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양분
양분
자양
일런드
미혼 여성
아가씨
따님
뉴스
"
영양
"(으)로 총 1,660건 검색되었습니다.
다문화가정 친구와 친해지는 법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4.30
수 있는 ‘김치 타코’를 개발했다. 그래함 교수는 “김치 타코는 맛이 좋을 뿐 아니라
영양
까지 서로 보완할 수 있다”며 김치 타코의 장점을 설명했다. 또 그는 “김치 타코를 맛 본 미국인이 한국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됐다”며 “이런 퓨전 푸드는 각 나라의 사람을 하나로 묶는 힘이 있는 것 ... ...
왓슨과 크릭도 예상치 못한 DNA 세상 열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4.30
DNA칩으로 1년에 한 번씩 받는 건강검진을 대신하고, 개인별 유전자 차이, 음식과
영양
과의 관계를 명확히 밝혀 DNA 검사로 체질에 따라 개인별 맞춤 식사가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뭐든지 다 만드는 유전자 변형 미생물 DNA 연구는 이미 우리 생활을 바꾸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 제이 ... ...
“간헐적 단식도 해롭다” vs “적게 먹으면 장기능 개선”
동아일보
l
2013.04.30
단식이든 다른 단식법이든 건강한 사람만 시도해야 한다. 성별과 나이에 맞는 열량과
영양
소를 섭취하되 일정한 간격으로 단식을 해야 체중감량이 가능하다”고 제안했다. 두 전문가는 식이요법 말고도 운동이 필요하다는 데는 의견을 함께했다. 적당한 운동을 식이요법과 함께 하면 목표한 ... ...
채식 조심하라고? 가공식품 더 조심하라구~
동아사이언스
l
2013.04.29
적나라하게 드러냈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정제 곡물이나 설탕 등을 근거로 채식이
영양
학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비판한다. 채식을 반대하고 비난하던 사람들은 이 책을 근거 삼아 채식에 대한 반대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하지만 채식을 무조건 비판하는 것에는 온전히 동의하기 어렵다. ... ...
‘오메가3’ 먹어야 하는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우리가 바라는 확신을 주는 이론에 기초한 고정관념을 마음에 담아두느니 차라리 아무 것도 모르는 게 더 낫다.” - 클로드 베르나르, ‘실 ... 영향을 줄 수 있는 식단을 디자인할 수 있다는 것. 앞으로도 생명과학의 발견이
영양
학의 패러다임을 바꾸는데 어떤 역할을 할지 지켜볼 일이다. ... ...
엄마도 모르는 모유의 진실, 알고보니 ‘헉’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때 젖의
영양
분이 더 풍부할 것이고 어미가 힘들게 살면 그나마 암컷 새끼일 때 젖의
영양
분이 더 나을 것이기 때문이다. 2010년 모유 비교 논문은 사람을 대상으로 풍족한 환경에서 트리버스-윌라드 가설이 입증됨을 처음으로 보인 사례다. 미국 미시건대 인류학과 마사코 푸지타 교수팀은 2012년 9월 ... ...
장내미생물 관리 잘 해야 남성호르몬 이상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프로바이오틱스가 치료제 또는 예방약으로 쓰이고 특정 장내미생물이 잘 자라게 해주는
영양
분(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라고 부른다)을 비타민제 먹듯이 복용하는 게 일상이 되지 않을까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그 뒤를 이어 실시한 혁신적인 실험(예를 들어 한 소유역 내의 모든 나무를 베어버리고
영양
소 순환을 관찰)으로 숲의 생태계를 이해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이 과정에서 이들은 산성비의 원인을 밝혀내기도 했다. 두 사람은 2003년 지구환경문제를 해결하는데 공헌한 사람들에게 주는 ... ...
건강하게 오래 살려면 1日1食해야 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실린 해설에서 두 가지 이유를 들었다. 먼저 식단이다. WNPRC는 엄격한 통제를 위해 각
영양
소가 정확히 계량된 사료를 먹었는데 설탕의 비율이 28.5%나 됐다. 반면 NIA의 경우 다소 편차가 있더라도 자연식을 택했고 설탕 비율은 3.9%에 불과했다. 이런 식단 차이는 WNPRC의 대조군(정량을 먹은 원숭이 집단 ... ...
지구의 날에 대형 산불이?
동아사이언스
l
2013.04.23
매년 4월 22일은 ‘지구의 날’이다. 1970년 4월 22일 미국의 자연보호론자들이 처음으로 자연보호 캠페인을 시작한 날을 기념하기 위해 만들어 ... 특히 대륙주변에서
영양
분이 많고 생물이 많이 서식할 수 있는 이유는 땅에서부터 다량의
영양
분이 바다로 흘러들어오기 때문이다.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