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3,084건 검색되었습니다.
커플이 싱글보다 안전한 이유
과학동아
l
200609
지난해 말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교통사고 발생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다고 한다. 반면 승차 중 사망 비율은 가장 낮아 교통사고 치사율은 비교적 낮은 편이라고 하니 그나마 다행한 일이다.교통사고에서 물리적으로 가장 위험한 상황은 두 차가 정면으로 충돌하는 경우다. ... ...
나무판과 현이 빚어낸 천상의 소리
과학동아
l
200609
어김없이 학생들의 구슬땀이 녹아든 바이올린이 등장한다. 록클래식에서 또 한번 과
학과
음악의 만남에 흥분하며 젊음과 열정에 몸을 불사를 것이다. 다성음악 : 독립된 선율을 가지는 둘 이상의 성부로 이뤄진 음악을 말한다. 폴리포니(polyphony)로도 불린다 ... ...
꼬마잠자리의 슬픈 비행
과학동아
l
200608
49년 전 발견 그리고 부활우리나라 꼬마잠자리는 49년전에 처음 발견됐다. 고려대 생물
학과
김창복 교수가 1957년에 속리산 법주사에서 한 마리를 발견해 꼬마잠자리임을 밝혔다. 그 뒤로는 뚜렷한 발견 기록이 없다가 1999년에 전남 곡성에서 다시 발견돼 서울여대 배연재 교수가 형태와 서식처를 ... ...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오른 19인의 과학도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8
쉽게 정확한 지도를 볼 수 있게 되었다.한국 최초의 이학박사 이원철(1896〜1963)천문
학과
기상학의 선구자인 이원철은 1926년 미국의 미시간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얻은 한국 최초의 이학박사다. 당시 세계 최고의 천문학자들도 알지 못했던 독수리자리 에타 별의 시선속도가 변한다는 것을 밝혀 세계 ... ...
3. 우리 농작물로 만든 위대한 밥상
과학동아
l
200608
환경, 에너지 산업에서 세계를 주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지난해 전주대 식품영양
학과
진효상 교수는 김치와 고추장 등 발효식품에서 독특한 맛을 내는 미생물을 발견했다. 진 교수는 “두 미생물은 김치의 특징인 매콤하고 새콤한 맛을 내는데 작용한다”고 밝혔다. 따라서 김치를 담글 때 이들 ... ...
저항 비켜! 초전도가 뜬다
과학동아
l
200608
이 교수는 귀국한 뒤 한국의 초전도 연구그룹을 ‘창립’했다. 그는 1987년 포항공대 물리
학과
교수로 임용됐으며 1997년부터 창의적 연구진흥사업단인 초전도연구단의 단장을 맡았다. 초전도연구단은 9년간 매년 6, 7억원을 지원받으며 순수 국내 기술로 초전도 불모지에서 눈부신 성과를 거뒀다. 이 ... ...
'에너지 보존법칙'쉬운 길로 가보자
과학동아
l
200608
한 달 수입에서 지출한 돈을 빼면 남은 돈을 저축하거나 투자할 수 있다. 즉 지출한 돈과 저축하거나 투자한 돈을 합한 것이 그 달의 수입이다. 경제학자는 이것을 돈의 양이 보존되는‘돈의 보존법칙’이라고 부를지도 모른다.자연계에는 보존되는 물리량이 많다. 전하량도 보존되고, 운동량도 보 ... ...
휴대전화는 디지털 블.랙.홀.
과학동아
l
200607
1877년 뉴욕의 성 요한 교회 포스터에는 특이한 일요 강좌 소개가 실렸다. ‘벨 교수가 말하고 노래하는 전화기 시범을 보인다’는 내용이었다. 여기서 ‘벨 교수’는 1876년 전화기를 발명한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이었다.당시 벨의 후원자는 그의 장인인 가디너 허바드와 벨이 교수로 있던 보스턴대 ... ...
하늘 그린 지도, 우주 담은 시계
과학동아
l
200607
30호인 혼천시계 그리고 보현산천문대에 있는 광학천체망원경이 들어갔다. 세종 때 천문
학과
같은 과학기술이 발달했음을 강조하고 앞으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의 초석이 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는 조선 태조 때인 1395년에 고구려의 것으로 추정하는 돌 ... ...
다이빙 선수의 우승비결은 공명?
과학동아
l
200607
놀이터에서 그네를 타는 어린이는“더 높이 밀어주세요!”하고 조른다. 우리는 어떻게 하면 그네를 더 높이 올라가게 할 수 있는지 경험으로 알고 있다. 그네를 한 번 밀어서 흔든 뒤 그네가 뒤로 왔다가 되돌아가려는 바로 그 순간 밀어준다. 그리고 그네가 멀어졌다가 다시 돌아와 머물렀다가 떠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