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d라이브러리
"
논문
"(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계 최고의 스승과 제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4년 05호
스승님의 또 다른 제자였던 푸아송이
논문
발간에 실패한 저를 놀려댔지만, 저는 4년 뒤
논문
내용을 보완해 결국 통과했지요. 당시에는 스승님에게 섭섭했지만,지금은 푸리에 급수가 데이터를 압축하거나 소리를 분석하는 데 활용되고 있어서 뿌듯해요.로피탈의 정리* 함수의 극한에 관한 정리 중 ... ...
갑상샘암 검사 할까 말까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피폭량이 평균 47∼83mSv이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원전은 문제없을까? 참고할만한
논문
이 한 편 있다. 2011년 4월 서울대 원자력영향역학연구소가 수행한 ‘원전 종사자 및 주변지역 주민 역학조사 연구’ 보고서다. 연구팀은 1992년부터 2006년까지 원전 주변에 사는 지역주민 총 1만1367명을 ... ...
OUTRO 악당이 세계를 정복하려면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되는지 이유를 엿볼 수 있다. 호주 센트럴퀸즐랜드대 아만다 레버 교수가 발표한 이
논문
에서는 자신의 목표를 다른 사람에게 널리 알릴수록 목표를 달성했을 때 성취감이 높아진다고 주장한다. 악당에게 히어로는 자신의 목표를 이해하는 단 한 명의 청중이다. 목표 달성이 눈앞에 있는 상황에서 ... ...
캡틴 아메리카, 준결정의 비밀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완성된다.이에 테일러 씨는 자신의 발견을 듀크대 물리학과 소콜라 교수와 함께 증명해
논문
으로 제출했다.테일러-소콜라 타일이 ‘단 하나의 돌’ 문제를 푸는 시작점이 된 건 분명하지만 여전히 한계를 갖고 있다. 수학자들은 ‘단 하나의 돌’이 복잡한 도형이 아닌, 위상적으로 원이나 사각형과 ... ...
걸음걸이도 수학이다! 랜덤 워크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아보가드로의 수를 연관 지어 추정하는 실험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 결과 아인슈타인의
논문
발표 3년 뒤인 1908년, 프랑스의 물리학자 장 바티스트 페렝은 아인슈타인이 제시한 실험을 검증해 그 공로로 1926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게 되었다.입자의 랜덤 워크 현상은 오늘날 태양 내부에서 발생한 빛이 ... ...
첨단과학무기의 산실! 국방과학연구소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실험하고 분석할 수 있는 체력과 끈기, 인내심이 있어야 한다. 또한 연구 보고서와
논문
을 작성할 수 있는 논리적 언어 표현 능력과 문서 작성 능력이 요구된다.■ 탐구적이고 현실적인 사람에게 적합하며, 분석적이고 독립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관련 학과국방과학연구원이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미학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제임스 메이나드이탕 장의 증명 이후에 일어난 수학계의 현상 또한 놀라웠다. 그의
논문
이 발표되자마자, 세계 각지 수학자들은 공동 노력에 의해 7000만이라는 상한선을 줄인 결과를 인터넷에 올리기 시작했다. 많은 수학 문제들이 처음 풀릴 당시에는 해법이 최적화 되어 있지 않기 쉽다. 그 이유는 ... ...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말다툼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부정하지는 않았다. 게다가 하이젠베르크의 설명 방법이 맞다고 주장하는 또 다른
논문
이 작년 ‘피지컬 리뷰 레터’에 실렸다. 누가 맞는지는 아무래도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불확정성원리는 물리학조차 완전하지 않다는 걸 보여준다. 괴델의 불완전성정리와 함께 과학과 수학의 한계를 ... ...
PART 2. 태초의 꽃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형성하는지 아니면 이형복합체를 형성하는지가 그동안 큰 논란거리였다. 연구팀은 본
논문
에서 현생하는 가장 원시적인 꽃식물인 암보렐라의 B-클래스 유전자들이 단백질을 만들 때 동형복합체와 이형복합체 모두를 만든다는 것을 ‘Yeast-2-hybridization’이라는 방법을 이용해 밝혀냈다. 이로서 ... ...
Part 4. “정확도 99.999999636%”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영향이 현저히 적다. 그 때까지는 호흡을 좀 더 가다듬고 기다려 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
논문
도 통과될 때까지는 기다려볼 필요가 있다.이 관측이 정말 맞다면 이제 빅뱅이론에서 급팽창의 존재는 검증됐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급팽창의 원인은 여전히 물음표다. 현재 추진 중인 라이트버드라는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