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연구원의 팁지수가 2인 경우는 아직 풀리지 않은 문제입니다. 지수가 1이거나 1보다 큰 경우를 먼저 증명해보고, 다양한 전략의 장단점을 분석해서 증명을 강화시켜 나가면 난제를 증명할 수 있지 않을까요? 폴리매스 친구를 만나다! 폴리매스 홈페이지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친구를 한 명씩 ... ...
- [한페이지 뉴스] 큰고래 노랫소리로 해저지형 그린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현무암 아래에는 반려암이라는 밀도 높은 해양암석층이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이처럼 큰고래의 음파로 추정한 해저지형은 에어건으로 측정한 결과와 유사했다. 존 나벨렉 오리건주립대 지구해양대기과학과 교수는 “동물이 내는 소리가 주변 환경을 이해하는 데에도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며 ... ...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지역적 특성을 더 잘 이해하고, 현장 측정 범위를 위성이 보는 면적만큼으로 확대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다섯 번째 탐사는 여름에 이뤄진 덕분에 겨울철 탐사보다 수월했다. 아무렴 영하 25°C보다는 0°C에서 측정 장비가 잘 작동했다. 또 겨울에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 장갑을 벗는 일은 여간 ... ...
- 태양계 옆집엔 이웃이 살까요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이런 뜨거운 행성 표면에 생명체가 살 가능성은 거의 없는데, 생명의 흔적이 발견됐다니 큰 화제를 모았죠. 비밀은 생명체의 흔적을 찾았다는 위치입니다. 제인 그리브스 영국 케임브리지 천문학연구소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금성의 생명체 흔적을 지표면이 아니라 대기에서 찾았다고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어머, 너구리는 잠시 먹이를 찾으러 나갔어요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이해할 수 없었다. 클라라는 이 사고로 좌측 전완 및 우측 대퇴골두가 골절됐다. 더 큰 문제는 다른 곳에 있었다. 부적절한 사육으로 다리가 안쪽으로 굽는 구루병 증상을 보였다. 신고자가 그동안 급여했던 먹이는 비타민D가 부족했던 것이다. 새끼 동물이라 골절 부위는 금세 붙었지만 모양이 변한 ... ...
- [이달의 우주 날씨] 보름달아, 내 소원을 들어줘!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안녕하세요! 2021년 우주 날씨를 소개하는 이재형 과학동아천문대장입니다. 신나는 설날이 있는 2월의 우주에는 어떤 현상이 일어날까요? 매 ... 일 년 중 가장 큰 보름달이 떴어도 다음 해에는 그렇지 않을 수 있어요. 올해의 가장 큰 보름달은 정월 대보름이 아닌 4월 27일에 볼 수 있답니다 ... ...
- [과학뉴스] 메갈로돈의 ‘거대한 이빨’ 의외로 약했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논문의 제1저자인 안토니오 밸릴 브리스톨대 지구과학과 연구원은 “몸집이 가장 큰 메갈로돈이 가장 튼튼한 치아를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던 우리의 가설이 뒤집혔다”며 “메갈로돈은 먹이를 먹기 유리한 이빨을 갖는 대신, 몸집을 키우는 방향으로 진화했다”고 설명했다 ... ...
- [코로나19 업데이트] 전파 빠른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등장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변이만이 바이러스에 의미 있는 변화를 일으킬 잠재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가장 큰 관심을 받고 있는 변이는 N501Y다. 스파이크 단백질의 501번 아미노산을 아스파라긴(N)에서 티로신(Y)으로 바꿨다. 스파이크 단백질이 인체세포에 침투할 때는 세포 표면 수용체 단백질인 ‘안지오텐신전환효소2 ... ...
- [KAIST 50년] 86학번-21학번 KAIST 캠퍼스 평행이론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술 대신 딸기를 먹으면서 시작됐다. 지금은 학과나 동아리 친구들과 피크닉처럼 즐기는 큰 행사가 됐다. 딸기파티가 시작되면 KAIST 학생들은 청청, 빨간색 아이템 등 알록달록한 옷을 맞춰 입고 삼삼오오 앉아 누텔라를 올린 딸기와 김밥을 먹으면서 이야기를 나눈다. 다양한 사람들과 이야기하며 ... ...
- 데이터 홍수 문제 없다, 차세대 저장장치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발표했다. 이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자기테이프 모델(LTO8)보다 약 50배 용량이 큰 수준이다.연구팀은 지금까지 자기테이프에 사용된 소재인 바륨 페라이트 대신 더 작은 크기의 나노입자를 만들 수 있는 스트론튬 페라이트를 사용했다. 정보를 저장하는 개별입자가 높은 밀도로 구성되는 만큼 더 ... ...
이전1601611621631641651661671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