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사진"(으)로 총 1,962건 검색되었습니다.
- 10파운드 지폐 인물이 된 스코틀랜드 신사임당은 누구?2016.03.28
- 달의 분화구 가운데 하나를 ‘소머빌 크레이터’라고 명명했다. 아폴로 15호가 찍은 사진이다. - NASA 제공 1835년 소머빌은 독일의 천문학자 캐롤라인 허셜과 함께 영국왕립천문학회 최초의 여성 회원으로 선출됐다. 소머빌은 ‘물리과학의 연관성에 대해’ 6판(1842)에서 천왕성의 공전궤도를 ... ...
- [동영상] 태양이 다시 나오는 순간 빛나는 다이아몬드링을 보세요~동아사이언스 l2016.03.09
- 신비로운 일식, 함께 감상해 보시죠~! 인도네시아 발루 섬에서 촬영한 개기일식. 왼쪽 사진의 일식 왼쪽에서 불꽃 기둥인 홍염을 선명하게 볼 수 있습니다. - 오준호 KAIST 기계공학과 교수 제공 ... ...
- 영국 과학, 스타일이 살아있네~2016.02.23
- 기술인 미토콘드리아치환요법과 게놈편집에 영국이 가장 전향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사진은 인간배아다. - Kathy Niakan 제공 이처럼 게놈편집의 파급력이 워낙 크기 때문에 HFEA는 임상이 아니라 순수 연구 목적으로만 배아편집을 허용한다고 밝혔다. 즉 배아를 대상으로 게놈편집실험을 하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60]아인슈타인도 두 번 놀랐을 중력파 검출 성공!2016.02.13
- 드레버 교수다. 아래 왼쪽 사진 앉아있는 사람이 MIT의 라이너 바이스 교수이고 오른쪽 사진이 칼텍의 킵 손 교수다. -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제공 아인슈타인은 중력파가 검출될 가능성이 없다고 봤지만 많은 후배 물리학자들이 중력파 검출이 가능하다고 믿고 인생을 걸었다. 1957년부터 메릴랜드대 ... ...
- 지카 바이러스와 소두증2016.01.25
- 뇌의 신경계 발달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소두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MRI 비교 사진은 유전적 결함(ASPM 유전자 돌연변이)으로 인한 소두증(오른쪽) 사례이지만, 지카바이러스 감염으로도 소두증이 유발될 수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 위키피디아 제공 Q4. 지카바이러스는 정말 소두증을 ... ...
- 꽃처럼 아름다운 눈결정에 담긴 비밀2016.01.18
- 실험설비도 연구비도 없던 이곳에 넘치도록 있는 건 눈이었다. 우연히 벤틀리의 눈결정 사진을 본 나카야는 본격적으로 눈결정 연구에 뛰어들었다. 실험실에서 눈결정을 키우려고 갖은 시도를 하던 나카야는 1936년 3월 12일 마침내 토끼털을 써서 눈결정을 만드는데 성공했다. 그때까지 눈결정을 ... ...
- 일반상대성이론 100주년, 인류의 삶이 달라졌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5.12.29
- 하늘이 어두워졌을 때 태양 주변에 있던 별의 사진을 찍었다. 그리고 평소에 찍어둔 별 사진과 비교했다. 그러자 아인슈타인이 예측했던 수치 그대로 별의 위치가 미묘하게 달라졌음이 밝혀졌다. 일반상대성이론이 옳았던 것이다. 이후 일반상대성이론은 천체물리학의 갖가지 분야에서 사용되었다. ... ...
- 해양의 미래를 밝힐 '육상폐기물 해양투기 전면금지' 시행, 눈 앞에동아사이언스 l2015.12.17
- 사진1. 환경·복원연구본부 정창수 본부장. 1993년 10월 17일 블라디보스토크 남동쪽 약 1백90㎞ 해상에서 러시아함정이 10시간에 걸쳐 방사성 액체 핵폐기물을 흘려보내는 것을 그린피스가 적발해냈다. 알고 봤더니 당시 처음이 아니라 구소련 시절 30년 동안 북한과 인접한 동해의 6곳을 포함, ... ...
- 귀족 생선 자바리, 이제는 기른다 동아사이언스 l2015.12.17
- 원전온배수를 활용한 양식사업을 울진군, 한울원전과 함께 논의중이다. 사진은 원전온배수 활용을 위한 설명회. “동해에서 양식 연구를 하려면 따뜻한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해 줄 수 있어야 해요. 그래서 생각한 것이 발전소의 온배수였습니다. 마침 울진에는 한울원전이 있어서 온배수를 쉽게 ... ...
- 거짓말을 잘하고, 지저분한 사람은 ○○○이 높다?2015.12.08
- 생각하는 현상도 확인하였다. 이들은 자전거 반입 금지에 자전거를 당당히 반입하는 사진 등을 보고 비교적 괜찮다고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바로 이렇게 ‘룰은 깨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다’라는 식의 행동을 하는 점이 거짓이 창의성을 높이는데 일조한다고 보았다. 흥미롭게도 거짓말 ... ...
이전173174175176177178179180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