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논문"(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에서 가장 얇은 다이아몬드 같이 만들래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UNIST 교수들은 국내 어느 대학과 견주어도 뒤떨어지지 않는다. 네이처와 자매지에 게재된 논문을 바탕으로 대학과 기관의 연구역량을 평가하는 척도인NPI에서 6월 현재 서울대, 카이스트, 포스텍에 이어 국내 4위에 올랐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순위에서는 44위를 기록했다. 다음 목표는 ... ...
- [hot science] 달의 여신의 눈빛, 루나 스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베델 교수 등은 2009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에 제출한 백서와 2011년 학술지 ‘이카루스’ 논문을 통해 스월을 만든 원인을 크게 네 가지 가설로 정리했다(아래 INSIDE 참조).이번 워크숍에서도 참석자들은 각자 스월의 원인에 대해 좀더 상세한 설명을 제시했다. UC 버클리의 야스퍼 할레카스 교수는 ... ...
- Part 2. 직접교차분화, 암 뛰어넘는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직접교차분화 기술이 대세 야마나카 교수가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처음 발표한 2006년 논문은 현재까지 약 1만 번에 이르는 인용횟수를 자랑하고 있다. 그동안 매일같이 평균 3~4편의 인용문헌이 발표된 것으로 지난 8년 동안 엄청난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져 왔음을 의미한다. 직접교차분화 기술도 ... ...
- 힉스메커니즘 제안자 구랄닉 교수 별세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외면당했고, 연구소에서는 연구를 포기하라는 압력마저 받았다고 한다. 그런 논문이 반세기 뒤 현대 물리학의 가장 큰 성과 중 하나로 주목 받으며 증명됐으니, 비록 마지막까지 상 운은 없었지만 그는 충분히 행복했으리라 ... ...
- 인공지능 ‘Her’, 아직은 시기상조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완전히 합의한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왜 30%였던 걸까? 튜링은 1950년도 논문에서 “50년 뒤에는 컴퓨터가 흉내 게임을 잘 할 수 있게 돼서 심문자가 5분 동안 질문을 한 뒤 제대로 맞힐 확률이 고작 70%밖에 되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5분간의 대화’, ‘30%의 심사위원을 속일 ... ...
- [이석영 연세대 교수] "우리 모두는 별에서 온 그대"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직장을 다니다 연세대 교수로 부임했다. ‘사이언스’ ‘네이처’ 등에 1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며 한창 이름을 날렸다. 그러나 지금부터 3년 반 전 위암 판정을 받았다. 아픈 아내의 고통을 덜어주려 같이 내시경검사를 받다가 발견한 것이다. 그는 “수술할 땐 살 수만 있길 바랐는데 회복기가 되니 ... ...
- 도박하면 대박? 수학으로 보면 쪽박!수학동아 l2014년 06호
- 파스칼과 페르마가 주고받은 편지를 참고해 ‘도박꾼의 파산’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썼다. 스포츠 내기도 결국은 로또?그…, 그래도 스포츠 내기는 달라요! 방금 말씀하신 도박은 이기고 질 확률이 절반인 게임에 대한 것이지만, 스포츠 경기에서는 더 잘하는 팀과 못하는 팀이 있기 때문에 통계 ...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때문에 이 실험 결과만으로 유전자변형 작물이 위험하다고 단정 짓기 어렵다는 이유로 논문이 내용을 정식으로 인정받지 못했단다.또 다른 걱정은 유전자변형 작물의 씨앗에서 자란 식물과 생태계에서 자란 일반 씨앗에서 자란 식물이 꽃가루를 주고받으며 새로운 씨앗을 맺어 전혀 생각지 못한 ... ...
- BRIDGE - ELO랭킹 적용하면 한국 16강 확률 높아져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지메네즈 교수는 지난 2월 14일 ‘사회과학연구네트워크’에 월드컵 경기결과를 예측한 논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세계 배팅업체에서 각 팀에 부여한 배팅율과 A매치 승률, FIFA랭킹 등을 고려해서 정교한 식을 만들었다.이 예측에 따르면 아쉽게도 한국은 16강에 오르지 못한다. 한국의 16강 ... ...
- [과학뉴스] ‘불로영생의 약’은 젊은 피?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젊음’을 되찾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놀랍게도 3개 연구팀이 비슷한 시기에 각각 논문을 냈다.미국 샌프란시스코대 해부학과 사울 빌레다 교수팀과 하버드대 하버드줄기세포연구소의 마니샤 신하 교수팀, 리다 카트심파르디 교수팀은 이 같은 사실을 연구하고 각각 ‘네이처 메디슨’ 5월 ... ...
이전167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