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목
목재
재목
트리
묘목
목본
소리나무
d라이브러리
"
나무
"(으)로 총 3,425건 검색되었습니다.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보여주는 지도다.현미경으로 본 뇌는 하드디스크“MRI 연구자들은 현미경 연구자들이
나무
에 가려 숲을 못 본다고 말합니다. 역으로 숲의 모든 세부사항을 분석하지 않으면 숲의 성격을 알 수가 없죠. 뿌리부터 줄기, 잎맥까지 세부를 파악해야 전체적인 성격이 나온다고 봅니다.”미국 하버드대 ... ...
타이탄 거대한 신화 속 과학이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또 유기물 본래의 화학성분이 다른 성분으로 바뀌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가 땅에 묻힌
나무
에 이산화규소가 쌓여 만들어진 규화목이다. 신화에서 메두사가 하던 일을 현실에서는 자연과 시간이 하고 있는 셈이다 ... ...
난제의 비밀을 찾아서#2 수의 세계는 넓고 난제는 많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수학천재 식물에게 배운다 식물의 운명은 숫자에서 시작해 도형이 제일 쉬웠어요
나무
그늘도 수학 실력 식물에게 한 수 배우기 난제에 영웅 난다?! 은둔의 수학 영웅 밀레니엄 문제 난제의 비밀을 찾아서#1 그 곳엔 항상 소수가 있다 난제의 비밀을 찾아서#2 수의 세계는 넓고 난제는 많다 ... ...
수학의 영웅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수학천재 식물에게 배운다 식물의 운명은 숫자에서 시작해 도형이 제일 쉬웠어요
나무
그늘도 수학 실력 식물에게 한 수 배우기 난제에 영웅 난다?! 은둔의 수학 영웅 밀레니엄 문제 난제의 비밀을 찾아서#1 그 곳엔 항상 소수가 있다 난제의 비밀을 찾아서#2 수의 세계는 넓고 난제는 많다 ... ...
반짝 반짝 빛이 그린 그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앞모습으로 그려져 있지요. 배경도 한쪽 면만으로 그려져 있지 않고, 연못은 위에서,
나무
와 물고기는 옆에서 본 모습으로 그려져 있어요.이 그림은 우리가 보기엔 이상하지만, 당시 사람들에게는 이상하지 않았어요. 눈은 이렇게, 물고기는 저렇게 그려야 한다는 규칙이 있어서 그대로 그려진 ... ...
문화재를 되살려라! 문화재보존과학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발굴하거나 돌로 된 탑을 수리할 때 그 안에서 금속으로 된 유물이 나오는 경우가 많아.
나무
나 종이, 가죽으로 된 부분은 썩어 없어지기 쉽지만 금속은 오래 남아 있을 수 있거든. 하지만 금속도 오래 지나면 녹이 슬어 색이 변하거나 깨지는 등 원래 모습을 유지하기 어려워. 그래서 발굴한 유물은 ... ...
책을 만들 때도 수학적 사고력으로!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흔히 가을을 독서의 계절이라고 하죠? 하지만 이렇게 봄을 온몸으로 느낄 수 있는 날
나무
그늘에 앉아 책을 읽으면 얼마나 좋을까요. 즐거운 상상으로 가벼워진 발걸음에 어느덧 김영사에 도착했어요. 가회동 골목 한 쪽에 있는 김영사는 한옥을 개조한 건물로 아담하고 온기가 가득했어요 ... ...
인간처럼 영리하고 현명한 동물의 생존법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독자가 보고 있는 게 무엇인지 쉽고 자세하게 설명했다.네트로피한지훈 지음 | 은행
나무
| 280쪽 | 1만 2000원네트로피란 엔트로피, 즉 ‘모든 물질은 긍정적인 상태에서 부정적인 상태로 간다’는 이론의 반대 개념이다. 저자는 이 색다른 개념을 공부에 적용해 수험생들의 심리와 두뇌를 최적의 공부 ... ...
진화론을 컴퓨팅에 접목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답을 하나로 결정하기 어려운 문제에 효과적이다. 복잡한 문제는 추상화시키면
나무
구조나 그래프 구조처럼 많은 연관관계를 가진다. 이런 연관관계 정보를 이용한 진화연산 시스템을 토대로 맥케이 교수는 사용자 특성에 맞춘 ‘키보드 레이아웃’을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진화연산을 ... ...
과학으로 쓰는 걷기 예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지난해 우리나라 최대의 금강소
나무
군락지로 유명한 경북 울진 소광리 지역에 ‘금강소
나무
숲길’ 20km를 조성했다. 지리산 외곽에도 50km의 숲길을 추가로 개통했다. 전체 구간이 완성되면 전국 어디에서나 누구나 걸어서 백두대간까지 갈 수 있는 시대가 열린다. 글 박근태 기자 kunta@donga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