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3,084건 검색되었습니다.
배아복제 연구 시작해도 되나?
과학동아
l
200705
방법을 찾는 편이 현실적’이라는 의견이 16%로 다소 높게 나왔다. 이에 대해 강릉대 생물
학과
전방욱 교수는 “체세포 복제배아는 정상적인 줄기세포로 분화할 성공률이 높지 않아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라며 “골수 검사를 하듯, 폐기되는 배아에서 면역 적합성이 있는 것을 찾아서 ... ...
신데렐라는 왜 유리 구두를 신었을까
과학동아
l
200705
날을 손쉽게 만들 수 있어 석기시대에는 칼이나 화살촉으로 사용했다.남서울대 환경조형
학과
김형종 교수는 “검고 투명한 빛깔이 아름다워 나중에는 장식품으로도 쓰였지만 흑요석 같은 천연 유리에는 다른 광물들이 섞여 있어 요즘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고 말했다.로마의 역사가 가이우스 ... ...
가슴 속에 부는 토네이도를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05
지금은 생물학을 전공한 박사급 연구원들이 있어 별 문제 없이 연구가 진행된다. 그러나
학과
를 뛰어넘어 공부하는 이런 사례가 대학에서 흔하지 않은 게 걱정이다.그는 “지도교수를 다른 과에서 선택해도 대학원생이 부담을 느끼지 않아야 한다”며 “아직은 이런 문화가 자연스럽지 않은 게 ... ...
2. 여성은 과학을 못할까?
과학동아
l
200705
사회적, 문화적 차별성에 대해 가장 잘 표현한 글은 미국 스탠퍼드의대 신경생물
학과
벤 바레스 교수가 2006년 7월 13일자 ‘네이처’에 기고한 논평이다. 그는 원래 여성으로 태어났으나, 성인이 돼 남성으로 성전환을 한 사람이다. 그는 여성으로서 과학계에서 차별을 경험한 뒤 남성이 됐으니 어찌 ... ...
인류 멸종한 지구도 평화롭더라
과학동아
l
200705
윤지영 외 지음 사이언스북스 |390쪽 1만 5000원어릴 때부터 하늘이 좋아 천문우주
학과
에 들어갔다. 대학원에서는 고층대기와 위성자료처리 분야에 관한 연구를 했다. 그래도 여전히 내게 과학자로서의 정체성은 없었다.기상청에 들어와 한동안 일중독자처럼 살며 병원 신세도 졌지만 영어와 숫자로 ... ...
PART1 당신의 '수학 혈액형'
과학동아
l
200704
우리나라에서도 수학교과서 하나로 든든해질 수 있을까. 대한민국 모든 사람들이 수
학과
처음 만나는 관문이자 수학에 대한 평생의 인상을 결정짓는 수학교과서.잘못 만들어진 제품은 버리거나 회수하면 되지만 잘못 만든 교과서는 그 피해가 고스란히 학생들에게 돌아간다. 수학교과서를 ... ...
PC자리 넘보는 3세대 휴대전화
과학동아
l
200704
이들을 모두 갖춘 3G 휴대전화가 속속 등장할 전망이다.이영수 책임연구원은 연세대 경영
학과
를 졸업한 뒤 동대학원에서 경영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LG전자 LSR연구소를 거쳐 현재 LG경제연구원에서 통신서비스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인터넷비즈니스닷컴’ ‘이모셔널디자인’을 공역했다 ... ...
30초만에 30층 오르게 도와주는 로프
과학동아
l
200704
관여하는 일부 다세포생물의 생식은 단위생식 또는 단성(單性)생식이라고 한다물리
학과
천문학에 사용되는 용어로 그 의미도 다르게 규정된다 먼저 물리학에서 사용되는 위상의 정의는 진동이나 파동과 같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현상에 대해 어떤 시각 또는 어떤 장소에서의 변화를 말한다 따라서 ... ...
사이버 공간에 숨어있는 '훔쳐보기'와 '노출하기'
과학동아
l
200704
사용할 수 있는 도구가 점점 발전할 뿐”이라고 지적했다. 경희사이버대 사이버NGO
학과
민경배 교수도 “남을 훔쳐보고 싶은 온갖 욕구가 생겨날 것”이라고 예측했다.민 교수는 “2010년쯤이면 책상 위의 볼펜, 컵은 물론 넥타이나 냉장고에도 IP주소가 할당될 것”이라며 “마음만 먹으면 옆집 ... ...
PART2 한국의 '지구사냥꾼' 나선다
과학동아
l
200704
별 하나도 빛 휘게 해천문학자들은 1995년 페가수스자리에서 외계행성을 처음 발견한 뒤 10여 년 동안 200개가 넘는 행성을 새로 발견했다. 하지만 생명체가 있을 만한 행성이 발견됐다는 소식은 아직 들리지 않는다. 지금까지 알려진 외계행성 대부분은 행성의 중력으로 중심별이 미세하게 요동치면 ... ...
이전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