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리"(으)로 총 6,13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 그러나 AGN의 전파는 블랙홀 질량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우종학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최근에는 블랙홀이 빨리 회전할수록 제트가 세지면서 전파가 방출된다는 가설이 제시됐다”며 “그러나 스핀(회전)을 측정하기 어려워 아직 상관관계가 검증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 ...
- [Tech & Fun]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루이자 에몬스 박사는 북아메리카의 오존 발생 원인을 분석해 2008년 12월 ‘지구물리학연구저널’에 발표했다(doi: 10.1029/2008JD010190). 2004년 7월부터 두 달간 북아메리카 상공의 오존을 채집해 분석한 결과, 대류권의 광화학 반응에 의해 발생한 오존이 10~12%인 데 반해, 성층권에서 대류권으로 이동한 ... ...
- [출동! 섭섭박사] 주스가 쫄깃쫄깃 젤리로 변신! 분자요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두 물질 모두 요리하지 않은 상태로 먹으면 위장에 해로울 수 있으니 꼭 조심해야 해요.물리학자들은 알긴산나트륨이 들어 있는 용액의 신맛이 강할수록 응고가 잘 된다는 사실을 밝혀냈어요. 용액의 pH가 낮을수록 신맛이 강해지며, pH가 3.3일 때 생선 알과 가장 비슷한 질감을 갖는답니다. 이는 과일 ... ...
- [Photo] 광물이야기 17 화려한 무지개 여신의 깊은 속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유추할 수 있는 것이다.이런 호기심을 한꺼풀, 한꺼풀씩 벗겨 나가는 학문이 화학이고 물리학이다. 광물 안에는 지구와 우주의 역사가 있고, 양자역학도 있다. 광물과 화석을 전시하는 자연사박물관이 단순한 볼거리가 아니라, 기초과학의 토대로서 꼭 필요한 이유다 ... ...
- Part 2. 무수한 기체 먹고 은하 ‘비만’ 막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은하 모두 최대 10배 더 많아야 한다는 결과가 나온다. 우리가 미처 모르는, 새로운 물리학이 은하 진화에 적용되고 있다는 뜻이다.연구 결과 질량이 작은 은하가 이론보다 적은 이유는 ‘초신성 피드백’ 때문이라는 게 밝혀졌다. 초신성 폭발로 주변 기체가 달궈지면서 별 생성이 막히고, 일부 ... ...
- [News & Issue] 우주로 쏘아 올린 ‘피사의 사탑’ ‘등가원리’를 검증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위반이 나타날 구체적인 영역을 예측한 과학자들도 있다. 미국 스탠퍼드대 한슨실험물리연구소의 로날드 아들러 교수는 2006년 전자기력, 약력, 강력을 통일하는 대통일이론(GUT)의 질량 스케일(약 1016GeV)과, 중력과 관계있는 플랑크 질량 스케일(약 1019GeV) 사이에서 무언가 특이한 현상이 나타날 ... ...
- [Tech & Fun] 스위스 폴쉐르 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있습니다.동화 속 가속기 3형제스위스에 있는 가속기라고 하면 제네바 인근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충돌기(LHC)를 떠올리는 분들이 많을 텐데요. 동쪽의 아담한 도시, 브룩에 위치한 PSI에서도 각기 다른 개성을 가진 가속기를 3대나 만나볼 수 있습니다. 전자를 가속시키는 3세대 원형 ... ...
- [Career] ‘빅데이터 재료’ 다듬어 일류 연구 이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해줘야 한다. 이런 번거로운 일을 확 줄여주는 요리사가 있으면 어떨까.“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가 힉스 입자를 발견할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는 과학기술 빅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분석하는 기술이 있었기 때문입니다.”이상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과학데이터연구센터장은 ... ...
- [Interview] “우주엔 다섯 번째 힘이 존재할지도 모르죠”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타이틀을 가지고 있지만, 늘 모든 일이 성공적이기만 했던 것은 아니다. 그에게도 물리 공부는 어려웠다. 그는 특별히 공부를 하면서 겪는 어려움을 극복하는 자신만의 노하우를 독자들에게 전했다.“어려움을 견디고 계속 책을 붙들고 있는 게 쉬운 일은 아니죠. 장애물을 만나면, 다른 사람에게 ... ...
- 단맛 실험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초코볼을 담으면 초코볼은 전체 공간의 64%밖에 채우지 못한답니다.미국 프린스턴대학교 물리학과 폴 채이킨 교수는 지난 2004년 초코볼이 타원형일 때 구형보다 더 공간을 많이 채울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 초콜릿을 좋아해서 항상 둥근 유리 그릇에 M&M을 담아 먹었던 폴 채이킨 교수는 ... ...
이전1711721731741751761771781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