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스페셜
"
국립
"(으)로 총 2,033건 검색되었습니다.
암 발생의 ‘불운’ 가설 반박하는 논문 나와
2016.01.11
바로 암세포가 되는 건 아니다. 이와 관련해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지난해 ‘미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 실렸는데, 이에 따르면 폐암과 대장암의 경우 결정적인 유전자에서 ‘단지 세 곳’의 변이만 있으면 암세포가 될 수 있다는 내용이었다. 이 논문 자체는 유전자 변이로 암이 생기기 쉽다는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7)에이즈 환자 목숨 구한 면역학자 ‘윌리엄 폴’
2016.01.07
항체 유전학 연구로 1980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게 된다. 1968년 베나세라프가 NIH 산하
국립
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면역실험실 실장으로 자리를 옮기자 폴도 따라갔다. 그런데 2년 뒤 베나세라프는 하버드대로 가게 됐고 이때 폴을 자신의 후계자로 강력히 추천했다. 그 결과 불과 서른네 살인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2)대멸종설을 주장한 고생물학자 ‘데이비드 라우프’
2016.01.02
데이비드 라우프(David Raup)도 그런 사람으로 특히 1984년 동료 잭 셉코스키와 학술지 ‘미
국립
과학원회보’에 발표한 2600만 년 주기 멸종설로 유명하다. 1933년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서 태어난 라우프는 시카고대에서 지질학을 전공하고 하버드대에서 고생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9)게임이론으로 노벨상 받은 수학자 존 내쉬
2015.12.30
살의 내쉬는 폰 노이만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게임이론 연구에 착수했고 이듬해 ‘미
국립
과학원회보’에 ‘n명 게임에서 평형점’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실었다. 이 논문으로 내쉬는 1994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았다. 도대체 스물두 살 청년의 두 쪽짜리 논문이 어떻게 44년 뒤 노벨상으로 이어질 수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8)왼손잡이 DNA 존재를 밝힌 생물학자 알렉산더 리치
2015.12.29
대해 폴링은 “이 친구가 한 일은 별로 없지만 많이 배웠을 것”이라고 촌평했다. 미
국립
정신건강연구소(NIMH) 물리화학분과에 취직한 리치는 1955년 영국 캐번디시연구소로 건너가 DNA이중나선구조를 밝힌 프랜시스 크릭과 함께 단백질 폴리글리신Ⅱ와 콜라겐의 구조를 규명했다. NIMH로 ... ...
DNA 복구에 대한 과학자들의 수다
IBS
l
2015.12.29
수준의 메커니즘을 연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규영 연구위원은 명경재 단장이 미국
국립
보건원(NIH)에서 근무했을 때 박사후연구원으로 연구한 경력이 있다. 이 연구위원은 DNA 복제 및 복구에 관여하는 유전자 중에서 PCNA와 ATAD5를 연구해 왔다. 그는 각각 물질의 역할을 선로, 기차 그리고 ... ...
생명연장 꿈 이뤄주는 힘센 난쟁이
IBS
l
2015.12.28
가능성을 제시한 나노 미사일도 개발됐다. 나노입자연구단 현택환 단장은 싱가포르
국립
암센터와 공동연구를 통해 간암 억제 효과가 뛰어난 나노미사일을 만들었다고 2014년 8월 밝혔다. 연구팀은 먼저 천연 간암치료제 트립톨리드(triptolide)에 주목했다. 미역순나무에서 발견된 트립톨리드 ... ...
영국
국립
해양연구센터, 로봇 탐사선을 이용한 해양보호구역 조사
2015.12.17
해양생물서식지에 대한 최초의 3차원 지도를 완성했다고 발표했다. 이 지도는 영국
국립
해양연구센터에 의해 주도된 Biscay만의 Whittard 협곡에 대한 연구의 결과물로 영국 유일의 해양보호구역에 대한 효율적 관리와 보존을 위해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조사 대상인 해저협곡은 생물다양성의 ... ...
노화치료시대 열린다
2015.12.07
코트스루(사진)의 유효성분을 살짝 변형한 분자다. - 위키피디아 제공 메트포르민은 미
국립
암연구소가 검토했던 열여섯 개 약물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여러 동물실험에서 수명연장효과가 관찰됐다. 바질라이 교수가 라파마이신 대힌 메트포르민을 선택한 가장 큰 이유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 ... ...
가전제품 전자파 얼마나 나올까?
KISTI
l
2015.11.21
측정한 결과를 분석해 2013년 5월 30일 ‘가전제품 사용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국립
전파연구원은 기본적으로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가전제품의 경우 인체에 노출돼도 큰 문제가 없다고 설명한다. 그래도 전자파 노출은 적을수록 좋다. 전자파를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서 우리는 어떻게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