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3,084건 검색되었습니다.
1. 당신의 뇌가 '관상'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01
달리 동료 원숭이의 얼굴을 볼 때 뚜렷한 반응을 보였다.1992년 영국 옥스퍼드대 심리
학과
에드문드 롤스 교수는 측두엽 중에서도 특히 상측두구(Superior Temporal Sulcus)와 하측두회(Inferior Temporal Gyrus)가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밝혔다.현재 학자들은 대뇌 피질 아래쪽에 방추상 .. ...
3. 근육 따라 울고 웃었다
과학동아
l
200701
가짜 미소는 상대방에게 서로 다른 인상을 주기도 한다. 2005년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심리
학과
알리시아 그랜드니 교수는 배우들에게 호텔의 체크인 카운터 종업원 역할을 맡긴 뒤 한 그룹은 진짜 미소를 나머지 그룹은 가짜 미소를 짓게 했다. 그 결과 종업원과 손님 사이의 상호작용이 똑같아도 ... ...
우리 포옹할까요?
과학동아
l
200701
포옹하는 느낌을 나눌 수 있다. 포옹도 디지털이라는 옷을 입고 진화한다. 연세대 심리
학과
황상민 교수는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라 포옹이 갖는 의미는 다르지만 사랑을 표현하는 수단이라는 점은 변하지 않았다”며 “오늘날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어쩌면 ‘접촉결핍증’에 시달리고 ... ...
아낌없이 주는 돼지
과학동아
l
200701
전망했다.그러나 이종간 장기 이식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도 만만치 않다. 서울대 수의
학과
우희종 교수는 “면역은 생물의 생존 시스템”이라며 “이종간 장기 이식은 생물의 개체성을 부인하는 것으로 거의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사람과 함께한 그 순간부터 돼지는 자신의 모든 것을 아낌없이 ... ...
4. 나는 꽃미남이 좋아요
과학동아
l
200701
즉 오른쪽 얼굴이 판단의 근거로 활용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또 미국 네바다대 심리
학과
마이클 웹스터 교수는 2004년 남성의 얼굴을 많이 보다가 여성의 얼굴을 보게 되면 그 얼굴이 더욱 여성적으로 보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일종의 잔여효과(aftereffect)가 생긴다는 말이다. 홍일점이 더 ... ...
우리는 의식하고 있다는 걸 의식한다
과학동아
l
200701
신경과학연구소와 신경과학연구재단을 이끌고 있다. 현재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신경생물
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1972년 항체의 분자구조가 Y자 모양이라는 사실을 발견해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그의 연구를 토대로 몸속에 항원이 침입했을 때 항체가 어떻게 활동하는지 드러났고 면역체계에 ... ...
3. 잠들어있는 마스터유전자를 깨워라
과학동아
l
200701
운명결정자로서 마스터유전자가 존재하는지도 쉽게 단정지을 수 없다. KAIST 생명과
학과
임대식 교수는 “마스터유전자 하나만으로 줄기세포 분화과정에서 스위치를 켜고 끄듯 방향을 정할 수 있는 건 아니다”라며 “중요한 것은 생체 내의 다양한 유전자와 단백질, 호르몬의 상호작용”이라고 ... ...
한국 우주인후보, 크리스마스에 탄생하기까지
과학동아
l
200701
, 이진영(36·공군 소령), 장준성(25·부천남부경찰서 경위), 최아정(24·서울대 물리
학과
석사과정)이 그들이다.4차 선발의 하이라이트는 지난 12월 3일부터 1주일간 계속된 러시아 현지평가였다. 8명의 후보자들은 러시아 가가린훈련센터에서 특수비행기를 타면서 무중력훈련을 하고 수중에서 모의 ... ...
엘리베이터 안에서 휴대전화 '먹통'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01
바야흐로 휴대전화 전성시대다. 지하철 안, 산, 바다 등 언제 어디서나 휴대전화를 쓸 수 있다. 심지어 해외로밍서비스로 지구 반대편에 있는 사람과 바로 통화할 수도 있다. 하지만 휴대전화의 전파가 미치지 않는 곳이 우리 생활 아주 가까운 곳에 있다. 바로 엘리베이터 안이다.엘리베이터를 탔을 ... ...
MIGAC CHRISTMAS! 매직 크리스마스 3개의 선물 상자를 열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4
점성술사를 두려워하기도 했대.하지만 이런 점성술을 하면서 별을 관측하는 천문
학과
수학을 포함한 과학이 시작되었으니, 마술과 과학도 그리 먼 관계는 아니지?마술의 역사를 이끌어 온 마술사에는 누가 있을까? 또 어떤 마술로 유명해졌을까? 마술사들을 통해 근대부터 현대까지 마술의 변화를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