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3,369건 검색되었습니다.
보물단지로 떠오른 민간요법
과학동아
l
200406
를 증식시키는 현상을 관찰했다. 적혈구가 덩어리를 지었다는 것은 어떤 물질이 세포
표면
에 달라붙었다는 증거다. 임파구는 우리 몸을 순찰하다가 외부 물질이 발견되면 공격을 담당하는 면역세포다. 이를 통해 정 교수는 뱀딸기 추출물에 생체 내 면역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이 있다는 점을 ... ...
금성, 태양의 품속에 잠기다
과학동아
l
200406
가린 다음 태양을 관측하면 된다. 그냥 태양을 보면 눈을 다치므로 조심해야 한다. 태양
표면
에 약간의 흑점들이 보이겠지만, 이것들에 비해 금성은 유달리 더 검고 클 것이다.한편 금성이 태양의 경계면을 통과하는 데는 약 20분이 소요된다. 하지만 태양의 가장자리에서는 뚜렷이 관측하기가 힘들기 ... ...
사스 백신 미국서 개발
과학동아
l
200405
바이러스의 DNA 조각으로 만들어진다.이 백신을 체내에 주입하면 사스 바이러스의 세포
표면
에 있는 것과 흡사한 단백질이 만들어지는데, 이 단백질이 면역 반응을 일으켜 면역력을 형성하게 된다.네이블 박사는 두 종류의 백신을 만들어 쥐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모두 효과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 ...
물방울 카메라와 종이를 확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05
어떻게 유체를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일까? 방법은 물방울의 한쪽 부분에만
표면
장력에 변화를 주는 것이다. 미세관 속 물방울의 양단에 전기가 따로 걸리도록 구조를 만든다. 그리고 물방울의 한쪽 끝에만 전기를 걸어준다. 그렇게 되면 한쪽 끝에만 일렉트로웨팅 현상이 일어나 물방울의 ... ...
바이러스 찾아내는 나노기술
과학동아
l
200405
바이오포스사와 아이오와 주립대, 디모인대 공동연구팀은 가로세로 6mm인 실리콘 칩
표면
에 수백종류의 바이러스 특이 항체들을 심은 ‘비리칩’(ViriChip)을 개발했다. 비리칩에 혈액 한방울만 떨어뜨리면 그 안에 든 바이러스들이 자신과 꼭 들어맞는 항체에 달라붙게 된다.영국 물리연구소가 ... ...
천장 달라붙는 거미 모방한 포스트잇
과학동아
l
200405
되는 물건을 나를 수 있을 정도로 강했다.연구팀은 지금까지 그 누구도 거미가 어떻게
표면
에 붙어있는지, 그리고 그 힘이 얼마나 센지를 이처럼 정확하게 측정한 적은 없었다고 한다. 연구팀은 거미의 접착력을 측정하는데 원자나 분자 수준으로 힘을 잴 수 있는 첨단현미경인 원자력현미경을 ... ...
지구가 선사한 어린이날 선물,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405
달의 바다부분이 그려진 둥근 달의 밑그림을 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다. 그 이유는 달의
표면
모양을 살펴보는 것이 아니라 달의 가려지는 모습을 관측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기 때문이다. 용지는 10장 가량 준비한다. 월식이 시작되면 10분에 한 장씩 달이 먹혀 들어간 모습을 그린다. 달이 완전히 ... ...
X-43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05
구멍, 다공성물체(多孔性物體) 등에 나타난다 용매에 작은 양을 녹였을 때 그 용액의
표면
장력을 크게 저하시키는 작용을 하는 물질 분자 중에서 친수성원자단(親水性原子團)과 소수성원자단(疎水性原子團)이 함유된 두 원자단 사이에 적당한 균형이 취해져 있어야 한다 내림차순(降冪順)으로 ... ...
러시아 소유즈 우주선은 우주정거장의 생명줄
과학동아
l
200405
하며 거문고자리 β별 가까이에 있기 때문에 거문고자리의 가락지성운이라고도 한다
표면
에 가로줄무늬가 보이는 근육 횡문근(橫紋筋)이라고도 부른다 뜻대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수의근(隨意筋)이라고도 불린다 인체의 가로무늬끈의 대부분은 골격근이며 얼굴의 피부를 움직이는 표정근, 혀나 ... ...
“이것이 초기 우주”
과학동아
l
200404
있다.STSI 과학자들은 이처럼 먼 곳에서 오는 약한 빛을 포착하는 과정은 마치 달
표면
의 반딧불을 촬영하는 일과 같다며 이 정도 거리의 우주를 이렇게 선명하게 찍은 적이 없다고 설명했다. 천문학자들은 별이 처음 생성되던 초기 수억년간의 우주는 지금보다 훨씬 작았고 천체들간 거리가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