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절
분할
분리
절제
자르기
단교
절교
뉴스
"
절단
"(으)로 총 327건 검색되었습니다.
호주의 귀염둥이 ‘웜뱃’ 똥이 네모난 이유
과학동아
l
2018.12.03
만들어진다고 설명했다. 직육면체 모양 인공물을 만들 때는 보통 거푸집을 사용하거나
절단
을 해서 만든다. 양 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어떻게 부드러운 유기조직이 네모꼴을 만들 수 있는지 힌트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 애틀란타에서 열리는 미국물리학회 ... ...
화성 착륙 임박한 탐사선 인사이트 '공포의 7분'을 극복하라
2018.11.23
특징들이 어떻게 존재하게 됐는지도 함께 밝혀낼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인사이트의
절단
면. NASA 제공 과학자들이 지구의 구조에 대해 알고 있는 정보들은 지구 내부 지진파의 추적에서 비롯됐습니다. 유고슬라비아의 지구 물리학자 안드리아 모호로비치치는 1909년 지진에 의해 발생한 ... ...
꽉 막혀버린 총
팝뉴스
l
2018.11.19
게 뚫리지 않았다. 계속 총을 쐈다. 총 8번의 총알을 쏘고는 포기했다. 나중에 총을
절단
해보니 위와 같은 모양이었다고 한다. 사진은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인기가 높은데 “신기하다”는 반응이 압도적이다. 대단히 보기 드문 상황을 촬영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 ...
'빵 덕후'라면 놓치지 말자, 밀 유전자 지도
과학동아
l
2018.11.17
기술을 사용했다. 밀 게놈을 평균 길이가 76개 염기쌍인 긴 DNA 조각으로
절단
하고 이것을 컴퓨터에 입력해 재조합하는 ‘샷건 시퀀싱(shotgun sequencing)’ 기술이 쓰였다. IWGSC에 한국 대표로 참여하고 있는 서용원 고려대 생명공학부 교수는 “덕분에 밀의 중요 특징을 결정짓는 유전자들이 어디에 ... ...
소니 아이보 울릴 로봇 고양이 한 마리 키워볼까?
2018.11.16
생체공학적인 골격 디자인을 적용해 3D 퍼즐처럼 조립할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레이저로
절단
한 나무 조각은 나사 없이 연결할 수 있습니다. 2개의 3.7V 리튬 이온 배터리로 작동합니다. 3D 입체 퍼즐처럼 구성된 니블의 키트. 펫토이 제공 고양이 로봇의 초격차는? 니블은 내년 4월 배송을 목표로 ... ...
RNA연구 핵심장비 '극저온현미경' 중국 대학 한곳에 6대…한국은 내년에 두 번째 도입
동아사이언스
l
2018.11.05
정보가 있는 부분(액손)을 읽기 위해 DNA 중 불필요한 부분(인트론)을 잘라내는 ‘RNA
절단
(RNA splicing)’을 담당하는 효소인 ‘스플라이소좀’이 잘못 기능해 결함이 생기면 많은 질병이 발생한다”며 “여기에 관련한 기초과학을 RNA 생물학을 통해 발전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함께 인터뷰에 ... ...
"빛을 도구로 쓰는 인류의 탄생”…노벨물리학상 발표현장 이모저모
과학동아
l
2018.10.03
존재였다. 레이저는 매우 작은 곳에 초점을 맞출 수 있는 가늘고 긴 빛으로, 용접이나
절단
을 할 때 엄청난 힘을 낸다. 수십억 명의 전 세계 사람들이 레이저프린트나 바코드를 이용할 때마다 사용되기도 한다. 놀라운 레이저 쇼도 있고 레이저 수술로 피부 치료를 받기도 한다." "레이저 분야는 ... ...
합성섬유 원료 '폴리우레탄' 생산 편리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이번에 개발한 방식을 이용하면 이소시아네이트 외에도 다양한 화학물질을 결합하거나
절단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윤호 교수는 “새롭게 발견한 금속-리간드 협동성을 활용하면 저온‧저압 조건에서 이소시아네이트를 합성할 수 있다”며 “추후 관련 산업 및 일산화탄소 기반의 ... ...
한빛4호기 격납건물서 공극 30개 확인…조사범위 확대키로
동아사이언스
l
2018.09.12
4호기 구조물 건전성 등을 점검하기 위해 네 차례에 걸쳐 116개소에 대한 샘플
절단
을 실시한 결과 30개소에서 공극을 발견했다고 보고했다. 지난해 11월 진행된 1차 조사에서 공극 2개가 처음 발견된데 이어 지난 5월 진행된 2차 조사에서 6개, 지난달 이뤄진 조사에서 공극 깊이가 38㎝인 곳을 포함해 2 ... ...
유전자 가위 세기의 특허戰 종지부… "최후 승자는 MIT·하버드대"
동아사이언스
l
2018.09.11
현 독일 막스플랑크 감염생물학연구소장)팀은 2012년 미생물의 면역 시스템인 크리스퍼와
절단
단백질 캐스나인(cas9)을 활용해 미생물 유전자를 정밀 교정할 수 있는 크리스퍼-Cas9를 처음 고안했다. 다우드나 박사는 크리스퍼 기술의 잠재성을 알아보고 바로 미국에 특허를 출원했다. UC버클리의 독주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