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자
조사자
연구원
스페셜
"
연구자
"(으)로 총 2,127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만 친구 없어! 나만 불행해! 라는 생각이 찾아올 때
2018.01.13
99%의 우리들은 ‘역시 나는 사회성이 부족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마는 것이다. 실제로
연구자
들이 집단을 나누어 한 집단의 사람들에게는 주변의 사회성이 좋은 사람과 자신의 사회성을 비교하도록 하고 또 다른 집단의 사람들에게는 사회성이 좋지 않은 사람과 비교하도록 했을 때 전자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
2018.01.09
않지만 사자 뒤에도 개 다섯 마리가 더 있다. 이건 정말 사자 사냥 장면일까. 이에 대해
연구자
들은 실제 장면을 묘사한 것일 수도 있고 사냥꾼의 용맹함을 드러내기 위한 상징적인 장면일수도 있다고 해석했다. 다만 개를 동반한 사자 사냥을 언급한 문헌이 드물지 않다고 덧붙였다. 시프먼 교수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남의 시선과 의무감을 벗어던질 때 최고의 성과가 나온다
2018.01.06
일만 있는 것처럼 느낄 수 있을 때 우리는 최고의 퍼포먼스를 보이게 되는 것이다.
연구자
들은 이런 몰입이 가능하려면 우선 어떤 외적 보상과 상관 없이 그 일 자체가 커다란 행복을 가져다 주어야 한다고 본다(Nakamura, & Roberts, 2017). 예컨대 운동이나 예술적 활동 외에도 밀린 드라마를 하루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역학
2018.01.02
부어 레이어드 액체를 만든 뒤 이를 식혀 굳힌 멀티레이어드 아가로스 젤을 얻었다.
연구자
들은 이 기술이 식품이나 조직공학 등 다양한 연성물질(soft material) 분야에 응용될 것으로 내다봤다. TIP 집에 에스프레소머신이 없는 필자는 드립커피로 레이어드 라테 만들기에 도전해봤는데 세 번 만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메가3 지방산, 몸에 좋은 것만은 아니다
2017.12.27
것일까. 즉 적정 농도의 19,20-DHDP는 망막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 것일까. 사실 이번 논문의
연구자
들은 2014년 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즉 sES 효소 유전자를 고장낸 생쥐를 만들어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살펴봤다. 그 결과 망막에서 혈관생성에 문제가 생겼다. 즉 적절한 농도의 19,20-DHDP는 ... ...
[지뇽뇽 사회심리] 숙련 VS 성과
2017.12.16
● 실패를 통해 배우는 게 있을까? 한편 실패를 통해 배운다는 건 어떤 걸까? Downar 등의
연구자
들은 실패를 통해 배울 줄 아는 의사와 그렇지 않은 의사가 어떤 차이점을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의사들을 대상으로 가상의 심장 마비 환자를 치료하는 시뮬레이션을 하도록 했다. 환자의 정보를 주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
2017.12.12
46.5%로 2위와 1위를 차지했고 비만율은 각각 46, 44.8%로 1위와 2위에 올랐다. 리뷰논문에서
연구자
들은 인류의 건강과 수명과 관련해 지나치게 낙관적인 견해를 보이는 과학자들을 비난하고 있다. 즉 과학의 발달로 15년 내에 기대수명이 매년 1년씩 길어질 것이라거나 2000년 이후 태어난 사람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
2017.12.06
지닌 반합성생명체가 제대로 작동해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산다는 말이다. 다음으로
연구자
들은 세 번째 염기쌍을 이용해 비정규 아미노산을 포함한 형광단백질을 만들어보기로 했다. 즉 앞서 언급한 메탄생성 고세균 메타노사르시나의 피롤라이신 담당 tRNA 유전자(물론 안티코돈 부분을 ... ...
지뇽뇽 사회심리 I 끝없는 자기 비난은 도망의 다른 이름
2017.12.02
행동임을 알기에 금방 시선을 옮겨 책임을 지는 데 에너지를 쓸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연구자
들은 자신의 책임을 인정하고 재빨리 행동을 수정하기 위해서라도 자기 자신을 심하게 비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이야기한다. 잘못한 타인을 용서하고 새로운 기회를 주듯 자기 자신 또한 용서할 줄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
2017.11.29
뇌과학의 역사에서는 이보다 20년 앞서 1960년대 뇌의 가소성을 처음 실험적으로 규명한
연구자
로 기록될 것이다. 즉 다이아몬드는 놀이기구 등 자극이 풍부한 환경에서 생활한 쥐가 자극이 빈약한 환경에서 자란 쥐에 비해 대뇌피질이 더 두껍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당시는 뇌가 변하지 않는다는 ... ...
이전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