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리"(으)로 총 6,139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 게임카페_소리만 듣고도 원샷 원킬!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상대 팀은 우리를 방해하기 위해 공격해 올 거예요. 저 안에 몇 명이나 되는 상대편이 어디에 숨어있는지 알 수가 없으니 답답하네요. 이럴 땐 역시 ‘파이어 인 더 홀’을 외치며 수류탄을 던져 터뜨린 다음, 용감하게 뛰어 들어가야 해요!잠깐! 누군가 뛰어오는 소리가 오른쪽 1시 방향에서 들려요. ... ...
- [재미] 킹앤카_제 28화 위기의 화학실험!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수리과학과 학생이라고 해서 꼭 수학 전공 과목만 들을까? No!학생들은 물리, 화학, 생명공학 등 자연과학 과목들도 함께 공부한다. 이와 함께 꼭 수강해야 하는 것이 화학실험 같은 실험 과목이다. 화학실험 수업의 조교를 맡고 있는 상호는 미리 실험 준비를 해야 한다. 그런데 잠시 쉬러 들른 휴게실 ... ...
- [지식] 최고의 방정식을 소개합니다!수학동아 l2016년 04호
- 학자들은 기타 선택으로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공식을 뽑기도 했다. 박성찬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는 ‘디락 방정식’을 최고의 방정식으로 꼽았다. 박 교수는 “자연의 기본 입자인 쿼크와 전자의 행동을 기술하는 이 방정식이 간결하면서도 아름다운 방식으로 상대성 이론과 양자역학의 ... ...
- [과학뉴스] 화성이 지금처럼 삐딱하게 도는 이유과학동아 l2016년 04호
- ․ 물리화성이 지금처럼 삐딱하게 도는 이유화성은 지구와 유사한 사계절을 가지고 있다. 자전축이 지구와 비슷하게 25.2° 가량 기울어 있기 때문이다. 최근 프랑스 연구진이 화성의 자전축이 오늘날과 같이 기운 이유를 밝혀냈다.프랑스 천체역학 및 천문계산연구소 실바인 불레디 연구원팀은 ... ...
- Part 1. ‘제4의 상태’ 플라스마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16년 04호
- ysna@snu.ac.kr서울대 원자핵공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뮌헨공대에서 플라스마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 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와 국가핵융합연구소를 거 쳐 현재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토 카막 핵융합로 노심 플라스마의 운전과 제어를 연구 중이며, 핵융합의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입자를 빔 형태로 걸러낸다. 걸러진 입자를 가속시켜 다른 물질에 쪼이면 그 물질의 물리량과 구성 물질 등을 알아낼 수 있다.입자 가속기 기술은 미래형 우주 로켓인 이온 추진 로켓에 활용할 수 있다. 이온 추진 엔진의 원리는 양이온 가속기의 원리와 동일하다. 가스형 원료를 플라스마 상태로 ... ...
- [Tech & Fun] 셜록홈즈 ‘세 사람의 징후’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말했습니다. 관성모멘트는 물체가 자신의 회전운동을 유지하려는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물체와 회전 축과의 거리가 짧을수록 작아집니다.피해자가 공격 상황 모를 수 없어아직까지는 꽤 현 실 가 능성이 높 아 보입니다. 그럼 대령이 범인의 의도대로 허리띠를 풀었다면 어떻게 됐을까요. ... ...
- [Tech & Fun] 내 몸을 이루는 미생물에 관심을 가져보세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시리즈로 발표한 기고문을 엮은 책이다. 상대성이론, 양자역학, 양자중력 등 20세기 물리학을 바꾼 거대한 혁명의 가장 매력적인 특징과 새로운 문제를 다뤘다. 현대 과학을 아예 모르는 사람도 쉽게 접근할 수 있다.‘교토대 과학수업’은 본격적으로 과학적 사고력을 가르치는 책이다. 벌써 6명의 ... ...
- [과학뉴스] 피지컬 리뷰 레터스 (Physical Review Letters, PRL)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사이언스’와 ‘네이처’에 버금가는 전통의 강호 학술지기 때문이다. 1958년 미국물리학회에서 처음 발간했다. 2014년 기준 피인용지수는 7.512로 영향력이 매우 큰 편이다.피지컬 리뷰 레터스는 중력파와 질긴 인연이 있다. 1936년 아인슈타인이 “중력파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논문을 게재하려고 ... ...
- [과학뉴스] 달이 높게 뜨는 날, 우산 놓고 가세요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월리스 교수팀은 열대지방에서 달이 높게 뜨는 날 비가 적게 온다는 사실을 밝혀 ‘지구물리연구 레터스’ 1월 28일자에 발표했다. 지구에서 달의 중력을 가장 크게 받는 곳은 달과 정면으로 마주보는 지표면이다. 해당 지표면에 있는 사람 입장에선 보름달이 머리 위에 수직으로 높게 뜬 날이다. ... ...
이전1771781791801811821831841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