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연구자"(으)로 총 2,127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석봉 모친이 초롱불을 끄고 떡을 썬 까닭은...2017.09.26
- 뒤 아기에서 뮤직박스를 주고 자리를 피한다. 그러나 사실은 버튼을 눌러도 소용이 없다. 연구자들은 2분 동안 아기가 버튼을 얼마나 많이 누르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 ‘노력 조건’ 즉 어른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끈기 있게 노력하는 모습을 지켜본 아기들이 버튼을 가장 많이 눌렀다. 즉 음악을 ... ...
- 내향적 성격인 나, 비사회적인 사람일까?2017.09.24
- 될 확률이 높았다는 점이다(24% vs. 1%). 하지만 아직 관련 연구가 많지 않은 특성이라 연구자들도 비사회성이 이런 정신질환과 관련을 보이는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한 답을 할 수 없다고 언급했다. ※ 참고문헌 Silvia, P. J., & Kwapil, T. R. (2011). Aberrant asociality: how individual differences in social anhedonia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2017.09.19
- 다만 최근 백신 개발용으로 적합한, 즉 SFTS바이러스를 대표하는 균주를 제안한 중국 연구자들의 논문이 한 학술지에 발표되기는 했다. 한중일 세 나라의 보건 담당자들이 SFTS바이러스 백신 개발을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하지 않을까. 한편 SFTS가 진드기 매개 질병의 전부가 아니다. 진드기 유충에 물려 ... ...
- 힘들어도 쾌활한 척하면 정말 기분이 좋아질까2017.09.17
- 때문에 감정을 잘 받아들이는 게 아니냐고 말이다. GIB 제공 이 의문에 답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평소 자신의 감정에 솔직하거나 억압적인 사람들을 대상으로 카메라 앞에서 ‘모의 면접’을 하는 같은 과제를 주었다. 그 결과 똑같이 힘들고 스트레스가 많은 일을 했어도 평소 자신의 감정을 있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2017.09.12
- 개발한 파란 국화의 경우 다를 식물 두 종(초롱꽃과 나비콩꽃)의 유전자가 들어간 GMO다. 연구자들은 이번 시도가 크리스퍼/캐스9 시스템을 사용해 꽃의 색을 바꾼 최초의 시도라며 앞으로 원예식물 육종에 이 기술이 널리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2017.09.05
- 자외선 피크는 동반성-충격 모형이 예측하는 값에 못 미쳐 아쉬움을 남겼다. 이에 대해 연구자들은 몇 가지 가능한 설명을 제시하면서도 비슷한 관측이 더 쌓여야 이론 모형이 완벽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우리 은하에서 신성 폭발은 일 년에 수십 차례 일어난다고 한다. 이 가운데 맨눈에도 ... ...
- 휴가는 당신을 얼마나 행복하게 했나요?2017.09.02
- 만다. 네덜란드에서 이루어진 한 연구에 의하면 ‘휴가’ 역시 그렇다고 한다. GIB 제공 연구자들은 약 1500 명의 휴가를 가거나 가지 않았던 사람들을 대상으로 휴가 전과 후의 행복도를 비교해보았다. 그랬더니 휴가가 사람들을 가장 행복하게 만들었던 시점은 휴가를 갔다온 후가 아니라 가기 ... ...
- 백인우월주의자는 어떤 성향의 사람들인가2017.08.26
- 사람보다 다양한 약자를 두루두루 혐오하는 사람들이 더 많은 것일지도 모르겠다. 연구자들은 노골적으로 대놓고 하는 인종차별이 옛날 일이라고 생각하고 있겠지만, 이 연구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언급했다. 사람들은 보통 ‘괜찮은’ 사람으로 보이고 싶어서 익명성이 보장된다고 ... ...
- 반려동물이 정신질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이유2017.08.20
- 않는다. 무슨 일이 있었는지, 내가 어떤 사람인지 묻지 않는다”고 이야기하기도 했다. 연구자들은 정신질환을 겪는 사람들의 경우 사회의 편견과 소외로 인한 이중고를 겪는데, 반려 동물이 이들의 악영향을 줄여주고 믿고 기댈 수 있는 친밀한 관계를 제공해 줌으로써 환자들이 일상생활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2017.08.15
-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분자의 특징적인 피크가 나타났다. 이런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애벌레가 폴리에틸렌을 먹고 소화했다고 결론 내렸다. 다만 논문 말미에서 아직 분해 메커니즘은 규명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아무튼 이 연구결과가 보도되자 우리나라에서도 큰 화제가 됐다. 추가 ... ...
이전1621631641651661671681691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