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사진"(으)로 총 1,962건 검색되었습니다.
- [네이처]스마트폰으로 상처 찍어 보내면, 인공지능 의사가 바로 처방을?동아사이언스 l2017.02.05
- 2만 9450장을 분류해 인공지능에게 학습시켰다. 학습을 마친 뒤 피부과 전문의 21명과 함께 사진 판독으로 피부 질환을 판단하게 했는데, 피부과 전문의보다 더 정확하게 판단했다. 네이처는 TV와 영화 시리즈로 인기가 높은 ‘스타트렉’에 등장하는 명언 “Space, the final frontier…”를 이용해 ... ...
- 완벽한 인공지능구현, '기초과학 연구'가 필수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수학적 논리와 알고리즘, 컴퓨터 구조 연구 등 다양한 기초과학이 바탕이 돼야 한다. 사진은 IBM의 인공지능 컴퓨터 '왓슨'. - 위키미디어 제공 실제로 알파고를 만든 구글 딥마인드 개발자들의 백그라운드를 살펴보면 기초과학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알파고의 아버지'로 불리는 데미스 허사비스는 2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가 치매도 일으킨다?2017.02.01
- 것으로 추정했다. 세포내 자철석 나노입자(오른쪽 위는 확대이미지)의 전자현미경 사진. - 미국립과학원회보 제공 ● 도로변에는 미세먼지 상존 한편 ‘랜싯’ 1월 4일자 온라인판에 공개된 논문에는 국소적인 대기오염과 치매의 관련성을 밝힌 대규모 역학조사 결과가 실렸다. 캐나다 ... ...
- [지뇽뇽의 色수다] (ep10) 학교에서도 성폭력이 일어난다2017.01.30
- 약 14%는 성적 루머에 시달린 적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11%는 누군가 자신에게 성적인 사진을 보였다고 답했다. 전반적으로 ‘언어적’인 폭력이 흔했으나 21%가 성적인 방식으로 신체 일부가 만져지거나 잡히거나 꼬집혔다고 응답했다. 피해자의 성별로는 남학생들에 비해 여학생들이 더 폭력의 ... ...
- [표지로읽는과학] 뜨거운 곳 좋아하는 박테리아, 열적응 메커니즘 밝혀져동아사이언스 l2017.01.22
- 절대 다 둘러볼 수 없다고 말하지만, 과학자들이 주목한 장소는 이번주 사이언스의 표지 사진으로 선택된 그랜드 프리즈매틱 스프링입니다. 그랜드 프리즈매틱 스프링은 약 60만 년 전 대량의 마그마가 갑자기 분출하면서 지각이 함몰되며 생긴 거대한 칼데라호입니다. 이곳은 옐로스톤에서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4] 노트북도 이제 배터리로 승부?2017.01.10
-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이미 첨가물로 리튬이온배터리에 쓰이고 있다. 전자현미경사진으로 보면 전극입자 표면에 도포된 탄소나노튜브(VGCF)가 실처럼 보인다. 왼쪽은 리튬코발트산화물 양극이고 오른쪽은 흑연 음극이다. - Showa Denko 제공 흥미롭게도 전극을 만들 때 탄소나노튜브를 섞어주면 ... ...
- IBS 5년간 땀과 노력, 한 권으로 집대성동아사이언스 l2017.01.06
- 성과들을 설명한다. 특히, 보고서는 기초과학은 어렵다는 틀을 깨기 위해 그림과 사진, 그래픽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이해도를 높였다. 이번 보고서에 소개된 논문은 약 40여 건이다. 이 중에는 연구단장 외에도 그룹리더 등 젊은 신진과학자들이 교신저자로 주도한 논문이 9건이 포함돼 시선을 ... ...
- 그린란드 빙하, 완전히 녹아 사라졌던 시기 존재한다동아사이언스 l2016.12.11
- 있는 모습이 이번 주 ‘사이언스’에 등장했다. 사이언스의 기자인 조세린 케이저는 이 사진과 함께 사우디 병원에서 취재한 특별한 사례를 기사로 다뤘다. 케이저 기자는 사우디에는 유독 DNA로 인한 유전 질환이 많고, 이는 사우디 사람들이 착용하는 전통의상 때문이라는 가설을 소개했다. 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0] 발 냄새와 낫토와 청국장2016.11.28
- 있는 성분을 분해해 특유의 냄새가 나는 분자를 만들어낸다. 낫토균의 전자현미경 사진. - Microbial Cell Factories 제공 ● 1906년 냄새 원인 박테리아 규명 그런데 낫토나 청국장에서는 왜 발 냄새가 날까(적어도 음식의 실체를 모른 채 냄새를 맡았을 경우). 답은 간단하다. 발가락에 살며 발 냄새를 ... ...
- 美서 합법인 대마초, 뇌 보상시스템 망가뜨린다동아사이언스 l2016.11.20
- 한다”고 밝혔다. ‘사이언스’ 18일자 붉게 물든 저녁 햇살을 받는 작은 콩 나무 사진이 실렸다. 스테픈 롱 미국 일리노이주립대 작물학과 교수 연구팀은 담배의 유전자를 조작해 광합성 효율을 높인 새로운 식물을 발표했다. 국제연합(UN) 식량농업기구는 2050년까지 현재보다 70% 이상 더 많은 ... ...
이전1691701711721731741751761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