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10번째 행성에 위성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위성이 발견됐다.미국 캘리포니아공대(CALTEC) 마이클 브라운 교수팀은 미국 하와이 케크
천문
대의 관측결과를 바탕으로 이 행성이 위성을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위성 발견은 지난 9월 10일 10m 천체망원경을 이용해 이뤄졌다. 이 결과는 ‘천체물리학 저널’ 10월호에 발표됐다.이번에 발견된 위성은 ... ...
철새 이동으로 조류독감 바이러스 유럽까지 전파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때의 출발점 이 점에서는 적어도
천문
학적 경도 · 위도 및 이 점에서 다른 점으로의
천문
학적 방위각(方位角)이 결정되어 있어야 한다자성재료 중 투자율(透磁率)이 크고 보자력(保磁力)도 큰 것 영구자석 · 자기테이프 등에 이용되고 있다 페라이트는 대표적인 경자성재료이다 염화비닐수지를 ... ...
천문
학자 울린 샛별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됐다. 8년을 기다린 바로 그날, 예상대로 하늘은 구름 한점 없이 맑았다. 르장티는
천문
학사에 새로운 역사를 쓰게 될 자신을 생각하며 회심의 미소를 지었다. 그러나 이게 어찌된 일일까? 금성일면통과가 시작될 무렵, 그토록 맑던 하늘에 갑자기 구름이 끼기 시작했다. 그가 그토록 고대하던 ... ...
2000년을 넘나드는 별지기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수준으로 발전하고 있었다. 안 박사는 “조선이 1910년 일제의 식민지가 됐다고 하지만
천문
학의 관점에서 보면 150년 전에 이미 예고가 된 셈”이라고 강조했다.그러나 그는 한민족의 남다른 별사랑에서 미래의 희망을 찾는다.“우리 조상들은 관 밑에 까는 널빤지에 북두칠성을 본따 일곱 개의 ... ...
우주개발에 대해 알고 싶은 7가지 궁금증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제안했습니다. 실현 된 것은 40년이 지난 후에 만들어진 허블우주망원경이지요. 지상의
천문
대에서 모든 천체를 관찰할 수 있다면 좋지만 대기의 영향으로 관측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우주로 망원경을 보내는 것이지요.Q 스피카는 어떤 우주망원경인가요? 허블우주망원경하고는 차이가 있다고 ... ...
우주 할아버지의 분노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가장 오래된 감마선 폭발이 발견됐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의
천문
학자 다니엘 레이차트 교수는 “지구에서 121억 광년 떨어진 별에서 감마선 폭발이 일어나는 장면을 보는데 성공했다”고 미국항공우주국(NASA) 뉴스에서 최근 밝혔다. 감마선 폭발은 우주에서 일어나는 여러 폭발 현상 중 가장 ... ...
2. 번개처럼 사라지는 입자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데 걸리는 시간으로 새롭게 정의했다. 즉 세슘원자시계를 이용해 측정한 원자시와
천문
시 사이에 발생하는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윤초를 넣은 것이다.1초밖에 안되는 윤초를 무시할 정도로 짧은 시간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통신이나 항해, 항공, 금융시스템에서는 엄청나게 긴 시간이다. 1초 ... ...
월식도 주기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하늘의 징표라 할 일식이나 월식을 미리 알아내는 것이 대단히 중요했다. 이를 위해
천문
학을 제왕의 학문으로 삼았고 이를 연구하는 관직을 둬 특정 사람들만 연구하게 했다.지구와 달의 운행을 손바닥 보듯이 알고 있고, 또 계산할 수 있는 요즘에는 일식이나 월식을 예측하기란 그리 어려운 일이 ... ...
외계행성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대한 구체적 증거를 찾기 위한 연구가 이뤄질 것이다. 외계행성과 생명체에 대한 연구는
천문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고 기본적인 주제였지만 이제 막 싹을 틔운 새로운 분야이다. 지난 10여년 동안의 외계행성 탐사가 우주공간에서 우리 존재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기나긴 여정의 시작이었다. ... ...
4. 우주는 뻥튀기한 것이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셈이다.생각할 수 있는 가장 짧은 시간우주가 빅뱅에서 시작됐다는 아이디어는 미국
천문
학자 에드윈 허블의 관측 결과에서 나왔다. 1929년 허블은 당시 세계 최대 망원경으로 여러 은하를 관측해 은하들이 거리가 멀수록 더 빠르게 멀어진다는 사실을 발표했다. 즉 우주가 팽창한다는 사실을 처음 ... ...
이전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