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스페셜
"
사진
"(으)로 총 1,96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란성쌍둥이는 얼굴도 똑같이 생겼을까?
2017.04.25
동생(류화영)도 최근 한 주말드라마에 나온다고 해서 얼마 전 유심히 봤다. 아무래도
사진
은 일면적이기 때문에 일란성쌍둥이가 얼마나 닮았는가를 평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극중 캐릭터가 워낙 달라 그런지 몰라도 무척 닮았지만 동일인으로 보이지는 않았다. 헤어스타일이나 메이크업의 영향일 ... ...
[표지로 읽는 과학] 도마뱀은 어떻게 자기 고유의 무늬를 만들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4.16
● ‘세포’아닌 ‘비늘’에 초점 실제 쥬얼드 라세타의 무늬를 확대해서 살펴본
사진
. 초록색 비늘을 기준으로는 4개의 이웃하는 검정색 비늘을, 검정색 비늘을 기준으로는 3개의 이웃하는 초록색 비늘이 나타난 다는 규칙을 발견할 수 있다. - Michel C. Milinkovitch 제공 연구팀은 세포 내 반응과 ... ...
기근과 말라리아로 덮인 나이지리아
동아사이언스
l
2017.04.10
받고 있는 듯 코에 호스를 연결한 어린 아이의
사진
입니다. 어떤 이야기를 하고 싶은지
사진
한 장으로 충분히 예상할 수 있으실 겁니다. 에티오피아나 소말리아처럼 익히 구호기구를 통해 알려진 식량 부족 국가나 2014년 에볼라 사태로 알려진 시에라리온이나 라이베리아 같은 나라에 대한 내용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
2017.04.04
광합성을 하는 시아노박테리아 오실라토리아 애니말리스(Oscillatoria animalis)의 현미경
사진
. - 사이언스 제공 ● 23억 년 전 산소 존재감 드러내 학술지 ‘사이언스’ 3월 31일자에는 ‘시아노박테리아(남세균)에서 산소발생 광합성과 산소호흡의 기원에 대하여’라는 다소 거창한 제목의 논문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킬레스건의 재료과학
2017.03.07
오른쪽 위
사진
은 경계면 너머 힘줄의 콜라겐섬유로 굵다. 왼쪽 아래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이다. - 네이처 재료 제공 돼지 아킬레스건의 힘줄뼈부착부위를 자세히 들여다본 결과 뼈와 닿는 힘줄말단 500㎛ 영역이 나머지 힘줄과 구조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즉 힘줄의 콜라겐섬유 지름이 평균 10 ... ...
[표지로 읽는 과학] 바닷속 희미한 빛이 닿는 곳, ‘트와일라잇 존’
동아사이언스
l
2017.03.05
100여 종의 새로운 물고기를 발견했습니다. 파일 박사가 새롭게 발견한 물고기들, 아래
사진
은 트와일라잇 존에서 발견되는 부채뿔 산호(노란색 부채꼴 모양)의 모습이다. - SCIENCE / © SONIA J. ROWLEY, © Richard L. Pyle 제공 파일 박사가 개발한 특수 스쿠버 장비를 이용해면 사람들에게 노출되지 않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
2017.02.28
침팬지 얼굴
사진
을 보여줬다. 그 결과 침팬지들은 새끼 얼굴
사진
을 집어 들었다. 즉 얼굴
사진
으로 친척까지 골라낼 수 있다는 말이다. 이 연구결과가 발표된 게 1999년이다. 책에서 드 발은 “우리에게 두드러진 차이라도 다른 종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며 “동물들은 많은 경우 알 필요가 있는 ... ...
[표지로 읽는 과학-사이언스] 석회 동굴? 지르코니아가 탄소피막과 만나는 장면
동아사이언스
l
2017.02.26
종유석이 자라고(푸른색) 바닥에서는 석순이 자라는 것 같다(노란색). 그러나 사실 이
사진
은 동굴 같은 넓직한 공간이 아니라 물체의 단면을 거대하게 확대한 것이다. 사이언스 제공 노란색 물질은 탄소 피막, 파란색 물질은 지르코니아라고 알려진 산화지르코늄(ZrO2)이다. 표지 그림은 ... ...
[사이언스 지식in] 치매 왜 생기는 걸까? ... 흔들리는 알츠하이머 원인의 정설
동아사이언스
l
2017.02.20
다른 가설을 활용한 치료제 개발도 열심히 진행중이고요. 김영수 KIST 선임연구원과(
사진
왼쪽)과 김혜연 초빙연구원 - 김영수 연구원 제공 한 예로 작년 11월, 한국과학기술원(KIST) 김영수 연구원은 알츠하이머 원인의 가설로 꼽히는 두 가지 물질 베타-아밀로이드와 타우 단백질 두 개를 동시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털과 땀샘의 음양이론
2017.02.07
7 유전자의 발현량(왼쪽에서 세 번째
사진
에서 빨간색)과 LHX2 유전자의 발현량(맨 오른쪽
사진
에서 빨간색)이 많다. - 사이언스 제공 ● 생쥐는 공간, 사람은 시공간 조절 이 지점에서 예리한 지성을 지닌 독자는 이런 의문이 들 것이다. ‘사람의 피부에는 털과 땀샘이 뒤섞여 분포하는 것 아닌가?’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