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맥
meal
mill
mille
뉴스
"
밀
"(으)로 총 417건 검색되었습니다.
'3
밀
환경' 목욕탕 집단감염의 새 진원지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8.24
속도가 종전보다 크고 빠르게 확대되는 양상”이라며 “목욕탕은 환기가 잘 되지 않는 3
밀
환경으로 감염에 취약한 경우가 많고 마스크를 지속 착용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목욕탕 내 마스크 착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전국 목욕장에 마스크 620만장을 지원하기로 했다. 세신사는 마스크 ... ...
[강석기의 과학카페]감자 많이 먹으면 지구가 건강해진다
2021.08.24
심어 재배해야 한다. 이런 이유로 수확량의 10%는 손실을 본다. 만일 벼나
밀
처럼 씨를 심어 재배할 수 있다면 씨감자를 준비할 필요도 없을 뿐 아니라 바이러스 같은 병원체에 감염될 위험성도 크게 줄일 수 있다. 그런데 왜 여전히 씨감자를 심는 걸까. 물론 감자에서도 씨앗을 얻을 수 있다. 꽃이 ... ...
접종률 높은 요양병원시설 집단감염 원인은 변이·고령기저질환·3
밀
환경
동아사이언스
l
2021.08.17
노출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3
밀
환경은 '
밀
폐'된 공간에서 다른 사람들과 '
밀
집'해 '
밀
접 접촉'하는 것을 말한다. 이 단장은 이와 관련해 "요양기관은 다른 장소보다 돌파감염의 위험이 높고, 돌파감염자에 의한 추가 전파도 발생할 수 있어 백신을 접종한 것과 관계없이 코로나19 의심 증상이 ... ...
[프리미엄 리포트] 미래 모빌리티 도시 공간구조를 바꾸다
2021.08.07
드론 교통의 효율적이고 안전한 이동을 위해 드론 하늘길 개발이 한창이지만, 보다 정
밀
한 연구와 심도 있는 제도적 고찰이 필요하다. 모빌리티가 도시를 만든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마차에서 자동차로의 모빌리티 전환은 근대 도시의 교통 계획뿐만 아니라 주거 상업 중심의 토지 이용을 ... ...
델타 변이 전파력 강한 이유 “잠복기 짧고 바이러스량 1000배 이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7.22
바뀌는지 추적했다. 그런 뒤 2020년 기존 코로나19에 감염된 환자 63명의 바이러스 입자
밀
도 패턴과 비교 분석하고 연구결과를 논문 사전공개 사이트 ‘메드아카이브’에 12일(현지시간) 공개했다. 분석 결과 델타 변이 감염자들은 감염 4일 후 바이러스가 처음 검출됐다. 잠복기가 4일에 불과했던 ... ...
매년 큐비트 수 2배 ‘2차 양자혁명’ 시작됐다…한국 수준은 어디까지 왔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7.19
기술 스타트업이 생겨나는 등 양자센서에서는 최고로 평가받는다. 지하의 마그마
밀
도 변화를 측정해 화산 분화나 지진 위험을 모니터링하고, 천연가스 탐사에 활용하거나 싱크홀을 찾는 양자센서는 상용화 단계다. 유럽연합은 양자 중소기업과 벤처를 지원하기 위해 올해 4월 ... ...
남극에 온실을 지었다...지구서 조종하는 우주인용 식물 재배 시스템 '성큼'
동아사이언스
l
2021.07.16
기술 개발에 투자하기 시작했다. 태양광을 대체하는 특정 조합의 LED 광원 기술이나
밀
이나 감자, 대두의 뿌리를 양액에 담궈 재배하는 기술도 개발했다. 이같은 우주 탐사를 위한 기술 청사진은 수십억달러 규모의 비즈니스도 창출하고 있다. 미국 뉴욕 소재 신생기업인 ‘보어리 파밍’은 지난 6월 ... ...
[랩큐멘터리]난치병 원인 '단백질 수명' 결정하는 신호를 탐색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7
포
밀
메티오닌이라는 특정 아미노산이 단백질 합성을 시작할 수 있으며 동시에 포
밀
메티오닌이 단백질 분해신호로 작용하는 새로운 단백질 분해 경로를 발견한 것이다. 관련 연구 성과는 생명과학 분야 최고 국제학술지 ‘셀’과 ‘사이언스’, '네이처'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새로운 분해신호 ... ...
헌신적으로 부엌일 돕는 남편
팝뉴스
l
2021.07.04
앉아 있는 것이 전부다. 하지만 아내가 받는 도움은 크다. 남편 덕분에 쉽지 반죽을
밀
수 있는 것이다. 남편 두피 위에서 민 반죽은 다리미로 구워서 먹게 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작물 게놈 2세대 녹색혁명 이끌까
2021.06.30
않았다면 답을 찾기 어려웠을 것이다. 깔따구의 한 종은
밀
의 이삭에 알을 낳고 유충이
밀
알을 먹으며 큰 피해를 입힌다(왼쪽). 이 해충에 취약한 12개 품종과 저항성이 있는 3개 품종의 게놈을 비교한 결과 후자에서만 Sm1 유전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클로즈업에서 위 세 품종의 녹색 부분).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