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코로나19 업데이트] 불안한 겨울에서 회복의 일상으로 코로나 블루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대조군에 비해 줄어들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해마의 여러 세부 부위 중에서도 가장 큰 폭으로 크기가 줄어든 곳은 해마로 향하는 정보가 거치는 통로인 치상회(7.2%)였다. 회백질의 부피도 뇌 전체에 걸쳐 줄었는데, 왼쪽 해마곁이랑 부분 회백질이 3.8%, 오른쪽 배측면 전전두엽 회백질이 3.3%, 왼쪽 ... ...
- 식물이 만든 독극물이라고요? 하지만 지금은 제 점심이죠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마약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동시에 강력한 진통제로도 사용된다. 암 수술과 같이 큰 고통에 시달리는 환자들의 마지막 수단으로 모르핀을 투여하기도 한다.캐나다 캘거리대 연구팀은 양귀비 2만 3000여 종을 분석해 양귀비 식물에서 모르핀 성분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 ...
- 마스크로 가릴 수 없는 진심 '표정'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사람에게선 통증을 느끼는 표정이 나타났다.연구팀은 지역마다 표정의 보편성이 얼마나 큰지도 살펴봤다. 남아시아 국가들과 동아시아 국가들 사이에선 표정의 보편성이 상대적으로 낮고, 미국·캐나다와 서유럽 국가들 사이의 표정 보편성은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전 세계 모든 지역이 70% 이상의 ... ...
- [이달의 책] ‘남성 전용’ 우주에 맞선 위대한 패배자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세거나, 극단적이라는 것은 생물학적으로도 충분한 의미가 있다. 일례로 지상에서 가장 큰 포유류인 코끼리는 암에 걸리지 않는다. 인간은 두 개뿐인 암 억제 유전자를 코끼리는 20개나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이는 4500kg에 달하는 몸집을 유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이뤄지는 세포분열 ... ...
- [JOB터뷰] 행복한 동물의 집을 짓는다! 마승애 수의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제가 개선 작업을 도운 서울동물원은 2019년 AZA 인증을 받았죠. 서울동물원의 가장 큰 문제는 ‘내실’이었어요. ‘내실’은 동물사에서 전시되지 않는 실내방이에요. 사자처럼 추위에 약한 동물은 겨울에 내실에서 지내죠. AZA는 사자처럼 한 달 이상 내실에서 지내는 동물이라면, 내실에도 풍부한 ... ...
- [과학뉴스] 이 뱀이 나무를 오르는 비법 ‘셀프 올가미’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초속 0.4cm로 매우 느리고 중간에 자주 멈췄지만, 연구팀은 이 방법으로 지름이 두 배 이상 큰 원통까지 오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제인 교수는 40년간 뱀의 이동방식을 연구했지만 이번 발견은 완전히 새로운 방식이라며 다른 새로운 방식이 추가로 발견될 가능성까지 점쳤다. doi: 10.1016/j.cub.2020.11.05 ... ...
- [코로나19 업데이트] 전파 빠른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등장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변이만이 바이러스에 의미 있는 변화를 일으킬 잠재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가장 큰 관심을 받고 있는 변이는 N501Y다. 스파이크 단백질의 501번 아미노산을 아스파라긴(N)에서 티로신(Y)으로 바꿨다. 스파이크 단백질이 인체세포에 침투할 때는 세포 표면 수용체 단백질인 ‘안지오텐신전환효소2 ... ...
- [KAIST 50년] 86학번-21학번 KAIST 캠퍼스 평행이론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술 대신 딸기를 먹으면서 시작됐다. 지금은 학과나 동아리 친구들과 피크닉처럼 즐기는 큰 행사가 됐다. 딸기파티가 시작되면 KAIST 학생들은 청청, 빨간색 아이템 등 알록달록한 옷을 맞춰 입고 삼삼오오 앉아 누텔라를 올린 딸기와 김밥을 먹으면서 이야기를 나눈다. 다양한 사람들과 이야기하며 ... ...
- 데이터 홍수 문제 없다, 차세대 저장장치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발표했다. 이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자기테이프 모델(LTO8)보다 약 50배 용량이 큰 수준이다.연구팀은 지금까지 자기테이프에 사용된 소재인 바륨 페라이트 대신 더 작은 크기의 나노입자를 만들 수 있는 스트론튬 페라이트를 사용했다. 정보를 저장하는 개별입자가 높은 밀도로 구성되는 만큼 더 ... ...
- [이슈] 수학 잘하는 동물 모두 모여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차이가 날 때는 정답률이 75%에 이른 반면, 6과 7처럼 개수가 비슷할 때는 55%의 확률로 더 큰 수를 골랐어요. ※ 어수동 탄생 축하 파티를 위해 멀리서 와준 동물 여러분, 정말 감사합니다! 이렇게 많은 동물이 수학적으로 의미가 있는 행동을 한다니, 정말 놀랍습니다. 어수동 친구들도 주변을 찬찬히 ... ...
이전161162163164165166167168169 다음