단백질은 같은 기능을 가졌을까? 바이러스 DNA도 절단할 수 있을까? 그녀는 연구그룹을 이런 질문들을 푸는 데 투입했고, 몇 년 뒤 몇 가지 다른 캐스 단백질의 기능을 밝히는 데 성공했다. 동시에 다른 대학의 다른 연구 그룹이 새로 발견된 크리스퍼-캐스 ... ...
- 생명의 암호 교정하는 도구 만든 여성화학자 2명 올해 노벨화학상(재종합)2020.10.07
- RNA만 교체하면 얼마든지 새로운 유전자 가위를 만들 수 있어 편리하다. 두 사람은 절단효소로 Cas9을 쓰는 ‘크리스퍼-캐스9’을 개발했다. 두 사람이 개발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사람과 동·식물 세포에서 특정 유전자가 있는 DNA를 잘라내는 효소다. 교정을 하려는 DNA를 찾아내는 길잡이 RNA와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