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절
분할
분리
절제
자르기
단교
절교
뉴스
"
절단
"(으)로 총 313건 검색되었습니다.
여성의 두 번째 X 염색체 조절과정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3.07
삭제된 유전자 구간의 기능을 체계적으로 분석했다. 지스트 유전자의 전체 혹은 부분을
절단
해 대규모 전사체 분석과 형광 이미지 분석을 수행했다. 연구팀은 기존에 밝혀진 생쥐의 지스트 RNA와 상이한 인간 지스트 RNA의 기능과 활성부위를 밝혔다. 생쥐의 경우 지스트 RNA에서 핵심 기능을 하는 ... ...
‘30억명 중 범인 후보 60명 찾는 실력’ 염기교정 가위 정확도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19.03.05
가위의 표적이탈은 이보다도 적게 나타났다(더 정확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절단
유전체 해독 기술이 다양한 염기교정 기술의 정확도를 확인하는 데 두루 적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수시로 정확도를 확인하면 세포 치료 등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된다. ... ...
한울 원전 1호기 정기점검 마치고 6개월 만 재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19.02.27
때 나는 소리를 바탕으로 격납건물 콘크리트에 틈이 생긴 것으로 의심되는 부위를
절단
한 결과 장비출입용 대형 관통부에 등 3개소에서 틈이 발견돼 보수를 완료했다. 안전관련 구조물과 비안전 구조물에서는 다른 결함이 발견되지 않았다. 증기발생기 내부 검사 결과에서는 별다른 이물질은 ... ...
외과 전공의, 긴장감 없는 환경서 배워야 훈련효과 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5회에 걸친 연습을 거치는 동안 측정한 학생들의 수술 점수는
절단
의 경우 50%, 봉합은 60% 가량 올랐다. 수술 연습과정에서 인중의 열화상 영상으로 측정한 학생들의 스트레스는 아무 일도 하지 않는 일상상태의 수준을 연습 내내 유지했다. 파블리디스 교수는 “정교한 ... ...
최고 가성비 국산 ‘로봇의족’ 개발했어도 “살 사람 없네”…보조금 13년째 동결
2018.12.12
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현재 국내 하지
절단
장애인은 2만7000여 명에 이른다. 상지
절단
장애인은 이보다 더 많은 12만4000여 명이다. 로봇 의족이 실제 장애인에게 보급되려면 여전히 정부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다. 의족은 장애인복지법에 따라 1999년 10월부터 의지보조기로 분류돼 건강보험을 ... ...
"기술은 팔았지만 배아 실험할지 몰랐다" 유전자 편집기술 관리 '빨간불'
동아사이언스
l
2018.12.04
가위가 사용됐다. 미국 유전자 교정 분야에서 앞선 회사인 서모피셔사이언티픽은
절단
효소인 CAS9 단백질을 공급했다. 미국 스타트업 기업인 신테고의 RNA 합성 지침 기술은 RNA 합성에 대한 일종의 안내서이다. 유전자 편집을 정육점 고기를 자르는 것으로 가정한다면 서모피셔사이언티픽은 고기를 ... ...
호주의 귀염둥이 ‘웜뱃’ 똥이 네모난 이유
과학동아
l
2018.12.03
만들어진다고 설명했다. 직육면체 모양 인공물을 만들 때는 보통 거푸집을 사용하거나
절단
을 해서 만든다. 양 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어떻게 부드러운 유기조직이 네모꼴을 만들 수 있는지 힌트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 애틀란타에서 열리는 미국물리학회 ... ...
화성 착륙 임박한 탐사선 인사이트 '공포의 7분'을 극복하라
2018.11.23
특징들이 어떻게 존재하게 됐는지도 함께 밝혀낼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인사이트의
절단
면. NASA 제공 과학자들이 지구의 구조에 대해 알고 있는 정보들은 지구 내부 지진파의 추적에서 비롯됐습니다. 유고슬라비아의 지구 물리학자 안드리아 모호로비치치는 1909년 지진에 의해 발생한 ... ...
꽉 막혀버린 총
팝뉴스
l
2018.11.19
게 뚫리지 않았다. 계속 총을 쐈다. 총 8번의 총알을 쏘고는 포기했다. 나중에 총을
절단
해보니 위와 같은 모양이었다고 한다. 사진은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인기가 높은데 “신기하다”는 반응이 압도적이다. 대단히 보기 드문 상황을 촬영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 ...
'빵 덕후'라면 놓치지 말자, 밀 유전자 지도
과학동아
l
2018.11.17
기술을 사용했다. 밀 게놈을 평균 길이가 76개 염기쌍인 긴 DNA 조각으로
절단
하고 이것을 컴퓨터에 입력해 재조합하는 ‘샷건 시퀀싱(shotgun sequencing)’ 기술이 쓰였다. IWGSC에 한국 대표로 참여하고 있는 서용원 고려대 생명공학부 교수는 “덕분에 밀의 중요 특징을 결정짓는 유전자들이 어디에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