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절
분할
분리
절제
자르기
단교
절교
뉴스
"
절단
"(으)로 총 327건 검색되었습니다.
장애인도 우주여행 하는 시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28
우주 업체들은 최근 신체장애인에 대한 지원을 늘리기 시작했다. ESA는 지난 2월 다리
절단
또는 두 다리 길이가 다른 장애인들의 우주비행사 지원을 수락하고 있으며 추후 장애 유형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장애로 인한 한계는 과학기술로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우주기업 ... ...
[인터뷰]식물에게 듣는 노화의 비밀
과학동아
l
2021.09.11
노화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우 교수팀은 모델 식물인 애기장대의 잎에 DNA 이중 가닥
절단
(DSBs)이 생기도록 했다. 그 뒤 이를 수리하는 효소(ATM)의 활성과 노화가 얼마나 관련이 있는지 확인했다. 그 결과 ATM의 활성이 떨어지면 잎이 노랗게 변하는 등 노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 ...
RNA 바이러스 표적 초고감도로 검출…"코로나19 조기진단 기여"
연합뉴스
l
2021.07.15
어려웠다. 연구팀은 기존 '나스바'(Nucleic Acid Sequence-Based Amplification) 등온 증폭 기술에
절단
효소를 인식하는 염기서열이 더해진 프라이머를 도입, 기존 나스바 기술의 100배 이상의 민감도로 표적 RNA를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별도의 온도 변환 과정 없이 ... ...
뛰는 것 빼곤 다 된다…국내 첫 무릎형 로봇 의족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1.06.15
때는 로봇 의족이 몸을 들어 올려주는 역할도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기계연은 손이
절단
된 장애인을 위한 로봇 의수도 개발 중이다. 개발 초기 단계이지만 기존 제품보다 가볍고 손가락 5개가 자유롭게 움직이게 만드는 데까지 성공했다. 무게는 570g이다. 2025년 상용화될 때는 이보다 더 가볍게 ... ...
1년 5개월전 남아프리카 인터넷 먹통 원인 알고보니 '해저 산사태'
동아사이언스
l
2021.06.08
더 많은 퇴적물이 흘러내리면서 정상 작동하지 못했다. 다만 일부 케이블이
절단
됐지만
절단
되지 않은 케이블도 있었는데 이는 탁도류의 움직임에 따른 침식 속도의 차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대륙간 모든 데이터 트래픽의 99% 이상이 해저 케이블을 거친다. 해저 ... ...
'유전자 드라이브' 부작용 없는 새 유전자 편집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3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이용해 유전자 3개를 동시에 조작했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DNA
절단
기능을 망가뜨려(dead) DNA를 자르지 못하고 표적 부위에 붙어 있게만 하는 디캐스9 단백질과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계속 촉진하는 액티베이터 단백질을 사용했다. 이렇게 유전자를 조작한 초파리를 ... ...
알츠하이머도 미토콘드리아 질환? 원인 단백질 연관성 발견
연합뉴스
l
2021.05.21
감소한다는 것도 확인했다 반대로 S1R을 활성화하면 베타 세크레타아제의 palAPP
절단
과 액손 내 아베타 생성이 함께 증가했다. 탄지 교수는 "시그마-1 수용체가 특히 액손 내에서 아밀로이드 베타 생성을 억제하는, 중요한 약물 표적이 될 수 있다는 걸 시사한다"라고 말했다. 탄지 교수팀은 ... ...
코로나19 바이러스 진단검사 '게임체인저들'이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1
가위 진단법도 가이드 RNA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유전자를 인식해 유전자가위로 핵산을
절단
하기 전 등온증폭법을 이용해 핵산을 증폭하는 방식이어서 넓은 의미에서는 등온증폭법에 속한다. 하지만 qRT-PCR은 검사에만 4~6시간이 걸리고, 검사 결과가 나오기까지는 24시간 이상 걸린다. 정확도는 ... ...
강하고 질기면서 외부 충격에도 회복하는 자가치유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5.10
규칙적인 수소결합으로 단단해진다(아래 그림). 화학연 제공. 국내 연구진이 실온에서
절단
돼도 스스로 회복하는 자가치유 기능을 가지면서 신발 밑창만큼 질긴 소재를 개발했다. 지금까지 개발된 자가치유 소재 중 기계적 강도가 가장 높은 수준의 소재로 의류나 신발, 타이어, 롤러블·폴더블 ... ...
살기 위해 몸통 잘라 버리는 갯민숭붙이
과학동아
l
2021.04.02
머리는 분리된 지 몇 시간 안에 꿈틀꿈틀 움직여 녹조류를 섭취하기 시작했고, 수일 만에
절단
부위의 상처가 아물었다. 심장은 1주일 내에, 몸통 전체는 3주 내에 재생됐다. 분리된 몸통에서는 머리가 재생되지 않았으나 몇 달간 움직이며 자극에 반응했다. 연구팀은 갯민숭붙이가 포식자로부터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