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료
소재
성분
요소
자재
원재료
제재
d라이브러리
"
재료
"(으)로 총 3,402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을 바꾸는 학생 발명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점이다. 뇌전도 트위터 입력장치는 9가지 발명 방식 가운데 차용하기, 자이퍼니는
재료
바꾸기를 이용해 성공적이고 혁신적인 발명품으로 거듭난 사례다.전자현미경에서 P2P서비스까지학생 발명이 세상을 바꾼 사례는 발명 역사에서도 발견된다. 이들 발명은 때론 사람의 목숨을 구하기도 하고 ... ...
집짓기 속에 숨겨진 기하학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기억하나요?기쁨 : 튼튼한 강철로 만든 것 같은데 구조도 중요한 건가요?선생님 : 어쩌면
재료
보다 구조가 더 중요할 수도 있어요. 크레인에 쓰이는 트러스구조는 처음에 삼각형 모양으로 발명되었답니다. 여기 나무젓가락을 이용해 만든 삼각형과 사각형이 있어요. 각각의 이음매는 못으로 ... ...
첨단 바이오 자원으로 거듭나는 대나무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있다. 바로 1000℃에 가까운 높은 열에서 구운 대나무 숯이다. 대나무 숯에는 탈취제품의
재료
로 사용되는 실리카겔의 주성분인 규산(1.6%)이 일반 숯보다 2배가량 더 많이 들어 있다. 또 벌집모양의 구멍이 공간의 낭비 없이 촘촘히 박혀 있어 사각형 또는 원형의 구멍이 생기는 침엽수 숯과 활엽수 ... ...
사람은 죽어서 ‘불멸의 업적’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인체 해부실을 방문할 때마다 과연 연구원들이 ‘불과 얼마 전까지 살아 있었던 실습
재료
’를 어떻게 대하는지 관찰했다. 다행히 현재 의대에서는 대부분의 연구원이 그들을 ‘인간적으로’ 대우하고 있었다. 저자는 인체 해부실습을 하기 전에 자신이나 가족의 몸을 의학용으로 기증한 이들에게 ... ...
염증 줄이는 음식 속 도우미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조절 작용을 하는 물질도 있지 않을까 궁금해졌습니다.”이 교수의 연구팀은 여러 식
재료
를 연구한 결과 2007년과 2009년 각각 계피와 브로콜리의 항염증, 항암작용을 알아냈다. 계피에 포함된 계피알데히드는 톨유사수용체가 염증을 만들라는 신호를 방해해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막는다. 브로콜리에 ... ...
세계 최고층 건물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1분에 600m, 초고속 엘리베이터의 비밀그렇군. 시멘트라면 피라미드를 만들 때 썼던
재료
라 나도 잘 알고 있지. 그런데 내가 없는 사이 콘크리트라는 것을 만들었군. 게다가 초고강도라니 정말 놀라운걸! 그나저나…, 그 높은 건물 안에서 오르락내리락하던 물체는 뭐지? 그것도 여기 어디 있지 ... ...
죽음과 맞바꾸는 치명적인 맛 황복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중 가장 단단한 육질을 자랑한다. 복어회를 얇게 뜨는 이유는 육질이 지나치게 단단한
재료
로부터 부드럽게 씹히는 맛을 이끌어내기 위한 어쩔 수 없는 방법이었던 셈이다. 끓여도 사라지지 않는 독황복의 뛰어난 맛과 우스꽝스런 모습 이면에는 무서운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황복은 사람의 목숨을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NRL)의 과학자들은 물속에서 음파를 만드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음파
재료
는 다름 아닌 레이저광이다. 전자기파인 빛(레이저광)이 어떻게 음파로 바뀔까. 강한 출력의 펄스 레이저광을 소량의 물에 쏴주면 물이 마치 렌즈처럼 작용해 레이저광을 집광시킨다. 그러면 과열된 레이저광을 ... ...
노벨상 석학 아다 요나트에게 듣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교수를 비롯한 한국 과학자들과 함께 연구하기도 했다. 그는 “김성훈 교수가 만든 실험
재료
(리보솜과 결합하는 단백질)를 갖고 연구한 적이 있다”며 “지금도 김 교수와 e메일을 주고받으며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요나트 박사는 2005년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지에 자신이 ... ...
석유 대체할 궁극의 에너지는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그는 “현 상황에서 신재생에너지 중 당장 쓸 만한 것은 풍력 정도”라며 “태양광은
재료
자체가 석유산업을 통해 만들어진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핵융합과 수소연료전지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도 나타냈다. 그는 “핵융합과 수소연료전지는 수십년 후에나 가능성을 보일까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