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폐허 위에서 품은 희망 네팔 지진 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미술, 음악, 체육대회 등의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최태산 동신대 상담심리학과 교수를 중심으로 한 초우따라 팀은 미술과 음악, 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쿤달라 팀에서 총 20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외상후스트레스증상(Post Traumatic Stress Symptoms)과 우울증 설문조사 결과, 많은 학생들이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23] ‘오지라퍼’가 되지 않으려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조언이 필요하다.경험이 많다고 좋은 조언을 해주는 것도 아니다. 미국 미시간대 심리학과 트로이 캠벨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어떤 분야에 경험이 많은 사람이 도리어 사람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질 수 있다. 어려움을 겪은 경험이 많은 사람들은 그 일에 지나치게 익숙해져 버려서 이를 처음 겪는 ... ...
- 천문학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최근 이용복 서울교대 명예교수와 이용삼 충북대 천문우주학과 교수, 전준혁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원 등은 칠정산외편의 별 목록표와 알마게스트를 비교 분석해 칠정산외편의 별 목록표가 알마게스트를 포함한 2~3개의 목록을 편집해 만든 것이라고 추정하는 연구 결과를 ... ...
-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의대 생화학부 교수, 아지즈 산자르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의대 생화학 및 생물리학과 교수가 그 주인공이다.인간의 DNA는 자외선이나 각종 발암물질에 손상받기 쉽다. 정상적으로 대사활동을 하는 과정에서도 종종 DNA 손상이 생긴다. 그럼에도 인간의 유전물질이 파괴되지 않고 보존되는 이유는 ... ...
- [INTRO]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화석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위트와테르스란트대 고인류학자), 데이비드 로퍼(미국 버지니아공대 물리학과 교수), University of the Witwatersrand, ‘Homo naledi, a new species of the genus Homo from the Dinaledi Chamber’, ‘The hand of Homo naledi’, ‘The foot of ...
- 야구는 수학 놀음수학동아 l2015년 11호
- 1.83을 사용한다. 3월 수학동아에서는 이 지수를 1.87로 설정했다. 이장택 단국대 응용통계학과 교수는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에 발표한 논문에서 한국 프로야구 원년부터 2005년까지의 데이터를 이용하면 지수가 1.87이 가장 잘 맞아떨어졌으나, 2013년까지의 데이터를 이용한 경우에서는 지수가 1.8 ... ...
- 까마귀끼리 돕고 살아야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사회적 네트워크를 가진 포유류를 대상으로 이뤄져 왔다. 오스트리아 비엔나대 인지생물학과 조르그 마센 교수팀은 두 마리의 까마귀가 동시에 양쪽에서 줄을 잡아당겨야만 철조망 너머의 치즈를 끌어 당겨 먹을 수 있는 실험 장치를 고안했다.만약 까마귀 한 마리가 한쪽에서만 줄을 잡아당기면 ...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유전자들이 염색체 상에서 차지하는 위치에 변화가 생겼다. 스웨덴 농업과학대 해양자원학과 안드레아 벨그라노 교수는 2013년 12월 5일 사이언스에 발표한 칼럼 ‘어업은 어떻게 진화에 영향을 미치나(How Fisheries Affect Evolution)’에서 “이 연구는 큰 개체를 선호하는 인간의 어업방식이 물고기의 ... ...
- [상대성이론 100년사 ➓ 마지막화] 일반상대성이론의 과거, 현재, 미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문화와도 결코 동떨어져 있지 않다. 시야를 자연과학 전체로, 나아가 세계를 바라보는 철학과 문화까지 확대해 보면, 앞으로 일반상대성이론이 뻗어나갈 길은 무궁무진할 것이다. 일반상대성이론은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푸른 바다이다 ...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하고, 백신을오래 사용할 수 있다. 미생물을 보는 시각을 바꾸다정용석 경희대 생물학과 교수는 몇 해 전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연구하다 새로운 사실을 발견했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는 보통 숙주세포에 짧게 머물면서 유전자를 복제한 뒤, 세포를 터뜨리면서 퍼져 나갑니다. 게릴라처럼요. 그런데 ...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