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국립"(으)로 총 2,033건 검색되었습니다.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2016.11.23
- 들어오면(물론 한 권이라도) 프린트하고 제본해 보내준다. 역자소개를 보니 공학박사로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일하는 공무원이다. 잠깐 고민하다 새로운 경험이기도 해서 한 번 사봤다. 대학시절 제본한 책보다는 낫지만 일반 출판도서에 비해 모양새는 떨어졌다. 그러나 내용은 기대이상이었다. ... ...
- 자연 속에서 살아있는 과학을 체험하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11.17
- 참여 가족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더 많은 가족, 가족캠프 참여 원해 16일에는 국립생태원에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이어졌다. 가족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에코다이브(EcoDive)'란 프로그램이 있다. 자연환경 조사 전문가와 함께 생태원 내 전시 지역을 직접 탐방하면서 생태조사를 해나가는 ... ...
- 표범의 추억2016.11.08
- 지난주 TV에서 국내 연구진이 아무르표범(한국표범)의 게놈을 해독했다는 뉴스를 봤다. 국립생물자원관의 여주홍 유용자원분석과장이 잠깐 인터뷰를 했는데 왠지 박종화 교수도 관련돼 있을 것 같다는 예감이 들었다. 학술지 ‘게놈 연구’ 사이트에 가서 논문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저자 목록을 ... ...
- 별은 어떻게 태어날까?2016.11.01
- 전파 데이터를 분석해 우주의 진화를 연구한 마오는 4월 박사학위논문을 제출하고 미 국립전파천문대(NRAO)로 와서 박사후연구과정을 시작한 시점이다. 호주에서 호주전파망원경(ATCA)으로 일하다 이보다 훨씬 큰, 뉴멕시코에 있는 잰스키전파망원경(VLA)을 갖고 일하게 됐다며 마오는 흥분을 감추지 ... ...
- 세계적 석학과 함께하는 IBS 개원 5주년 행사IBS l2016.10.31
- 히로시 마츠모토(Hiroshi Matsumoto) 일본 이화학연구소 이사장, 알래인 퓨시(Alain Fuchs)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원 원장, 조지 사와츠키(George Sawatzky)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 디트마 베스트베버(Dietmar Vestweber) 막스플랑크 분자의학연구소 소장이 참여한다. 한편, 18일 금요일 오전 10시부터 대전 호텔 ... ...
- 일자리 부족하고 경쟁도 심해… 위기의 젊은 과학자들동아사이언스 l2016.10.30
- 이상이, 15~25%는 40~49세가 차지했다. 반면 20~39세의 젊은 과학자는 10~20%에 불과했다.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그랜트도 마찬가지다. 그랜트를 받은 41~55세 과학자는 1980년 약 4000명에서 2015년 약 1만4000명으로 3배 이상 늘었고, 56~70세 과학자도 1980년 약 500명에서 2015년 약 7500명으로 늘었지만 24~40세의 ... ...
- 기초과학부터 신산업 창출까지 현대과학의 '팔방미인' 가속기IBS l2016.10.04
- 개발한 공로로 1939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으며, 그가 설립한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LBNL)는 지금도 관련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권위를 자랑한다. 입자가속기는 우선 가속하는 입자에 따라 종류가 나뉘고, 주된 쓰임새도 달라진다. 양성자를 가속하면 양성자 가속기, 전자를 가속하면 전자(방사광) ... ...
- 생존율 한자리 수, 췌장암의 습격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9.12
- 발행한 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2013년 국립암등록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암환자의 5년 생존율은 69.4%다. 3명 중 2명은 5년 이상 생존한다는 의미다. 하지만 여전히 생존율이 한자리 수인 암이 있다. 췌장암이다. 진단받고 5년을 살 수 있는 사람이 10명 중 1명이 채 ... ...
- SF거장 ‘조지 웰스’ 탄생 150주년의 의미동아사이언스 l2016.09.11
- 지카 바이러스 백신을 만든 뒤 원숭이에 접종해 예방 효과를 확인했다.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8월 2일 사람을 대상으로 백신 임상시험에 들어가기도 했다. 현재는 18∼35세 연령대의 건강한 지원자 80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다. ... ...
- 광유전학, 빛으로 뇌의 비밀 풀고 새로운 치료법 찾는다IBS l2016.09.01
-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2014년 6월 '네이처 메소드'에서부터 지난 8월 22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까지 독자적으로 개발한 광유전학 기술을 잇달아 발표해 전 세계 광유전학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빛으로 세포 내 단백질을 원격 조종하고, 빛으로 뇌신경세포를 자라게 하며, ... ...
이전1771781791801811821831841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