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국립"(으)로 총 2,042건 검색되었습니다.
- 심장 세포가 심장만 만들 수 있는 이유를 찾는 과학자들동아사이언스 l2017.10.15
- 이용해 연구한 유전자 발현과 관련된 논문 4건이 발표됐기 때문입니다. GTEx는 2010년 미국국립보건원을 중심으로 시작된 국제 컨소시엄입니다. 미국 하버드대, 영국 옥스퍼드대, 스위스 제네바대 등 여러 대학을 포함해 참여한 연구원만 100명을 훌쩍 넘는 거대 프로젝트입니다. 컨소시엄 내용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2017.10.10
- 바이스와 드레버의 입장차가 워낙 커 일이 진전되지 않자 연구비를 대는 미국립과학재단(NSF)이 해결책을 촉구했고 결국 칼텍의 로커스 보트 교수를 초대 소장으로 영입해 1987년 라이고 프로젝트가 출범했다. 바이스는 부고에서 드레버가 라이고의 개념을 확립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고 인정하면서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2017.09.19
- 지난해 학술지 ‘플로스원’에 SFTS바이러스의 기원과 진화에 대한 논문을 실었다. 미국 국립생물정보센터에서 운영하는 게놈 데이터베이스인 진뱅크(GenBank)에 등록된 122개 SFTS바이러스 게놈을 비교분석한 결과 이 바이러스가 대략 40여 년 전 중국 중부의 다볘산에서 기원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 ... ...
- 토스터 크기 소형 탐지기, “유령을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7.09.17
- 표지를 장식했다. ‘유령을 찾았다’는 문구와 함께 소개된 이 물건은 미국 오크리지국립연구소(ORNL)가 개발한 소형 중성미자 탐지기인 ‘파쇄중성자원(SNS)’의 모습이다. 제이슨 뉴바이 ORNL 연구원 등 국제 공동 연구진은 높이 60㎝, 무게 14.6㎏에 불과한 이 작은 탐지기로 우주의 유령으로 불리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2017.09.12
- 이미지와는 거리가 좀 느껴진다. 집에 와서 이유미 국립수목원 원장이 남편 서민환 국립환경연구원 연구관과 함께 쓴 ‘어린이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풀백과사전’(필자가 보기에 어린이 책이 아니다!)을 뒤적거려보니 정말 두 종이 맞았다. 잎이 세 갈래인 게 나팔꽃(학명 Ipomoea nil)이고 하트모양인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섹스와 젠더의 과학2017.08.29
- FDA는 여성의 경우 복용량을 기존의 절반으로 줄이게 했다. 스테패닉 교수는 “2016년 미국립보건원(NIH)은 성별(sex)을 생물적 변수로 명시할 것을 요구했다”며 이제 의학에서 섹스의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이래저래 과학에서도 젠더와 섹스가 제대로 정립되고 있는 것 같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2017.08.15
- 모습이고 오른쪽은 플라스틱 조각을 집으로 쓰려고 하는 소라게의 모습이다. - 미국립과학원회보 제공 ● 플라스틱 제조 누적량은 83억 톤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7월 19일자에는 지금까지 인류가 만든 플라스틱의 양과 현재 상태를 추정한 논문이 실렸다. 미국 산타바바라 캘리포니아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2017.07.25
- 그 부분에서 참고문헌으로 툰베리의 책을 인용하지는 않았다. 반면 2014년 학술지 ‘미국립과학원’ 회보에는 툰베리의 100년 넘은 가설을 처음으로 입증했다는 논문이 실렸다. 미국 텍사스대 연구자들은 예쁜꼬마선충이 습도를 지각할 때 정말 기계감각 경로와 온도감각 경로가 관여한다는 사실을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⑪ 외국인 혐오증은 진화적 본성이다?2017.07.16
-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정신장애의 신경인류학적 원인에 대해 연구 중이다. 현재 호주국립대(ANU)에서 문화, 건강 및 의학 과정을 연수하고 있다. '재난과 정신건강(공저)'(2015), ‘토닥토닥 정신과 사용설명서’(2016) 등을 저술했고, '행복의 역습'(2014), ‘여성의 진화’(2017)를 번역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그 많은 양전자(반물질)는 다 어디서 왔을까2017.06.27
- 관측할 수 있다. - 네이처 천문학 제공 ● 칼슘44 존재 미스터리도 덤으로 풀려 호주국립대 롤랜드 크로커 교수팀 등 다국적 공동연구자들은 최신 감마선 관측 데이터와 수치모형을 통해 SN1991bg 유형의 초신성 폭발에서 생기는 동위원소인 티타늄44가 붕괴할 때 나오는 양전자가 0.511MeV 감마선의 ... ...
이전1751761771781791801811821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