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스페셜
"
사진
"(으)로 총 1,962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
2016.07.04
스물두 가지 형질 가운데 뚜렷하게 구분할 수 있는 일곱 가지를 택해 교배실험을 했다.
사진
속의 완두에 이를 적용해보면 둥근 콩과 부푼 콩깍지는 우성이고(주름진 콩과 수축된 콩깍지가 열성) 녹색 콩은 열성이다(노란 콩이 우성). - Bill Ebbesen 제공 ● 다윈 논문 안 읽은 듯 래딕 교수의 기고문들을 ... ...
1300년 전 당나라 사람들은 오로라 봤다!
2016.06.27
말이다. 적기(赤氣)의 실제 모습. 미국 텍사스주 서부에서 2013년 10월 29일 새벽 찍은
사진
이다. 북위 32도 내외인 중저위도에서 이 정도 밝기의 오로라가 나타나는 건 매우 드문 일이다. - NOAA 제공 저자에 따르면 증류기는 이보다 훨씬 전인 3세기 무렵 이집트에서 발명된 것으로 보이고 따라서 ... ...
관곡지에 가면 마음이 편안해지는 이유
포커스뉴스
l
2016.06.17
17일 오전 경기도 시흥시 관곡지에 다양한 연꽃들이 만개하자 카메라에 담으려는 관광객들이 몰리고 있다. ...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
2016.06.06
1950년대 나오면서 유명해졌다. - 에드먼드 포드 제공 숨은그림찾기 같은 이 두
사진
은 1975년 출간된 영국의 생태유전학자 에드먼드 포드의 저서 ‘생태유전학’ 4판에 나온다. 중고교 때 생물공부를 열심히 한 사람은 ‘아 이
사진
!’하며 반가워할 것이다. 다윈의 자연선택을 극적으로 보여주는 예로 ... ...
양귀비꽃, 그 붉은 아름다움의 비밀
2016.05.30
. 절단면을 만들 때 색소가 세포 밖으로 빠져나가 꼭 피를 흘리는 것처럼 됐다. 그 결과
사진
이 뭉개졌다. 그럼에도 이 종의 경우 색소의 분포가 그 자체로 큰 의미는 없다고 생각한다. 이 종의 경우 꽃잎이 겨우 세 층 내외의 세포로 이뤄져 있어서 각 층이 시각 신호에 기여를 할 것이다. 즉 색소가 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72] 보톡스 맞으면 뇌도 마비된다
2016.05.16
맨 왼쪽이나 맨 오른쪽의 경우 보톡스 수술 여부가 영향을 주지 않지만 그 사이 두
사진
의 경우 보톡스를 맞고 난 뒤 결정하는데 시간이 더 많이 걸렸다. 즉 얼굴표정에서 감정을 파악하는 능력이 떨어졌다는 말이다. - 톡시콘 제공 ● 표정에 담긴 미묘한 감정 파악하는 능력 떨어져 독성학분야 ... ...
양자역학 문제, 게임으로 푼다
2016.05.10
퀀텀무브스에서 광학집게로 원자를 옮기는 과제를 수행하는 장면을 캡쳐한
사진
들이다. 오른쪽 우물에 담긴 물(격자에 갇힌 원자)을 광학집게(왼쪽 커서)를 움직여 옮겨오는 과제로 최대한 빨리 손실 없이 운반해야 높은 점수를 얻는다. - 네이처 제공 ● 원자를 출렁거리는 물로 표현 연구자들은 ... ...
인류는 언제부터 전쟁을 했을까?
2016.05.02
맞아 구멍이 뚫린 두개골이고 아래는 청동화살촉이 박힌 두개골이다. 안쪽에서 찍은
사진
으로 화살촉이 두개골을 뚫고 들어갔음을 알 수 있다. - 위 MVDHP/D. Jantzen; 아래 톨렌제계곡연구프로젝트/V. Minkus 제공 한편 치아의 DNA를 분석해 어린 시절 먹었던 음식을 재구성한 결과 전투원 가운데 현지인은 ... ...
젖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2016.04.25
젖샘조직의 3차원 공초점 현미경
사진
(왼쪽). 오른쪽은 왼쪽 작은 네모 안을 확대한 단면
사진
으로 세포핵(흰색)이 두 개인 세포들이 뚜렷이 보인다. -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제공 ● 세포핵이 감당할 수 있는 부피 한계 있어 사실 진핵세포 생물에서 세포핵이 하나가 아닌 세포가 존재한다는 건 ... ...
만물의 중매쟁이 촉매, 환경 지키는 구원투수로 나선다
IBS
l
2016.03.31
없는 상태의 촉매합금(좌) 탄소원자막 생성 상태의 촉매합금(중,우) 의 전자현미경
사진
- IBS 제공 실제로 새로운 나노촉매를 수소연료전지의 환원극 활성 촉매로 적용해 실험한 결과, 백금 1g당 발전량이 기존 대비 10배 상승했고, 1만 회 구동했을 때도 성능 저하가 나타나지 않았다. 상용화 연료전지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