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연구자"(으)로 총 228건 검색되었습니다.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연구단을 꾸리는 스티브 단장의 러브콜이 그의 마음을 움직였다. 조 그룹리더는 "좋은 연구자들과 함께 연구하면 상호보완적이면서도 재미있는 연구를 할 수 있을 것 같아 연구단에 합류했다"며 "스스로 고민하며 새로운 것을 하려고 찾고 있는데, 그래닉 단장이 자유로운 분위기의 연구환경을 ... ...
- 봄 타는 식물, 꽃 피우는 비밀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반복되는 DNA가 비교적 적어 유전자 분리가 용이하고, 유전자 복제에 유리하다. 이에 따라 연구자들은 꽃이 피는 애기장대와 피지 않는 애기장대를 만든 뒤 유전자를 비교했고, 꽃이 늦게 피는 돌연변이 애기장대 11종을 학계에 보고했다. 과학자들은 이 11종의 돌연변이 애기장대 유전자를 비교해가며 ... ...
- 장내 미생물로 면역질환 치료한다동아사이언스 l2017.03.07
- 프로바이오틱스의 원리부터 응용까지 다루는 이 학술대회는 80개국에서 500여 명의 관련 연구자가 참석합니다. 올해 학회는 6월 19~22일에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립니다. 유럽은 프로바이오틱스 분야의 본거지인데, 학회를 통해 한국 기업도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 학회가 한국 기업들에게 유럽과 ... ...
- "최고 수준의 중이온가속기 건설에 모든 걸 걸었어요!"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같다. 본인이 맡은 부분이 세계의 경쟁력에 뒤지지 않으면서 중이온가속기가 국내외 연구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시설이 됐으면 좋겠다는 것이다. 이들이 흘리는 땀방울이 세계 최고의 가속기를 탄생시키는 결실로 나타날 날이 머지않았다. 성실함과 열정으로 가득한 세 연구위원은 세계 최고 ... ...
- 완벽한 인공지능구현, '기초과학 연구'가 필수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포개진 인간의 뇌를 모방해 신경망네트워크 구조로 딥러닝 알고리즘을 만들어 인공지능 연구자들을 놀라게 했다. AI 가능케 하는 원천은 기초과학과 수학 딥러닝으로 대변되는 인공지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인간의 뇌를 모방한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on Network)'을 구현하는 기술이 ... ...
- 시스템 생물학의 눈으로 노화의 비밀을 들여다보다동아사이언스 l2017.01.06
-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IBS 식물 노화∙수명 연구단에서 황 부연구단장이 이끄는 젊은 연구자들의 활약이 기대된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구독신청 ... ...
- IBS 5년간 땀과 노력, 한 권으로 집대성동아사이언스 l2017.01.06
- 연구기관에 이르지 못하지만 연구의 질은 세계 어느 곳보다 뛰어나다"며 "앞으로 젊은 연구자들이 마음껏 아이디어를 펼칠 수 있는 연구소를 만들어 인류의 미래를 밝힐 지식의 허브로 성장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 보고서는 국내 주요 연구기관 및 대학 등 과학계에 배포한다. 과학을 지지하는 ... ...
- 기초과학은 모든 인류의 공통 관심사동아사이언스 l2016.12.21
- 발견한 예술적 감동을 주는 이미지 16점과, 김수연·손경환 작가가 IBS 과학자들의 연구자료와 이미지를 모티브로 삼아 창작한 설치미술 2점을 함께 전시해 다채로움을 더했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 ...
- 끈이론의 대가, 삼라만상의 정보에 심취하다동아사이언스 l2016.12.21
- 벽을 없애고 싶었지만 관습과 규정상 그렇지 못해, 토론공간을 카페스타일로 만들었고 연구자들이 원하는 시간에 아무 때나 와서 칠판 앞에서 끙끙대며 연구할 수 있도록 했다. 실제로 방문하였을 때, 토론공간은 그야말로 "왁짜지껄 시장판"이었다. 이수종 단장의 연구그룹은 미시 규모에서 거시 ... ...
- 세계적 석학과 함께하는 IBS 개원 5주년 행사IBS l2016.10.31
- 이상 액시온 및 극한상호작용 연구단) 연구위원은 김수연‧손경환 작가에게 연구자료와 이미지를 제공하고 토론을 통해 우주과학의 통찰을 작품에 반영하도록 도왔다. 이를 받아 두 작가는 각자 고유의 매체와 조형감각으로 광활한 우주의 신비를 탐구하는 우주과학을 예술에 접목해 새로운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