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절
분할
분리
절제
자르기
단교
절교
뉴스
"
절단
"(으)로 총 313건 검색되었습니다.
개구리 팔다리 재생하는 '마법의 젤'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27
진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개구리를 대상으로 실험했다. 개구리의 사지를
절단
하고 바이오돔으로 하룻동안 둘러싼 다음 재생이 일어나는 지 관찰했다. 그 결과 24시간 치료 후 사지의 재생과정이 시작돼 18개월 만에 완벽하게 사지가 재생됐다. 연구팀은 “기존과 동일한 뼈 구조와 ... ...
통가 화산 폭발이 남긴 이례적 기록들
동아사이언스
l
2022.01.19
‘대화’를 통해 “통가와 피지를 잇는 단 하나뿐인 872km 길이의 해저 케이블이
절단
됐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통가의 섬 간 통신도 두절된 것으로 알려졌다. 통가는 170여 개의 섬으로 이뤄졌으며, 이 중 36개의 섬에만 주민이 살고 있다. 로이터에 따르면 통가 경찰은 확인된 사망자는 2명이지만 ... ...
케냐 고인류학자·코끼리 보호자 리처드 리키 박사 사망
연합뉴스
l
2022.01.03
밀렵꾼과의 전쟁에 나섰다. 그해 12t에 달하는 상아를 불태우면서 상아가 코끼리로부터
절단
되면 아무런 가치가 없다고 역설했다. 그는 무장한 코끼리 밀렵꾼을 보면 바로 실탄 공격을 하라는 명령을 내릴 정도로 거침없었다. 리키 교수는 1993년 자신이 타고 가던 세스나기가 추락해 두 다리를 ... ...
유전자 편집 기술로 실험동물 암수 결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3
있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크게 DNA를
절단
하는 가위 역할을 하는 '캐스나인(Cas9)'과
절단
해야할 부위를 알려주는 ‘가이드 RNA’로 구성된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케스나인을 암컷의 DNA에, 가이드 RNA를 수컷의 X 또는 Y염색체에 집어넣는 방식이다. 생쥐와 같은 포유류는 성별이 ... ...
[전문가 진단]"오미크론 변이 에이즈 섞여도 위험 없어…델타 변이 다음 대유행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1.11.29
부분이 있다"며 "오미크론 변이는 숙주 세포의 이런 효소, 즉 퓨린프로데이스에 의해
절단
되는 부분에 변이(P681H)가 일어났다"고 설명했다. 숙주세포의 면역계가 작용하는 부분에 변이가 일어나 전파력이 커졌다는 얘기다. 김 교수는 "오미크론 변이는 이 부분에 변이가 2개나 있어 전파력이 최대 ... ...
[표지로 읽는 과학] 풍선처럼 공기 넣어 움직이는 소프트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1.11.14
쓸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버블 캐스팅 기술을 이용하면 3D 프린터나 레이저
절단
기처럼 비싼 기계를 사용하지 않고도 소프트로봇을 만들 수 있다. 게다가 다른 액추에이터와 달리 온도나 습도를 바꾸거나 자기장, 전기장을 쓰지 않아도 된다. 연구팀은 사람 머리카락 두께(100µm)만큼 가느다란 ... ...
장애인도 우주여행 하는 시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28
우주 업체들은 최근 신체장애인에 대한 지원을 늘리기 시작했다. ESA는 지난 2월 다리
절단
또는 두 다리 길이가 다른 장애인들의 우주비행사 지원을 수락하고 있으며 추후 장애 유형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장애로 인한 한계는 과학기술로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우주기업 ... ...
[인터뷰]식물에게 듣는 노화의 비밀
과학동아
l
2021.09.11
노화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우 교수팀은 모델 식물인 애기장대의 잎에 DNA 이중 가닥
절단
(DSBs)이 생기도록 했다. 그 뒤 이를 수리하는 효소(ATM)의 활성과 노화가 얼마나 관련이 있는지 확인했다. 그 결과 ATM의 활성이 떨어지면 잎이 노랗게 변하는 등 노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 ...
RNA 바이러스 표적 초고감도로 검출…"코로나19 조기진단 기여"
연합뉴스
l
2021.07.15
어려웠다. 연구팀은 기존 '나스바'(Nucleic Acid Sequence-Based Amplification) 등온 증폭 기술에
절단
효소를 인식하는 염기서열이 더해진 프라이머를 도입, 기존 나스바 기술의 100배 이상의 민감도로 표적 RNA를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별도의 온도 변환 과정 없이 ... ...
뛰는 것 빼곤 다 된다…국내 첫 무릎형 로봇 의족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1.06.15
때는 로봇 의족이 몸을 들어 올려주는 역할도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기계연은 손이
절단
된 장애인을 위한 로봇 의수도 개발 중이다. 개발 초기 단계이지만 기존 제품보다 가볍고 손가락 5개가 자유롭게 움직이게 만드는 데까지 성공했다. 무게는 570g이다. 2025년 상용화될 때는 이보다 더 가볍게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