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고기"(으)로 총 1,840건 검색되었습니다.
- 낙동강의 흰수염난쟁이~탐사기록 l20161110
- 채집했던 장소는 이날이 처음 간 곳이라 혹시나 못보면 어쩌나 걱정했습니다. 채집이 시작된 20분 동안 우리는 모래 여울에서 어떠한 고기를 확인하지 못해 진짜 없는 건 아닌지 불안감이 절정에 이르었을 때정훈이형님이 족대 안에 이상한 게 걸렸다는 흥분된 목소리로 저를 불렀습니다.가서 보니 그렇게 찾던 흰수마자 치어였습니다.눈물겨운 순간이었습니다. ...
- 매머드, 과학으로 깨어나다기사 l20161106
- 털매머드는 털이 긴 매머드입니다. 털매머드는 4-6톤이며, 2.7m나 된다고 합니다. 선사시대 사람들이 털매머드를 사냥해서 고기를 얻거나, 뼈를 이용해 도구를 만들어 사용했다고 합니다. 매머드는 지금의 아프리카, 아시아 코끼리와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그런데, 다른 점은 상아 모양, 꼬리 길이, 귀 크기입니다. 또 허리 부분이 다르게 생겼습 ...
- 서울 성북구 라이노비틀즈 20161029 민물고기 탐사가 끝나고...탐사기록 l20161030
- 안녕하세요? 라이노비틀즈팀 곽수진 대원입니다. 어제 2차 심화교육 민물고기 탐사를 다녀왔는데요, 조금 힘들고 추웠지만 참 재밌고 유익한 시간이었던 것 같아요. 제가 정식으로 물고기를 탐사한 것이 처음이라서 그런지 족대나 ... 너희들이 크면 그런 것들을 다 알고 지켜줘야 해~" 라고 말했어요. 우리가 물고기 탐사를 ...
- 가을에 피는 꽃, 납지리탐사기록 l20161026
- 외래종을 하천에 풀거나 놔준다면 외래어종들에게 밀려 토종 민물고기들이 사라질 것이고 어쩌면 우리의 후손들은 납지리라는 물고기를 영영 볼 수 없을 지도 모른다. 외래종을 방류하는 것을 자제하고 보석 같은 아름다움을 가진 납지리를 우리 손으로 지켜야한다고 생각한다. ▲ 거의 12cm에 육박하던 납지리 수컷 (출처: ...
- 미호종개의 마지막 서식지탐사기록 l20161026
- 인해 서식지의 상당수가 침수되어 모래대신 썩은 뻘이 퇴적되었습니다.상류 쪽으로 비 맞아가며 채집이 이어졌습니다.채집도중 물고기를 보기가 전보다 없음을 체감하였습니다.과연 진짜 미호종개를 볼 수 있을지 걱정이 되었습니다.그러던 중 상류에 자갈 틈에 약간의 모래사장을 발견하여 뒤지니 어렵게 미호종개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30분동안 12개체를 확인 ...
- 나 소계포스팅 l20161021
- 저는구름산 초등학교3-4반 김상진입니다.저는 어제 막 기자단가입해서 잘 몰름니다.잘 부탁 드려요 그리고기사 언제언제보내야되요?,기사는뭐에 관련된거 써야되요? ...
- 지구 온난화의 주범이 소?기사 l20161019
- 주범 중 하나가 바로, 소였던 것입니다. 출처: https://pixabay.com/en/cow-animal-cattle-in-korea-617327/ 이 세상에는 소들이 매우 많습니다. 고기를 구하거나 우유 등 유제품을 구할 때 소가 꼭 필요하기 때문이죠. 이 세상에는 소가 약 9억 7100만 마리나 있습니다. 많은 숫자죠. 이렇게 많은 ...
- 알아야 지킨다! 민물고기 탐사대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161014
- 한강납줄개, 납지리, 꾸구리 등 사라져가는 우리나라 민물고기를 지키기 위해 지구사랑탐사대원들과 성무성, 김정훈 어벤저스가 모였어요. 지난 달 경기도 금당천과 섬강에서 장장 4시간에 걸쳐 진행된 민물고기 탐사 현장으로 함께 가 볼까요? ...
- 생태계의 보물 창고, 국립생태원에 가다기사 l20161011
- 있었습니다. 제주도의 곶자왈을 재현한 길을 지나자 한강에 서식하는 생물들이 살고 있었습니다. 한강 상류, 중류, 하류의 물고기가 있었는데 그중에서 저는 천연기념물 황쏘가리(아래 사진)가 가장 마음에 들었습니다. 온대관은 에코리움 내부와 외부로 나뉘어져 있었고, 내부에는 제주 곶자왈과 한강, 외부에는 설악산이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그래서 ...
- [Little Newton, 161002 고성 영천강] 달콤특별한 민물고기 모니터링탐사기록 l20161005
- 느껴서는 다행입니다. 오늘 활동으로 10종의 민물고기들이 아이들에게 기억되었습니다. 함께 즐겁게 모니터링 하며 배운 민물고기의 이름과 특징, 사는 환경은 아마 평생 잊지 못할 것입니다. Little Newton의 모니터링 이야기는 앞으로도 쭉 계속됩니다 ... ...
이전1621631641651661671681691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