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3,369건 검색되었습니다.
토성궤도에 진입하는 카시니
과학동아
l
200408
분비한다갑각류(甲殼類)의 눈자루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눈자루의 사이너스선호르몬은 체
표면
의 색채 조절, 탈피(脫皮)의 조절, 생식선(生殖腺) 발달의 기절적 소장(期節的消長) 등 세 가지 현상에 관여한다눈자루나 사이너스선을 제거하면 표피의 색소세포는 수축 또는 확장하는 능력을 잃고 환경의 ... ...
가장 뜨거운 백색왜성 발견
과학동아
l
200408
헬륨이 전혀 없고
표면
온도가 20만℃에 이르는 백색왜성이 발견됐다.독일 튀빙겐대 클라우스 베르너 교수가 이끄는 천문학자들은 용자리 부근에 있는 별 H1504+65가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고온의 백색왜성이며 헬륨을 갖지 않는 최초의 경우라고 ‘천문학과 천체물리학’ 7월호에 보고했다.백색왜성은 ... ...
발사에서 도착까지 7년
과학동아
l
200408
한다수정(受精) 과정에서 1개의 정자는 알
표면
에 밀착된 보호층(난황막), 또는 알
표면
에서 떨어진 난막(고사리)이나 투명대(포유류)에 구멍을 뚫고 알 속으로 침입한다종전에는 이 물질의 작용이 효소적인 것이라고 해석했으나, 실제로는 권패류(卷貝類)의 바티라 정자의 작용물질은 한 줄의 ... ...
물에어컨 나온다
과학동아
l
200408
물을 뿌렸을 때 그 안에서 물이 뭉쳐 증발하지 못하게 된다. 연구팀은 알루미늄 판
표면
에 코팅을 해서 물이 얇게 퍼져 잘 증발할 수 있게 만들었다.물 에어컨 바람 평균 22℃ 연구팀은 먼저 슈퍼제습폴리머를 사용하지 않은 물 에어컨 시제품 ‘위즈 쿨’(Whiz cool)을 개발했다. 2001년 6-9월의 실제 기온 ... ...
02. 무공해 식단 꾸리는 생물 농약
과학동아
l
200407
생물군을 식물생육촉진세균(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이라고 하는데 이것 역시 뿌리
표면
이나 내부에 기생하면서 성장을 저해하는 균이나 병원체의 침입을 억제하기도 한다.하지만 1990년대 중반까지 항생작용에 기초했던 생물농약은 뿌리에 사는 생육촉진근권세균에 대한 새로운 사실이 ... ...
공기, 당신의 능력을 보여주세요
과학동아
l
200407
입학할 수 있을까.▶▶▶ 탁구공의 작은 구멍으로 물이 들어간 이유는?상온에서 탁구공
표면
의 지름이 1mm가 채 되지 않는 작은 구멍으로 물을 넣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미 탁구공 속에 공기가 가득 차 있어 물이 들어갈 공간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탁구공 속의 공기를 먼저 빼는 것이 이 실험의 ... ...
08. 미래형 족집게 진단장비 생체자기센서
과학동아
l
200407
전기활동이 일어나는 인체 부위이자 생명유지에 없어서는 안될 뇌에 주목했다. 대뇌
표면
을 둘러싸고 있는 피질에는 약 1백억개 이상의 신경세포가 연결돼 신경망을 형성하고 있다. 각 신경세포에서 발생한 전기신호가 신경망을 통해 다른 신경세포에 전달되면서 그 주변에 자기장이 만들어진다 ... ...
터치스크린
과학동아
l
200407
모니터
표면
을 눌렀을 때 발생하는 물리적 변화를 측정해 정보를 입력하는 새로운 방식의 입력장치다. 무엇보다 터치스크린의 가장 큰 특징은 정보를 입력하기 쉽다는 것. 화면 위에 손이나 펜을 대고 직접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려 넣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편리함 때문에 휴대용 전자제품, ... ...
영화 '투모로우' 속 빙하기 과연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200407
때문이다. 대기와 바닷물을 비교해보면 지구 대기가 간직하고 있는 전체 열은 바닷물
표면
에서 수m에 불과하다고 한다. 또한 1년간 지구가 받는 태양열로 바닷물의 온도는 고작 1℃밖에 오르지 않는다. 바다는 열 저장고인 것이다.미래에 급작스런 기후변화가 닥칠지 예측할 수 있을까? 현재의 ... ...
자존심의 승리인가, 무모한 도박인가
과학동아
l
200407
죽는 사고가 일어나기도 했다.아폴로 11호의 귀환 역시 요행의 산물이었다. 이글호가 달
표면
에 착륙하기 직전 착륙선에 남아 있던 연료는 30초분이 채 안되는 것이었다. 만약 조금이라도 착륙 시간이 지연됐다면 암스트롱과 알드린은 달에 영원히 남아있어야 했는지도 모른다. 이처럼 아폴로 계획은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