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리"(으)로 총 6,139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받긴 했지만, 천문학계에선 우주가속팽창을 의심하는 목소리가 있다. 이형목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Ιa형 초신성을 이용한 우주가속팽창 계산이 경험적으로는 맞지만 아직 확실한 이론으로 뒷받침되지 않았다”며 “기존과는 전혀 다른 방법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그 방법이 ... ...
- Part 3 "취업로봇 수술 하고 싶은 나, 비정상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것이라고 보더라도 이를 A로 볼 수는 없다. 결론적으로 C의 주장은 부당하고, C에게 노벨물리학상 시상을 거부한 노벨 재단의 조치는 정당하므로 C의 청구를 기각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체 플랫폼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 ...
- [Career] “보이는 모든 것의 가치를 높입니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소속감을 높이고 그 결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게 목표다. 정 교수는 “산업디자인이란 물리적으로 만져지는 제품뿐만 아니라 고객을 응대 하는 것과 같이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의 가치를 높이는 것”이라며 “우리 사회의 모든 분야에 산업디자인의 가치가 녹아 있다”고 말했다 ...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앞으로 중력파는 어떤 모습으로 우리 곁에 있을까?중력파를 발견해내기까지1955년 미국의 물리학자 조세프 웨버는 알루미늄으로 된 2m 크기의 원통 모양 장비를 만들어 중력파 검출 실험을 했어요. 중력파가 지나가면 원통이 흔들리면서 원통 주위에 전류가 흐르도록 만든 거예요. 하지만 이 장비는 ... ...
- 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이전에도 아홉 번째 혹은 열 번째 행성 후보였던 천체가 여럿 있었다. 하지만 명왕성을 비롯해 수많은 천체가 결국 행성이 아닌, 왜행성★으로 분류됐다. 일부 천문학자들은 플래닛 나인이 명왕성보다도 훨씬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실제로 있다면 역시 왜행성일 거라고 주장한다. 플래닛 나인이 ... ...
- [과학뉴스] 외계행성 1284개 무더기 발견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우주에서 외계행성 1284개를 새로 발견했다고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5월 11일 밝혔다. 2009년 발사한 ‘케플러우주망원경’을 이용해 찾아낸 외계행성 후보 4302개를 ... 있는지를 밝히는 데 꼭 필요한 정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천체물리학저널’ 5월 10일자에 실렸다 ... ...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충돌시킨 뒤 지름이 2m에 이르는 원통형 검출기를 이용해서 충돌로부터 나오는 입자들의 물리량을 측정한다. 이를 이용하면 중성자별과 같은 극한 환경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추정해 볼 수 있다. 김상철 한국천문연구원 광학천문본부 선임연구원은 “중이온가속기를 이용하면 우주에서 온 천체의 ...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개발했다. 외부 음성처리장치 대신 서로 길이와 두께가 다른 유연한 압전소자 여러 개의 물리적 변화를 이용했다. 현재 쥐 실험만 진행 중이며,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실험은 미정이다. 인공 기관지다른 사람의 기증이 필요 없는 인공생체 이식의 길은 2011년 처음 열렸다. 영국 ... ...
- [Career] 계산과학·공학을 쉽고 빠르게, 에디슨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그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에디슨 플랫폼에는 전산열유체, 나노물리, 계산화학, 구조동역학, 전산설계 등 크게 5개 분야의 시뮬레이션 콘텐츠 249종이 탑재돼 있다. 현재 국내 43개 대학에서 에디슨을 활용하고 있는데, 수업 교과목 수로 따지면 785개에 이른다.에디슨의 일부 프로그램은 ... ...
- [지식] 인터뷰_최수영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이런 면에서 볼 때 수학이 요즘 크게 발전하고 있는 것 같아요. 1960년대에 수학과 물리가 급격하게 발전했다가 정체기를 겪고 있었는데, 요즘 다시 급격하게 발전하고 있는 시기라는 느낌이 듭니다. 학자로서 많이 자극을 받고 있죠.교수님이 연구하고 있는 ‘원환체 위상수학’은 어떤 분야인지 ... ...
이전173174175176177178179180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