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진 생존자를 위한 '따뜻한 텐트'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천구상에 투영된 각 천체의 위치 · 운동 · 크기 등을 연구하는
천문
학의 한 분과 실제의
천문
학· 천체역학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천구상에서 태양 · 달 · 행성 · 항성 등 천체의 겉보기 위치나 운동 · 크기 · 표면에 나타나는 모양을 조사하여 전체의 크기, 그 곳까지의 거리 및 공간의 운동 등을 ... ...
시리우스 커플의 빛나는 댄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50밖에 안될 정도로 대단히 작다. 백색왜성의 존재는 별의 성장을 해결해 주는 열쇠가 돼
천문
학 발전에 큰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낮에도 보이는 시리우스해가 뜬 대낮에는 별이 보이지 않는다. 물론 별이 사라져서 안보이는 것이 아니라 태양빛이 너무 밝기 때문인 것이다. 우리는 경험으로 이 ... ...
괴물 오징어 사진촬영 첫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만들어져 있으며 연구자들은 라이브러리를 통해 원하는 유전자를 얻어 실험에 쓸 수 있다
천문
학에서 거리를 재는 단위의 하나 지구에서 태양까지의 거리가 1AU다태양계 초기에 가스와 티끌 등이 뭉쳐 만들어진 수km 크기의 작은 행성 나중에 응집이나 충돌을 통해 행성으로 자라나기 때문에 행성의 ...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있는 ‘힉슨 그룹’에 관한 한은 스페인 동료와 함께 세계 최고 전문가로 인정받는다.
천문
학이라면 이 주제 저 주제 가리지 않고 관심이 너무 많은 것이 단점이라며 주변에서 충고한다고.▼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를 뒤지는 한국인 INTRO X선에서 전파까지 합동수색작전 1. 137억년 전 우주를 ... ...
3. 거대한 별의 인큐베이터 옆에서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박사후 과정을 밟았다. 물론 처음부터 그녀가 적외선 연구에 관심을 가졌던 것은 아니다.
천문
연구자라면 가질 법한 수준의 관심정도였다고 그녀는 말한다. 당시 그녀의 전공이자 관심은 초신성.우연찮게 대학원 시절 옆방 동료이자 이제는 평생 반려자가 된 리치 박사의 연구를 접한 그녀는 ... ...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지난해 6월부터 올해 9월까지 1년 넘게 CFHT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11월부터는제미니
천문
대에서 송 박사와 함께 연구할 예정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를 뒤지는 한국인 INTRO X선에서 전파까지 합동수색작전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2. 은하의 먹이사슬 밝힌다3. 거대한 별의 인큐베이터 ... ...
수천개 은하들 무리에 뛰어들어 초속 600km로 날아가는 우주 화살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이미지를 동시에 갖고 있다. NGC1427A는 사실 우리은하처럼 별과 가스로 구성된 은하다.
천문
학자들은 이 은하가 주변 가스 및 은하들과 상호작용으로 비틀려 화살촉 모양이 됐다고 설명한다. 이런 상호작용 덕분에 가스가 뭉쳐 새 별들이 탄생할 수 있게 해준다. 은하에서 파랗게 빛나는 별들이 새로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우주에서 블랙홀보다 좋은 쓰레기통은 없을 것입니다. 근처에만 가도 뭐든지 빨려 들어갈 테니까요. 블랙홀은 아마 우주신령님이 골프를 칠 때도 많이 이용될 것입니다. 이 만화에서는 바로 옆에 있는 적색거성을 빨아먹고 있는 블랙홀을 그려 봤습니다. 적색거성이란 온도가 떨어져 표면이 붉게 ... ...
INTRO X선에서 전파까지 합동수색작전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현장에 비유될 수 있겠다.이제 인류의 진화와 개인의 일생에 비유될 수 있는 7명의
천문
학자 이야기를 들어보자. 이들은 모두 한국에서 나고 자라서 세계 최첨단 현장에서 뛰고 있는 한국 대표주자들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를 뒤지는 한국인 INTRO X선에서 전파까지 합동수색작전 1. ... ...
2. 은하의 먹이사슬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그는 한국에서
천문
학이 날개를 달고 우주로 날아오르기를 바란다.그가 할 수 있는 일은
천문
학을 전공하는 후배들을 도와주는 것. 지금도 그와 함께 챔프를 연구 중인 한국인 박사후 연구원을 지도하고 있다. 이 말도 빠뜨리지 않았다. “미국은 공교육에서 수학이 약하다고 하지만 심하다고 느낄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