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목
목재
재목
트리
묘목
목본
소리나무
d라이브러리
"
나무
"(으)로 총 3,425건 검색되었습니다.
화가는 파란색을 좋아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되찾을 수 있었답니다.*템페라 : 울트라마린과 같은 색채 안료에 벌꿀이나 계란,
나무
수액 등 끈적끈적한 액체를 넣어 만든 물감. 빨리 마르는 것이 특징이다.*유화 : 색채 안료와 기름을 섞어 만든 새로운 물감. 느리게 마르는 것이 특징이다. 달콤한 환상의 세계로 풍덩~!마지막으로 20세기의 그림을 ... ...
내 몸 안에 수학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되어 있다.프랙탈은 전체를 잘게 쪼갠 부분이 원래 모양과 닮아 있는 현상을 가리킨다.
나무
가 끝으로 갈수록 점점 수많은 잔가지로 나눠지는 것처럼 허파도 3억~4억 개의 허파꽈리로 나눠져 있다. 허파꽈리 하나의 지름이 0.1~0.2mm이므로 허파 전체의 표면적은 약 50㎡다. 숨을 크게 들이쉬면 허파의 ... ...
번개실험으로 살펴보는 정전기 방전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우리 몸에 전기가 흘러도 괜찮을까? “으악, 머리카락이 섰다.”얼마 전 놀이터에서 놀던 딸아이가 미끄럼틀을 미끄러져 내려온 뒤 쭈뼛 선 머리 ... 발생한 전기는
나무
옆에 있는 사람을 통해 지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실제 번개는
나무
와 사람 모두를 통해 지면으로 이동한다) ... ...
1. 모양에 담긴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가래는 둥글고 길게 늘여 만든 것의 도막이라는 뜻이다. 한옥 지붕을 받치는 둥글고 긴
나무
를 서까래라고 하는 것도 같은 이유다. 떡국에는 떡시루에서 찐 떡을 길게 뽑아 만드는 가래떡처럼 오래 살면서 행복과 재산도 쭉쭉 늘어나라는 뜻이 담겨 있다.옛날 궁궐에서는 가래떡을 똑바로 썰어 ... ...
일본 이리오모테 섬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길이라 올라가기가 만만찮다. 경사도 가파른데 사키시마수오
나무
처럼 뿌리를 벽처럼 세워 길을 막고 있는 기괴한 관목들을 요리조리 피해가야 한다. 폭포까지 40분 정도 올라갔을 뿐인데 입에서는 단내가 난다.“김상! 감밧떼 구다사이!”에코투어에 함께 참여한 일본인 ... ...
천 년을 견디는 종이 ‘한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할지라도 같은 품질과 크기를 찾기가 힘들다. 각각의 종이가 고유성을 갖고 있다. 닥
나무
외 나뭇잎이나 꽃잎 등 다양한 자연 재료를 첨가해 독특한 한지를 만들 수도 있다.이러한 특성의 한지는 다양한 데 쓰이며 활용도가 강하다. 엮고 구기고 비틀어 다양한 효과를 낸다. 회화에서부터 종이 공예, ... ...
동계스포츠에 숨은 과학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여러 겹의 가죽을 덧대어 만든다. 스케이트화의 바닥과 날을 연결하는 부분도
나무
같지만 사실 가죽이다. 가죽은 스핀이나 점프를 할 때 비틀리는 힘을 견디면서도 유연하기 때문. 스케이트화의 바닥 중간에는 일종의 경첩을 달아 선수가 몸을 앞뒤, 좌우로 기울여도 중심을 잃지 않게 돕는다. ... ...
밸런타인데이 초콜릿 파동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나올 날도 머지않을 것으로 보인다. 올해 밸런타인데이에는 카카오 게놈 분석이 카카오
나무
를 위기에서 구할 수 있기를 기원하며 초콜릿을 맛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듯하다. 카카오에서 초콜릿 얻는 마법 19세기 독일의 자연 과학자였던 알렉산데르 폰 훔볼트는 초콜릿의 주원료인 카카오(Theobroma ... ...
팝아트의 아이콘, 앤디 워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판(스텐실) 아래 종이를 깔고 잉크를 발라 구멍이 뚫린 곳으로만 찍는다.실크스크린은
나무
판이나 동판 대신 잉크가 통과할 수 있는 얇은 실크 천을 스텐실로 삼는다. 네모난 틀에 실크를 팽팽하게 당겨 고정시키고 감광액을 전체적으로 펴 발라 어두운 곳에 보관한다. 감광액은 빛을 쬐면 단단하게 ... ...
첫째 날 M-214호에 떨어지다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신기했어요.”“그래. 이 행성은 길이 한 번 꼬인 독특한 모양이라고 했지? 멀리 보이는
나무
가 거꾸로 서 있는 것도, 몸이 비틀어지는 느낌도 길이 180°로 꼬였기 때문이야. 길을 따라 가다 보면 길 위에 거꾸로 매달려 있게 돼. 물론 당사자는 그저 평평한 땅 위에 서 있다고 느끼지만, 행성 밖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