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나 그렇게 뚱뚱한 공룡 아니야!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전문학술지 ‘바이올로지 레터스’ 2월 15일자에 실렸습니다.영국 리버풀대 근골격생물
학과
칼 베이츠 교수팀은 긴 뼈(넓적다리와 앞다리 뼈)의 단면 둘레로 공룡의 몸무게를 추정하는 기존의 방법으로 드레드노투스의 몸무게를 구했습니다. 그 결과, 드레드노투스의 몸무게는 약 59톤이었습니다. ... ...
“ 해상 안전의 첫 걸음은 바다를 이해하는 것”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해저에서 원유나 가스 등을 끌어올리는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할 수 있거든요. 그래서
학과
에는 화학공학을 전공한 교수님도 계십니다.Q 우리나라 조선해양산업이 유명한 이유는.사실 우리나라가 조선해양산업에 유리한 나라는 아닙니다. 천연 자원들이 없으니까요. 해양 플랜트를 설계한다는 건 ... ...
[참여] 게임카페 1기, 첫 번째 수업 상상력과 논리의 멋진 조화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한 달이나 늦게 시작한 탓인지 평소보다 더 열의에 넘쳐 있었지요.오규환 아주대 미디어
학과
교수님도 강의도 이전보다 더 알찼답니다. 시간이 부족해서 준비한 자료를 다 설명하지 못하고 일부를 건너뛰어야만 했어요. 그래도 참가 독자들은 교수님이 질문을 던질 때마다 손을 번쩍번쩍 들고 ... ...
[Life & Tech] 혀를 중독시킨 붉은 마약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엔돌핀이 주는 쾌감에 빠져 마라토너는 계속 달리게 된다. 김선아 한국방송통신대 가정
학과
교수(식품영양 전공)는 “우리의 혀 역시 더 많은 엔돌핀을 얻기 위해 계속 매운 음식을 찾게 되고, 더 매운 음식에까지 손을 돌리게 된다”고 말한다. ‘달콤한 통증’에 중독되는 셈이다. 청양고추는 ... ...
“건설환경의 패러다임이 바뀔 것”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문화라고 생각하는 거죠. 우리나라도 이렇게 문화중심의 건설로 나아가야 합니다. Q
학과
선택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에게 조언을 한다면저는 책을 많이 읽는 걸 추천해요. 본인이 재미있겠다 싶은 책을 골라서 계속 읽어보세요. 그럼 그 중에서도 특히 흥미가 가는 분야가 생길 거예요. 그리고 그 ... ...
박종화 생명과학부 교수 - 늙지 않는 세상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소년은 컴퓨터로 노화와 관련한 생명 현상의 비밀을 풀겠다는 생각에 서울대 수의
학과
에 진학했다. 하지만 당시에는 컴퓨터라는 개념조차 생소한 시대였다. 컴퓨터와 생물을 접목해 연구를 하는 학자도 없었다. 결국 그는 서울대를 중퇴하고 영국 유학길에 올랐다. 그리고 그곳에서 평생의 ... ...
여름에는 누구나 수학 성적이 떨어진다?!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서 화제입니다.미국 캘리포니아대 샌디에이고캠퍼스 경제
학과
조슈아 그라프 지빈 교수팀은 ‘수학 성적’과 ‘시험장 온도’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머리를 쓸 때 발생하는 열을 낮추지 못해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연구팀은 ... ...
수학이 불러온 생물학 혁명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분야를 개척해나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대부분이 최신 분야에 달려드는 물리학이나 생물
학과
는 조금 다른 부분이기도 하죠. 그래서 생물학에 관심을 갖는 수학자가 흔하진 않습니다. 그래도 수학에 관심을 갖는 생물학자보다는 훨씬 많을 겁니다. 한편, 거의 대부분의 수학자가 수학을 실제 세계에 ... ...
[Knowledge] 전쟁의 포성 속에서 우주의 비밀에 접근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훌륭한 물리학 이론으로 자리를 잡아가기 시작했다.김재영_zyghim@kaist.ac.kr서울대 물리
학과
에서 ‘물리학기초론’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독일 막스플랑크 과학사연구소 초빙교수, 서울대 강의교수, 이화여대 HK연구교수를 거쳐, KAIST 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에서 과학의 역사와 철학을 ... ...
연꽃과 도마뱀 키우는 기계공학자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것이 아니라 그것의 독특한 기능을 연구합니다.” 기대는 와장창 무너졌지만 기계공
학과
동물의 만남이란 말이 구미를 당겼다. 정 교수는 자신의 연구 분야를 ‘생체모방공학’이라고 불렀다.털끝까지 따라 해야생체모방공학은 자연이 가진 신기한 기능을 인공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