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스페셜
"
국립
"(으)로 총 2,04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
2018.10.02
면역반응이 더 강하다. 세로토닌과 글루타메이트 경로 달라 한편 학술지 ‘미
국립
과학원회보’ 9월 18일자 온라인판에는 온순한 은여우와 사나운 은여우 각각 12마리에 대해 뇌에서 유전자 발현 패턴을 비교분석한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이 실렸다. 그 결과 전전두피질에서 유전자 146개,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울트라디언 리듬을 알면 삶이 편해진다
2018.09.26
리듬은 자세히 봐야 보인다. SPZ-PVN이 울트라디언 리듬을 일으킨다는 말이다. - ‘미
국립
과학원회보’ 제공 그 결과 SPZ-PVN는 30분에서 4시간 주기의 울트라디언 리듬이 큰 진폭으로 나타난 반면 SCN에서는 칼슘 농도가 일주리듬을 따랐고 울트라디언 리듬은 진폭이 작아 자세히 봐야 그 존재를 알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시아노박테리아(위)가 BMAA를 만든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사이언스 제공 하와이 미
국립
열대식물정원의 민속식물학자 폴 콕스는 괌의 리티코-보딕과 소철 씨의 연관성, 스펜서의 원숭이 실험, 용량의 비현실성에 대한 비판에 대한 얘기를 듣고 원주민들의 식생활을 면밀히 조사해보기로 했다. 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물린 생쥐는 30초만에 제압됐다. -‘미
국립
과학원회보’ 제공) 지난 2월 학술지 ‘미
국립
과학원회보’에는 지네의 독액에서 덩치 큰 동물을 쓰러뜨리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성분과 그 표적인 생체분자를 규명한 연구결과가 실렸다. 즉 SsTx라는 아미노산 53개로 이뤄진 펩티드가 KCNQ라는 부류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대시식단(DASH diet)는 고혈압을 예방하고 완화하기 위해 미
국립
보건원(NIH) 산하
국립
심장폐혈액연구소(NHLBI)에서 개발한 식단이다. DASH는 ‘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고혈압을 멈추기 위한 식이 접근)’의 머리글자다. 대시식단은 미 시사주간지 US뉴스앤월드리포트의 ‘2018년 최고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해로운 노폐물이 아니라 신호전달물질로도 기능할 수 있다는 사실은 20년 전인 1998년 미
국립
보건원의 이서구 박사(현 연세대 석좌교수)와 동료들이 처음 보고했다. 이번 결과는 이 교수의 가설을 입증하는 또 다른 예인 셈이다. TCA 회로의 중간물질로만 알았던 숙신산(succinate)이 갈색지방조직(brown ... ...
[표지로 읽는 과학] 미국이 슈퍼컴·양자컴 연구에 매진하는 까닭
동아사이언스
l
2018.07.28
ISC)가 발표한 슈퍼컴퓨터 글로벌 톱500에서 1위를 차지한 미국 오크리지
국립
연구소의 ‘서밋(Summit)’ 사진이 차지했다. IBM이 제작한 슈퍼컴퓨터다. 미국은 성능 순위에서 1위를 차지한 슈퍼컴퓨터를 오랫동안 보유해 왔지만, 2013년 6월 ‘복병’ 중국에 1위 자리를 내준 뒤 내리 4년 동안 최강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 돼지가 10억 마리에 이르고 닭은 무려 190억 마리가 살고 있다. 최근 학술지 ‘미
국립
과학원회보’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지구에서 사람의 생물량(탄소 기준)은 6000만 톤이고 가축 포유류의 생물량은 1억 톤에 이르는 데 비해 야생 육상 포유류는 수천 종을 다 합쳐도 300만 톤에 불과하다. 새도 가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16). 깃편모충류와 동물의 공동조상인 후편모류(Opisthokonta)가 변곡점임을 주목하라. - ‘미
국립
과학원회보’ 제공 그래프를 보면 3단계는 증가에서 감소로 가는 변곡점에 해당한다. 깃편모충류와 동물류의 공동조상으로 아직 단세포생물이면서도 다세포성에 필요한 유전자가 여럿 만들어졌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잃어버린 물질을 찾아서
2018.07.03
있을 것임에도, 볼 수 없기 때문에 최근까지도 그 존재는 추측에 그쳤다. 이탈리아
국립
천체물리학연구소가 주축이 된 다국적 공동연구팀은 따뜻하거나 뜨거운 은하간공간(warm-hot intergalactic medium, 줄여서 WHIM)에서 잃어버린 중입자를 관측했다고 보고했다. WHIM이란 은하간공간의 필라멘트 가운데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