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때문에 너무 의존해서는 안된다는 반대 의견도 있었지요. 그렇다면 소행성을 탐사할 때 생각해야 할 점은 무엇일지 별빛 미션왕에 선정된 이은수 학생의 의견을 들어 볼게요.“소행성은 빠르게 움직이고 크기가 작아서 이곳에 가기 위해서는 성능이 좋은 우주선이 필요해요. 또, 어떤 위험이 있을지 ... ...
- [특집]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수학동아 l2021년 03호
- y절편)을 더해줘야 합니다. 편향은 고려하는 조건과 상관없는 에프매스의 특성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평소 에프매스가 외출하는 것을 좋아했다면 날씨, 친구, 대중교통과 관계없이 에프매스가 축제에 갈 확률이 높겠죠? 하지만 아직 에프메스에 대해 데이터를 학습하지 않은 AI는 에프매스의 ... ...
- [수담수담] 마음의 공식을 알면 수학 공식이 보인다!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기자 : 상담심리학과 수학은 어떤 관련이 있나요?조난숙 교수 : 수학과 심리학은 생각보다 공통점이 많아요. 두 학문은 모두 현상에서 패턴을 발견하고 문제를 푸는 학문입니다. 수학은 수학 문제를, 심리학은 어떤 사람이 처한 인생의 문제를 해결해야 하죠. 또 수학은 일종의 ‘도구 학문’의 ... ...
- [매스포터] 국제표준도서 마지막 숫자의 비밀수학동아 l2021년 03호
- ※ 편집자 주 수학동아 기자단 ‘매스포터’는 수학동아 독자들이 직접 기사를 쓰고 공유하는 활동입니다. 폴리매스 홈페이지를 통해 참여할 수 있으며, 좋은 기사는 ... 있도록 더미를 나누면, 마술을 진행한 후 네 개 더미 맨 위의 카드는 모두 에이스 카드가 됩니다. 생각보다 간단하죠 ... ...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두께는 충분치 않았다.당황했지만 한편으로는 우리가 찾던 부빙을 발견해 다행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전 지구 기후에 엄청나게 중요하고, 사람들이 사는 저위도의 기후 패턴에 막대한 영향을 주는 북극의 악화된 모습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부빙 위에 올라선 우리는 쇄빙선에서 탐사 ... ...
- AI 법학 │ ‘차별하는 AI’를 극복하려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비용으로 회피할 수 있기 때문이죠. 이런 비교는 공리주의적 관점의 특징입니다.학생 E 생각해보니 데이팅 앱 사건의 경우에는 법적으로 해를 입은 사람이 없으니 자유주의적 관점에 따르면 규제할 수 없겠네요. 하지만 공동체주의적 관점에서는 규제할 수 있지 않나요? 관점에 따라 결론이 ... ...
- [이공계 잡터뷰] 세상에 없는 꽃 만드는 화훼연구원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띄었다. 내 손에서 탄생하는 신품종흔히 대부분의 장미가 야생에서 태어난 품종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현재 화훼농가에서 재배되는 대부분의 장미 품종은 야생종이 아니라, 인공적인 교잡을 통해 만들어졌다. 이들을 상업적으로 재배하는 경우에는 소유권을 가진 곳에 로열티를 ... ...
- [수콤달콤 연구원의 비법노트] 모으고 가르다 보면 더하고 빼기가 쉬워져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모으기와 가르기를 해볼까요? 예를 들어 ‘53-26’을 한다면 아래와 같이 다양한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답니다. 53을 40과 13으로 가르거나 40과 10, 3으로 가르고, 이를 ‘다시 묶음 짓기’를 할 수 있어요. 이처럼 수를 다양한 방법으로 모으고 가를 수 있다면, 한 가지 방법이 아닌 다양한 방법으로 ... ...
- [특집] 딥러닝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힌트를 알 수 있답니다. 딥러닝에 데이터를 많이 넣다 보면 언젠가는 해결해 주겠지라는 생각도 틀린 것은 아니에요. 그런데 그렇게 될 거라고 어떻게 확신할 수 있을까요? 앞서 말한 것처럼 1980년대에 수학적으로 증명했기 때문이에요. 많은 인공지능 연구자들이 “하다 보면 언젠가는 될 ... ...
- [기획] 동양 vs 서양, 누가 먼저 찾았을까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외접하는 정다각형의 둘레보다 길이가 짧고, 내접하는 정다각형의 둘레보다는 길다고 생각한 겁니다.아르키메데스는 그림①처럼 외접하고 내접하는 정96각형 두 개를 이용해 원주율이 223/71과 22/7 사이에 있음을 알아냈습니다. 사실 이 시기에는 소수의 개념이 없어 분수로 값을 표기했는데요. 이를 ... ...
이전1771781791801811821831841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