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견
사색
사고
마음
느낌
아이디어
착상
d라이브러리
"
생각
"(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SF 소설] 미래에게 가르치다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하겠구나. 갑자기 외할머니에게 좀 죄송해졌다. 외할머니, 저는 아무래도 외할머니를
생각
보다 많은 곳에 팔아먹은 것 같습니다. 4000 포인트로 할머니 납골당에 레쓰비 캔 커피라도 하나 사 갈 걸 그랬나요. 생전에 마시면 잠이 안 오니 어쩌니 하셔도 냉장고에 항상 다섯 캔씩 구비해 두시고 제가 ... ...
[과동키즈] “당신의 이야기로 숲을 가꿉니다”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얻어갈 방법을 찾고 있다.나는 이 모든 일이 청소년기에 꿨던 꿈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
한다. ‘애니메이션 감독이 돼 멋진 이야기로 사람들에게 감동을 선사하겠다’는 그때의 꿈을 지금은 다양한 사업 모델을 통해서 실현하고 있다. 자연의 아름다운 경험과 이야기를 놀라운 방법으로 ... ...
[기획] 페로몬만 믿고 따라와!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생각
보다 길이 너무 험하고 멀기만 하네. 동생들이 계속 뒤처지고 있어. 동생들의 체력이 걱정되긴 하지만, 길을 잃을 걱정은 안 한다고! 내가 뿌리는 페로몬이 있기 때문이지! 개미는 어떻게 의사소통을 할까요? 개미는 주로 ‘페로몬’이라는 화학물질을 묻히는 방식으로 길을 알려줍니다. ... ...
수학 기자가 풀어드립니다! 서울+부산 시장, 보궐선거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4월 7일 한국에서 가장 큰 도시인 서울과 부산에서 시장 보궐선거를 치릅니다. 보궐선거는 이전 당선자가 임기를 마치지 못했을 때 남은 기간을 채울 사람을 뽑는 선 ... 치르고 있거나, 이미 결과가 나온 상태일 거예요. 여권과 야권 후보의 대결을 수학을
생각
하며 끝까지 지켜봐 주세요 ... ...
코로나19도 막을 수 없는 열정 마스크 쓰고 파이데이!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기획하는 것은 무척 부담스러운 일이라는
생각
이 들었거든요. 공부하는 시간을 뺏긴다는
생각
이 들지 않았냐는 질문에 3학년 최서영 양은 “물론 입시 준비를 해야 하는 부담도 있지만, 즐거워서 하는 일이었기 때문에 학습 시간 외에 쉬는 시간과 잠자는 시간을 아껴 적극적으로 참여했다”고 ... ...
[기획] 소리를 전시하다, 연출가 강신욱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전시회의 대한 힌트도 과학에서 얻었다. 20세기 초에 양자역학이 나오면서 파동으로만
생각
됐던 빛이 입자의 성질을 띤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강 연출가는 빛 입자의 단면을 하나씩 자르면 그게 각각의 이미지가 될 것이라고 상상했다. 그리고 이런 단편적인 이미지를 모아 음악과 화면으로 ... ...
블레즈 파스칼의 일기(1623~1662)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4호
그래서 돈은 3:1로 나눠야 한다. 며칠 전 페르마에게 편지를 써 의견을 물었더니 그도 내
생각
에 동의했다. 과연 드 메레는 어떤 반응을 보일까? 돈을 많이 얻게 되어 기뻐할 것 같다. 답장을 기다려봐야겠다 ... ...
[특집] 미션1. 식량을 공평하게 나눠라!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될 것 같죠? 그런데 똑같이 나눈다고 공평한 게 아닙니다. 빵 42개를 3명에게 나눠준다고
생각
해 봅시다. 모두에게 똑같은 양만 나눠줘도 된다면 빵 종류에 상관없이 각자에게 14개씩 주면 돼요. 하지만 맛있는 초코소라빵을 모두 최소 1개는 맛보고 싶다면 어떨까요? 빵을 위의 그림처럼 나누면 ... ...
앨런 튜링의 일기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어제부터 방독면 없이 출근하기 시작했다. 5월 말까지만 해도 공기 중에 꽃가루가 많아서 자전거를 타고 움직일 때 방독면을 써야 했다. 방독면을 써서 그런지 문득 제 2차 세계대 ... 년 뒤에는 컴퓨터의 진짜 정체를 알아차릴 확률이 70% 이하인 기계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
생각
한다 ... ...
[여섯 번째 대멸종] 한 종이 사라지면 생태계가 와르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대멸종 후 새로운 종들이 출현해, 지구 전체의 생물 종 수가 균형을 맞춰왔다고
생각
했어요. 살아남은 종들이 달라진 환경에 적응해 다양하게 분화하고 진화한다고 말이죠. 하지만 지난해 12월 15일, 일본 도쿄공업대학교 지구생명과학연구소 제니퍼 호열 컷힐 박사팀은 대멸종과 새로운 종의 탄생엔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