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스페셜
"
천문
"(으)로 총 25건 검색되었습니다.
끈이론의 대가, 삼라만상의 정보에 심취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21
싶습니다." '끈이론 연구의 대가' IBS 순수이론물리 연구단 이수종 연구단장(서울대 물리
천문
학부 교수)은 양자장, 중력 및 끈이론 연구그룹을 이끌며 연구 포부를 이렇게 밝혔다. 그는 지난 7월 1일 부터 순수이론물리 연구단 공동연구단장으로 연구팀을 이끌고 있다. 서울대 관악캠퍼스에서 이수종 ... ...
일반상대성이론 100주년, 인류의 삶이 달라졌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5.12.29
폭도 그만큼 커져야 한다. 이른바 '중력 렌즈' 현상이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영국
천문
학자 아서 에딩턴(1882~1944)은 1919년 개기일식이 발생해 하늘이 어두워졌을 때 태양 주변에 있던 별의 사진을 찍었다. 그리고 평소에 찍어둔 별 사진과 비교했다. 그러자 아인슈타인이 예측했던 수치 그대로 별의 ... ...
올 크리스마스에는 산타가 되어보자
과학동아천문대
l
2015.11.16
“올 크리스마스에는 나도 산타!” 과학동아
천문
대는 어린이 체험활동 전문기업인 Y-kiki와 함께 ‘Becoming Santa Project'를 연다. 이번 행사는 크리스마스 시즌을 ...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에서 확인가능하다. (과학동아
천문
대 홈페이지 : http://star.dongascience.com ... ...
2030년에 미니 빙하기가 온다고?
KISTI
l
2015.10.20
‘마운더 극소기(maunder minimum)’라고 명명했다. 그 같은 현상을 기록한 19세기 영국인
천문
학자 E. W. 마운더의 이름을 딴 작명이었다. 그런데 지난 7월 영국 노섬브리어대학 연구팀은 2030년부터 2040년 사이에 ‘마운더 극소기’에 버금가는 ‘미니 빙하기’가 닥칠 것이라는 주장을 제기해 주목을 ...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는가?
IBS
l
2015.03.26
결과가 나오지는 않았다. 그러나 미처 기대하지 않던 곳에서 실마리가 잡혔으니, 바로
천문
학이다. 현대의 우주론에 따르면 우주 초기에는 좁은 공간에 엄청난 에너지가 모여 있어 시간과 공간의 구분이 의미가 없었으며, 양자역학으로 설명할 수 있는 힘과 상대론의 중력이 모두 통합되어 있었다. ... ...
모든 것의 시작을 찾는 여정
IBS
l
2015.02.25
일반상대성이론을 입증했던 중요한 실험 중 하나가 바로 1919년의 일식 관측이었다.
천문
학자인 스탠리 에딩턴은 태양처럼 질량이 큰 천체는 중력에 왜곡을 일으켜 빛의 진행방향을 휘어 놓을 것이고, 이 때문에 ‘렌즈’의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생각했다. 실제로 일식 때 태양의 주변을 관측한 ... ...
[MATH] 시간 기록은 어떻게 할까?
KISTI
l
2015.02.09
윤초라고 한다. 프랑스 파리에 있는 국제지구자전국(IERS, International Earth Rotation Service)은
천문
시간에 원자 시간을 맞춰 여러 나라와 국제기구에 윤초에 관한 정보를 공지해 주는 의무를 띄고 있다. IERS에서는 윤초를 12월이나 6월의 마지막 날에 더하는데, 필요하다면 3월과 9월의 마지막 날에 끼워 ... ...
봄꽃과 함께 즐기는 전국의 과학관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0.29
고흥우주항공축제'가 열린다. 우주과학관을 비롯해 국립청소년우주체험센터와 고흥우주
천문
과학관 등 고흥의 또 다른 과학관도 함께 축제에 참가한다. 8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진 팔영산 자락에는 1981년 15만 그루의 편백나무로 조성한 숲길이 이어진다. 길가에는 노랗고 납작한 복수초 꽃 무리가 ... ...
안전하게 우주 비행하기
KISTI
l
2014.07.02
정착 생활을 했다. 그 해답을 천체들의 움직임에서 얻었던 것이다. 생활과 밀접한
천문
학이 발전하면서 우주에 대한 호기심을 갖고 연구하기 시작했다. 오랜 연구 끝에 1961년 4월 12일, 인류 최초의 우주 비행사 유리 가가린을 태운 보스토크 1호는 지구의 대기를 벗어났다. 우주 탐사에 대한 인류의 ... ...
[이달의 역사]대항해 시대를 연 캡틴 쿡의 일생
KISTI
l
2014.05.14
좋은 과학 장비를 싣고 영국을 출발했다. 승선 인원은 총 200여 명으로 선원뿐만 아니라
천문
학자 등 과학자들도 포함됐다. ■ 대항해 시대와 괴혈병 2차 항해는 쿡의 이름을 세계적으로 높이는 계기가 되었는데 그것은 당대의 항해에서 고질병이었던 괴혈병을 치료하는 선구자가 됐기 때문이다. 1 ... ...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