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자
조사자
연구원
스페셜
"
연구자
"(으)로 총 2,12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질병으로 인한 사망자이고 12명은 중증 뇌전증(간질)로 뇌절제 수술을 할 때 얻은 시료다.
연구자
들도 이 점이 의식됐는지 논문에서 “우리의 성인 치상회 시료에서 미성숙 뉴런이 거의 없는 건 질병이나 죽음과 연관된 과정 때문일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이들의 연구에 대해 ‘셀 줄기세포’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란?
2018.03.31
원인은 바로 가해자의 존재라는 것이다. 오랜 시간 공들인 덫 미국 조지타운대학의
연구자
Mary Ann Dutton에 의하면 의하면 많은 IPV 가해자들이 폭력을 손쉽게 사용하기 위해 오랜 시간 동안 교묘한 방법으로 피해자의 행동을 통제한다고 한다 (Dutton & Goodman, 2005). GIB 제공 1. 진정성 있는 협박 첫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투(문신)가 지워지지 않는 이유
2018.03.27
가운데)나 수지상세포(오른쪽) 내부에는 타투 안료가 없다. - ‘실험의학저널’ 제공
연구자
들은 이번 발견이 레이저 시술로 문신을 지울 때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즉 레이저 펄스에 대식세포가 죽고 문신 안료를 토해냈을 때 대식세포가 바로 보충되지 않게 할 수 있다면 안료가 배출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상대방의 의도를 공격하는 이유
2018.03.24
중 B보다 A의 도덕성이 낮은 평가를 받는 것이 한 예다. 이러한 현상을 확인한 예일대학의
연구자
조지 뉴맨(George Newman)은 사람들은 도덕판단에 있어 비현실적일 정도로 의도의 순수성에 집착하며, 그 결과 분명 바람직한 행동임에도 나쁘다는 평가를 내리는 일이 발생한다고 언급했다. 사람들에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배터리 핵심소재 리튬 vs 코발트, 누가 더 귀한 몸?
2018.03.20
- ‘줄’ 제공 2016년 현재 리튬이온배터리에 들어가는 코발트는 연간 5만 톤 규모다.
연구자
들은 추후 배터리 수요에 따른 시나리오를 두 가지 마련했다. 먼저 수요 증가율이 낮은 시나리오(L)로 2025년 연간 코발트 수요가 13만6000톤이다. 낮은 게 이 정도니 전기차 시대가 열리면서 배터리 시장이 ... ...
태초 특이점,블랙홀 이론...스티븐 호킹이 남긴 학문적 업적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전혀 맞지 않는 시공간으로 블랙홀 한 가운데와 같은 곳이다. 빅뱅우주론을 받아들인
연구자
들조차도 태초가 시공간의 특수한 점이라는 것을 납득하지 못하고 있었다. 1983년 무경계 우주론을 제안해 특이점에 대한 설명을 내놓은 것도 호킹이었다. 호킹은 태초보다 10분 전의 시간에 대해 묻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이른다. 즉 소리-색 공감각을 유발하는 유전자 변이가 한 가지가 아니라는 말이다.
연구자
들은 이 가운데 축삭생성(axonogenesis)에 관여하는 6개 유전자의 변이가 공감각 발생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공감각은 뇌에서 감각정보를 처리하는 네트워크의 배선 이상에서 비롯된다. 즉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정말 한 순간의 잘못일까?
2018.03.10
있다 따라서 자신은 나쁜 짓을 한 게 아니고 억울하다 입을 놀린다고. Polaschek 등의
연구자
는 성과 여성에 대한 이러한 그릇된 인식이 어렸을 때부터 가정과 사회의 영향 속에서 자라난다고 본다. 한 번 이러한 생각이 형성되면 이후 자신의 소망이나 관점과 일치하는 정보만 쏙쏙 받아들이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미투의 외침 나오는 이유? 성폭력 권하는 사회
2018.03.03
되고 직업 만족도와 생산성이 낮아지는 등 커리어에도 큰 손실을 입는 경향이 나타났다.
연구자
들은 직장에서의 성폭력이 여성의 꿈을 꺾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라고 언급하며 이는 사회적, 국가적 손실이기도 하다고 지적했다 [7]. 앞날이 창창했지만 성폭력으로 인해 꿈을 포기해야했던 여성들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 많은 감귤류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8.02.27
확인됐다. 사람으로 치면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섞이지 않은 아프리카인인 셈이다.
연구자
들은 순종 만다린을 ‘유형1’로 분류했다. 그리고 게놈에 포멜로의 유전자가 1~10% 섞여 있는 16가지를 유형2 만다린으로, 포멜로의 유전자가 12~38% 섞여 있는 7가지를 유형3 만다린으로 불렀다. 7가지 가운데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