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목
목재
재목
트리
묘목
목본
소리나무
스페셜
"
나무
"(으)로 총 356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게시판] 류광준 과기혁신본부장, 소방 분야 연구현장 소통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4.15
2019년 작성된 달력을 갱신한 것으로 2014∼2024년 관측한 정보를 반영했다. 측백
나무
와 참
나무
등 수목류 봄철 꽃가루 날림 시기는 서울·강릉·대전·전주·광주·대구·부산·제주 8개 도시에서 평균 사흘 일러졌다. 지역별로 제주는 일주일, 중부지방은 닷새, 남부지방은 하루 앞당겨졌다. 수목류 ... ...
[표지로 읽는 과학] 감귤
나무
떼죽음 원인 ‘황룡병’ 치료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3
막을 수 있는 아미노산 분자 연결(펩타이드)를 찾았다. 찾아낸 펩타이드는 실제 감귤
나무
에 적용했을 때 병 증상을 효과적으로 줄였다. 온실과 야외 실험 모두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확인됐다. 사이언스는 "병원체 자체를 공격하기 어려운 경우 식물 내부의 방어 단백질을 안정화해 간접적으로 병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중남미 열대림, 기후변화 속도 못따라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09
있다는 뜻이다. 불균형이 커질수록 숲의 회복력은 약해진다. 연구팀은 "어떤 종의
나무
가 기후변화의 위협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지 이해해야 숲을 보존하기 위해 무슨 조치를 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며 "생태계의 회복력을 지원하기 위한 추가 연구와 보존 전략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무더위에 입맛이 떨어지는 이유
2024.08.07
부완핵은 그 정보를 시상하부의 띠뇌실막세포로 보낸다. 길쭉한 띠뇌실막세포는
나무
에 박힌 못처럼 시상하부에 놓여 여러 다른 세포와 접촉하고 있다. 이 가운데는 식욕을 조절하는 뉴런도 포함돼 있다. 식욕을 촉진하는 NPY/AgRP 뉴런과 식욕을 억제하는 POMC/CART 뉴런이다. 따라서 부완핵의 고온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벼 고고학 연구로 작물화 비밀 밝힌 中 과학의 '힘'
2024.06.26
결과 마지막 아빙기 동안 동아시아 몬순이 강해져 강수량이 늘었다. 그럼에도 유적지의
나무
와 수생식물 흔적은 오히려 줄었다. 벼농사를 짓기 시작하면서 물을 끌어오다 보니 주변은 오히려 물이 부족해졌다는 말이다. 한편 재배 환경 역시 물이 부족한 때가 많아 결국 잎이 잘 말려 가뭄을 견디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허리케인 지나간 뒤 사이 좋아진 원숭이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6.23
대해서는 아직 밝혀진 바 없다. 연구팀은 허리케인이 지나간 후 삼림이 파괴되자
나무
그늘이 줄어 섬에 사는 원숭이들이 40℃에 이르는 폭염에 더 많이 노출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삼림이 파괴된 시점 전후로 약 10년간 붉은털원숭이의 행동 등에 대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원숭이들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렌지 없는 오렌지주스 나올까
2024.03.06
커피를 위기에서 구해낼 수 있을까. 탱자 유래 잡종인 선드레곤의 열매와 좁은잎커피
나무
원두로 내린 커피의 향기가 과연 얼마나 오리지널과 비슷할지 무척 궁금하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제설제’는 ‘화학무기’가 아니다
2024.01.31
포트홀이 늘어나고 자동차나 철제 구조물이 부식되는 것은 사실이다. 도로 인근의 토양·
나무
·풀·농작물에 일으키는 염해(鹽害)도 걱정해야 한다. 그래서 화학적 제설 기술을 사용하는 도로는 눈이 녹은 물이 도로에 고여있지 않도록 설계해야 하고 배수 시설도 마련해 놓아야만 한다. 가로수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을 향하는 식물 '굴광성'의 비밀
2023.12.13
뒤틀린 줄기를 보면서 왠지 마음의 위안을 받는 듯했다. 식물원 내 매장을 둘러보다 커피
나무
묘목의 짙은 녹색 잎에 끌려 하나 샀다. 잘 키워서 열매를 봐야겠다. 식물이 빛을 향해 자라는 현상인 굴광성은 파란빛 세기의 차이를 감지해 작동한다. 어두운 곳에 둔 옥수수 자엽초의 오른쪽에서 ... ...
[표지로 읽는 과학] '쿵쿵 ' 심장박동 일으키는 근단백질 구조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3.11.25
제공 국제 학술지 '네이처'는 이번 주 표지에 형형색색의
나무
를 모아둔 것 같은 심근(심장근육) 속 미오신 필라멘트의 한 조각을 실었다. 로저 크레이그 미국 메사추세츠 챈 의대 세포생물학부 교수 연구팀과 슈테판 라운저 독일 막스플랑크분자생리학연구소 교수 연구팀은 지난 11월 1일 각각 심장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